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양성빈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 테스트코드) 4주차 발자국

이 블로그 글은 박우빈님의 인프런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한 글입니다.드디어 마지막 발자국 작성차례이다. 어느덧 벌써 수료날짜가 얼마 남지 않았다. 남은 시간 끝까지 달려보자. Presentation Layer 테스트외부세계의 요청을 가장 먼저 받는 계층파라미터에 대한 최소한의 검증을 수행MockMVCMock 객체를 사용해 스프링 MVC 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테스트 프레임워크요구사항관리자 페이지에서 신규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상품명, 상품타입, 판매상태, 가격등을 입력받는다. 그래서 해당 요구사항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 후 해당 부분 테스트를 해보았다. 여기서 잠깐 주목할만한 부분이라면 바로 @Transactional(readOnly = true)와 @Transactional이다. readOnly옵션은 읽기 전용이라는 뜻이다. 해당옵션에서는 CRUD중에 R만 기능동작을 하게 한다. 또한 JPA에서 CUD스냅샷 저장과 변경감지를 하지 않아 성능향상에 이점을 줄 수 있다. 또한 CQRS에서 Command부분과 Read부분을 나누자는 것처럼 우리의 비즈니스 로직중에 해당 클래스를 readOnly옵션을 전체로 주고 CUD에 해당되는 부분만 @Transactional을 사용하자!또한 우리는 validation을 적용하고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spring-boot-starter-validation 의존성을 추가해주고 각 dto에 어노테이션들을 추가해주었다. 또한 각 예외상황에 맞게 처리할 RestControllerAdvice를 두었으며 공통응답객체를 만들어 진행을 해보았다. 여기서 유심히 볼 부분이 몇가지 존재한다.⚠ @NotBlank vs @NotNull vs @NotEmptyNotNull은 null값을 허용을 하지 않는 것이고 NotEmpty는 ""문자열만 허용을 하지 않으며 NotBlank는 이 둘을 다 포함하면서 " "문자열도 포함시키지 않는다.또한 해당 request DTO를 만들면서 하나의 DTO를 이용해서 presentation layer부터 Business Layer까지 쓰이곤 한다. 이런 점은 DTO를 두고 의존성을 둘 수 있다는 것이다. 이건 layered architecture에 어긋한다. 따라서 서비스용 DTO, 컨트롤용 DTO를 별도 개발해서 진행을 해보는 작업을 해보았다. 또한 컨트롤러에서는 최소한의 검증을 하고 그 외에는 서비스용으로 옮겨보는 법도 생각해보았다. 미션이번 미션은 레이어 아키텍쳐에 관하여 설명과 테스트 방법에 대해 나만의 언어로 풀어쓰는 미션이다. 처음에는 내 언어로 표현한다는게 막막했지만 차근차근 정리를 해가다보니 금방 쉽게 풀어써졌다.미션링크 Mockito로 Stubbing하기요구사항현재 관리자 페이지에서 당일 매출에 대한 내역을 메일전송을 받고 싶어한다.그래서 우리는 해당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였다. 핵심은 테스트이다. 메일 전송은 외부 네트워크를 타고 전송이 되는 로직이라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내 경험) 또한 메일을 계속 보내다보면 나중에 수 많은 테스트 메일이 쌓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럴때는 어떻게 할까? 메일 전송 행위자체를 mocking하면 되는데 이것을 stubbing이라고 한다. 우리는 메일 전송 로직을 mockBean을 이용해 mocking하고 행위 자체를 stubbing하여 테스트를 수행 할 수 있었다. Test Double출처배우 대역의 스턴트맨이 그 Test Double의 근원지이다.관련 용어Dummy: 아무것도 하지 않는 깡통객체Fake: 단순한 형태로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나 프로덕션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객체(ex. FakeRepository)Stub: 테스트에서 요청한 것에 대해 미리 준비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 그 외에는 응답XSpy: Stub이면서 호출된 내용을 기록하며 보여줄 수 있는 객체. 일부는 실제 객체러첨 동작시키고 일부만 stubbingMock: 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객체 Stub과 Mock을 헷갈려한다. 동일한거 아닌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Mock은 Stub이 아니다. Mock은 행위에 대한 검증을 할때 사용하고 Stub은 상태에 대한 검증을 할때 사용된다. @Mock, @Spy, @InjectMocks순수 Mockito로 검증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우리는 @SpringBootTest를 붙여서 통합 테스트를 가져보았는데 그렇게 하지 않고 순수 Mockito로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그래서 우리는 기존에 MailService를 테스트를 가져보았다. 