[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4주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4주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4주차 발자국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4주차 발자국📚 주간 학습 내용 요약1. 제품 발견(Product Discovery)의 개념과 중요성제품 발견이란 "무엇을 만들지 결정하는 과정" (deciding what to build)많은 제품들이 stakeholder-driven, sales-driven 방식 때문에 실패함제품팀(PM, 디자이너, 엔지니어)이 단순히 요구사항 수행보다 권한과 자율성을 가져야 함구시대적 프로세스(아이디어→로드맵→요구사항→디자인→개발)를 탈피해 이터레이션이 필요2. 성공적인 제품의 4가지 필수 요소Valuable(가치): 고객이 구매하고 유저가 사용하고자 하는 제품Usable(사용성): 사람들이 사용법을 익히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Feasible(실현 가능성): 우리 기술력으로 구현할 수 있는 제품Viable(지속 가능성): 사업적으로 타당하고 규제 및 이해관계자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3. 제품 발견의 두 단계 프로세스Problem/Opportunity Discovery: 어떤 문제/기회에 집중할지 찾는 과정Solution Discovery: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기회를 어떻게 활용할지 찾는 과정PM은 문제 정의에,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는 문제 해결에 오너십을 갖되 긴밀한 협업 필요4. 가설(Assumptions)과 검증모든 제품 개발은 여러 가정에 기반함가치(Value), 사용성(Usability), 실현 가능성(Feasibility), 사업적 타당성(Viability) 관련 가정을 검증리스크가 크고 근거가 부족한 가정부터 우선적으로 검증해야 함검증 방법: 심층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 데이터 분석, 프로토타이핑, A/B 테스트 등5. 제품 발견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워크기회 솔루션 트리(Opportunity Solution Tree):고객 니즈/페인 포인트/욕구를 발굴하고 그룹핑기회를 상위 기회 밑에 구조화하여 집중할 영역 선정솔루션 아이디에이션, 가설 검증 및 실행으로 진행북극성 프레임워크(North Star Framework):지표에 초점을 맞춘 제품 발견 방법론북극성 지표: 제품팀이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장기적 사업 성과에 도움되는 지표인풋-아웃풋 관계 파악을 통한 가설 검증 중요6. 프로덕트 그로스(Product Growth)의 이해PMF(Product Market Fit) 달성 후에야 진정한 그로스 의미 가짐그로스 워크의 4가지 영역: Feature Work, Growth Work, PMF Expansion, Scaling Work그로스 레버(Growth Lever): Acquisition(획득), Retention(유지), Monetization(수익화)7. Acquisition(고객 획득) 전략마케팅/세일즈 외에도 제품을 통한 고객 획득 방법 중요신규 고객을 충분히 많이, 비용 효율적으로 획득하는 것이 목표비용 효율성 측정 지표: CAC, LTV, Payback Period네트워크 효과, UGC(User Generated Content), 검색엔진 최적화 활용B2B 제품에서도 Product-Led Growth(PLG) 방식 확산 중제품을 통한 획득의 장점: 자연스러운 성장, 광고효과, 마케팅 비용 절감8. Retention(유지)과 Activation(활성화)"Retention is King" - 리텐션이 그로스의 핵심 요소리텐션 측정 방식: 코호트 리텐션, Day N 리텐션, Bracket/Unbounded 리텐션리텐션이 좋은 제품은 장기적으로 큰 성장 차이를 만듦Activation은 리텐션을 위한 첫 번째 레버로, 사용자가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과정Setup → Aha → Habit Moment의 3단계 구조:Setup Moment: 사용자가 제품 가치 경험을 위한 준비 완료Aha Moment: 사용자가 처음으로 제품의 핵심 가치 경험Habit Moment: 제품의 핵심 가치 경험이 습관화유저 온보딩은 단순한 기능 소개가 아닌, 핵심 가치 경험을 돕는 전체 과정사용자 행동 모델 (Nir Eyal의 'Hooked'): Trigger → Action → Reward → Investment9. Engagement(참여도) 측정과 개선리텐션을 위한 두 번째 레버로, 사용자의 제품 사용 활발도인게이지먼트 지표:Breadth(넓이): DAU, WAU, MAU (사용자 수)Depth(깊이): 기능 사용 깊이, 사용 시간Frequency(빈도): DAU/MAU, 재방문율Efficiency(효율성): 과업 성공률BJ Fogg의 행동 모델: Behavior = Motivation × Ability × PromptMotivation(동기): 즐거움, 기대, 소속감Ability(능력): 시간, 비용, 노력 등 행동 용이성Prompt(트리거): 행동 유도 알림인게이지먼트 핵심 시스템: 알림(Trigger) → 액션(Action) → 보상(Reward) → 투자(Investment)10. Monetization(수익화) 전략어디서 수익을 얻을 것인가?: 사용자, 광고주, 제3자무엇에 대한 대가로 돈을 받을 것인가?: Value Unit 정의가격 책정 고려 요소: 비용(Cost), 경쟁(Competition), 가치(Value)Usage-Based Pricing vs Seat-Based PricingIncentive Alignment: 고객과 회사의 이익 방향 일치시키기수익 극대화 전략:무료 사용자 그룹 늘리기 (Freemium, Free Trial)사용자가 지불하고 싶게 만들기 (Perceived Value 강화)인지편향 활용하기 (앵커링, 손실 회피 등)적절한 시점에 Prompt 제공하기11. 그로스 모델(Growth Model)제품 성장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개념적 지도제품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시각화그로스 모델 예시: AARRR, Growth Loop, North Star Framework정성적 모델링부터 시작하여 각 요소의 영향력 이해12. PM/PO의 팀 협업 방식Hand-Off 방식보다 Collaboration 중심으로 접근엔지니어와 협업: 스테레오타입 버리기, 기술 이해하기디자인 피드백 주기: 프로젝트 이해 → 사용자 관점 경험 → 이슈 파악 → 우선순위화시도, 회고, 개선의 사이클 구축"PM이 항상 정답을 가질 필요는 없다" - 함께 좋은 방안 찾기🌟 핵심 학습 인사이트배운 점제품 성공의 핵심은 무엇을 만들지 결정하는 Product Discovery 과정에 있음성공적인 제품은 가치, 사용성, 실현 가능성, 지속 가능성 모두를 충족해야 함리텐션은 "왕(King)"으로서 장기적 성장의 핵심이며, Activation과 Engagement를 통해 개선그로스 모델링을 통해 제품 성장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 가능PM, 디자이너, 엔지니어는 각자의 영역만 담당하는 것이 아닌 협업이 핵심적용할 점문제/기회 발견과 솔루션 발견의 두 단계로 제품 발견 과정 체계화Setup → Aha → Habit의 명확한 경로 설계로 사용자 활성화 강화리텐션 개선을 위한 인게이지먼트 지표(Breadth, Depth, Frequency, Efficiency) 모니터링제품을 통한 Acquisition, Retention, Monetization 전략 구체화디자이너, 엔지니어와의 효과적인 협업 방식 도입BJ Fogg 행동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행동 유도 설계💭미션에 대한 회고이번 미션에서는 "코촉촉"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의 Opportunity Solution Tree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처음으로 OST를 작성해보는 경험이었는데, 생각보다 복잡했습니다.제품의 근본적인 문제와 기회를 식별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가장 중요한 기회를 선택하고 솔루션을 도출하는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특히 "바쁜 현대인의 반려동물 돌봄 시간 부족"과 "낯선 사람에게 반려동물 맡기는 불안감"이라는 두 가지 핵심 기회에 집중했습니다. 어려웠던 점은 너무 많은 기회와 솔루션이 떠올라서 정말 중요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략의 핵심은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라는 마이클 포터의 말을 떠올리며 집중할 부분을 좁혀갔습니다.앞으로 실제 프로젝트에서 OST를 활용한다면, 더 많은 사용자 리서치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회를 발굴하고, 팀원들과 함께 더 다양한 솔루션을 도출해보고 싶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