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3기] PM/PO - 3주차 발자국](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d9de71ef-0f91-40d3-923a-9e53e2c6d7e2/화면 캡처 2025-03-09 214849.png)
[인프런 워밍업 클럽 3기] PM/PO - 3주차 발자국
[학습내용]
섹션4.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 쌓기
데이터를 가지고 일한다는 것
데이터 = 기록
데이터를 비즈니스에 활용한다는 것은
기록을 통해 현황을 파악한다.
기록을 더 잘들여다 봐서 패턴을 찾아낸다
패턴을 토대로 미래를 예측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것이란?
지표를 이용해 우리 사업의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기
데이터를 깊이 들여다 봐서 인사이트 찾기
실행하기 전에 타당성을 미리 평가하고, 우선순위 세우기
실행한 뒤 결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상관관계를 찾아내기
Product Analytics Tools
: 소프트웨어 제품(모바일 앱, 웹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기억하고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쓰이는 전용 툴 (Amplitude, Mixpanel)
이런 분석툴이 없고, 데이터분석가가 없다면 PM이 데이터베이스나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직접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해서 대시보드를 만들기도 함 → SQL을 이용해서 데이터 추출 (SQL 증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부분만 익히면 충분)
데이터를 깊게 들여다보는 것
: 총 집계된 지표를 더 자세히 쪼개서 보기 → 데이터 드릴다운
예) 지난주 우리 제품을 이용한 사용자
WAU = 10만명
→ 연령대별로, 접속지역별로, 신규/기존사용자로 나눠보기
데이터를 잘 축적하려면
어떤 의사결정이 필요한지 정의하기
의사결정을 잘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정의하기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기록하면 좋을지, 나중에 데이터 분석을 하는 상황을 상상하기
PM에게 필요한 것
1. 지표를 이해하는 것
2.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량
3. 툴 사용 역량[학습회고]
섹션 4~5 수강을 목표로 했는데, 이번주는 강의를 많이 듣지 못했다.
PM직무 공고를 보면 데이터 활용역량을 갖추고 있거나 데이터 드리븐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하는 곳들이 있는데 데이터를 활용해서 일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PM에게 요구하는 데이터 활용능력, 수준이 어떤 것인지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서 평소 궁금했던 그 부분을 많이 해소 할 수 있었다. 보다 더 전문적인 PM이 되려면 데이터를 보고 활용하는 환경의 회사를 가야겠구나란 생각이 든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