의존성으로 주입된 것들을 mock()을 이용하여 만들어주고 MailService를 해당 mock()으로 만든 것을 생성자에 넣어주어서 실행했다.하지만 이렇게 하는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Mock과 @InjectMocks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mock()으로 생성한 객체는 @Mock 어노테이션을 붙여서 사용이 가능하고 만들어진 mock 객체를 이용하여 생성한 객체 MockService는 @InjectMocks를 이용하여 더 간단히 사용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해당 메서드 안에 특정메서드가 몇번 불렸는지 확인하는 것은 verify로 확인이 가능하다.@Mock을 사용할 때는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을 붙여줘야 한다.또한 @Spy를 이용할건데 사용법은 @Mock과 유사하다. 다른점은 @Mock을 사용할때 when().thenReturn()식을 이용했는데 @Spy는 doReturn().when().메서드()를 이용하면 된다. @Mock과 비교해보자. @Mock을 사용하면 해당 메서드만 mocking을 하여 사용하고 그 외의 메서드들은 작동을 안 한다. 하지만 @Spy를 사용하면 해당 객체에 호출한 메서드들이 전부 작동이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Mock을 사용하지만 @Spy를 이용할 때도 있으니 알아두자. BDDMockitoBDD는 행위주도개발로 이전에 한번 살펴본 적이 있다. 이전에 실습한 코드를 보면 뭔가 이상하다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given when(mailSendClient.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thenReturn(true);분명 given절인데 when이 들어가져 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BDDMockito다. BDDMockito의 given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이 가능하다.given(mailSendClient.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willReturn(true);그럼 정확히 given에 given을 이용하니 명확해진다. Classicist VS. MockistClassicist입장은 다 mocking하면 실제 객체들의 동작 및 두 객체들이 합쳐서 동작할때 그에 따른 사이드 이펙트는 어떻게 검증할건데라는 입장이며 Mockist 입장은 모든 걸 다 mocking하면 각 객체들의 기능에 대한걸 보장하니 굳이 통합테스트를 할 필요가 없다라는 입장이다.우리는 Persistence Layer에서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고 Business Layer에서는 통합 테스트를 Presentation Layer에서 두 레이어를 모킹하여 진행했다. 이것을 Mockist가 본다면 굳이 시간낭비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우빈님의 생각은 Classicist입장이시며 mocking을 할때는 외부시스템을 사용할 일이 있을때 사용한다고 하셨다.즉 결론은 mocking을 했다 하더라도 실제 프로덕션 코드에서 런타임 시점에 일어날 일을 정확하게 stubbing했다 단언할 수 없으니 통합테스트를 해보자는 것 같다.나의 입장은 이렇다. QuerDSL같은 외부자원을 사용할때 나는 해당 부분을 테스트할때 테스트를 진행하고 비즈니스 레이어에는 해당 부분을 mocking처리한다. 그리고 컨트롤러 부분에서 통합테스트를 사용하는데 이 부분은 한번 질문을 드려봐야겠다. 한 문단에 한 주제이전 강의인 Readable Code에서도 배웠고 학창시절 영어독해시간에도 배웠듯이 한 문단에는 하나의 주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테스트도 문서다. 즉, 각각 하나의 테스트는 하나의 문단이고 그 테스트 코드는 하나의 주제를 가져야 한다. 완벽하게 제어하기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는 모든 조건들을 완벽히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우리는 이전에 LocalDateTime.now()을 사용하면서 현재시간에 따라 테스트가 성공할때도 있고 실패할때도 있는 경우를 보았다. 그래서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현재시간을 상위에 넘기고 파라미터로 받는 방식을 택하였다.그러면 만약에 LocalDateTime.now()를 사용해도 테스트가 무조건 성공한다면 사용해도 되나? 우빈님께서는 지양한다고 하셨다. 그 이유는 그 테스트는 성공할진 몰라도 팀 단위에서 해당 코드를 사용하면 그게 프로젝트에 번져서 빈번히 사용할 확률이 높기때문이라고 하셨다. 나도 이점을 한번 주의해야겠다.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테스트 환경은 대부분 given절에서 환경을 세팅한다. 그런데 이런 given절에서 다른 API를 사용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해당 API와 테스트 코드가 결합도가 생기게 된다. 이런 부분을 방지하고 테스트코드 독립성을 보장시켜야 한다.@Test @DisplayName("재고가 부족한 상품으로 주문을 생성하려는 경우 예외가 발생한다.") void createOrderWithNoStock() {     // given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BOTTL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BAKERY, "002", 3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5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Stock stock1 = Stock.create("001", 2);     Stock stock2 = Stock.create("002", 2);     stock1.deductQuantity(1); // @todo     stockRepository.saveAll(List.of(stock1, stock2));     OrderCreateServiceRequest request = OrderCreateServic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001", "002", "003"))             .build();     // when & then     assertThatThrownBy(()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 registeredDateTime))             .isInstanceOf(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hasMessage("재고가 부족한 상품이 있습니다."); }위의 코드에서 todo부분을 살펴보자. 해당 코드는 주문생성관련 로직이다. 그런데 deductQuantity를 현재 재고보다 많이 차감시키면 해당 메서드에서 예외를 던질 것이다. 그러면 given절에서 테스트가 실패되고 내가 위에서 말했던 결합도가 생긴 케이스이다. 또한 이건 내 생각이지만 주문생성로직에 재고차감로직이 들어가 있으니 하나의 테스트코드에 주제가 2개가 되버리는 상황이 생긴다. 이런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테스트 간 독립성을 보장하자테스트는 각각 수행되어야 하고 테스트 순서가 무작위여도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만약 테스트에 공유자원을 사용하게 되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우려가 있기에 테스트가 실패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런 점때문에 공유자원 사용은 지양하자. 한 눈에 들어오는 Test Fixture 구성하기Test FixtureFixture: 고정 틀, 고정되어 있는 물체 (given절에 생성한 객체들)테스트를 위해 원하는 상태로 고정시킨 일련의 객체 우리는 이에 관련해서 @BeforeEach BeforeAll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런데 @BeforeEach같은 경우 given절에서 만든 데이터를 넣는 행위는 지양하다고 하셨다. 결국 이것은 이전에 봤던 공유자원과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테스트는 문서인데 given절을 보려니 없어서 스크롤로 위로 왔다갔다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테스트 문서의 파편화가 일어난다.그러면 언제 @BeforeEach를 쓸까? 각 테스트 입장에서 봤을 때 아예 몰라도 테스트 내용을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는가?라는 물음과 수정해도 모든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가?라는 물음에 괜찮다면 사용하자! 그렇지 않다면 지양하자.또한 data.sql을 이용해 미리 쿼리를 생성해 given절을 작성하는 행위는 지양하자. 왜냐하면 테스트 파편화가 일어나기도 하고 나중에 실무에 가면 수십개의 컬럼과 수십개의 테이블이 있고 이 테이블이나 컬럼이 바뀔때마다 수정을 해줘야 하기때문에 관리포인트가 늘어나기 때문이다.또한 given절에 객체를 생성 시, 필요한 파라미터만 주입받는것을 고려하면 작성하자. 해당 파라미터를 보고 이 파라미터는 테스트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은 것은 고정값으로 두고 파라미터를 빼는 것처럼 말이다.마지막으로 builder와 같이 given절에 들어가는 것을 하나의 테스트 config 클래스에 모아두는 행위는 지양하자. 왜냐하면 나중에 실무에서 작성하다보면 새로운 빌더가 생기고 메서드 오버로딩때문에 파라미터 순서만 바뀌는 빌더도 많이 생길 수 있으며 테스트 문서 파편화로 인해 더 불편해질 것 같다. 그래서 클래스마다 필요한 파라미터만 받아서 작성하는 것이 좋다. Test Fixture 클렌징deleteAll()과 deleteAllInBatch()에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우빈님은 deleteAllInBatch()를 더 선호하신다고 하셨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deleteAllInBatch()는 delete from~ 절만 나가는 순수 테이블 전체 삭제에 용이하다. 하자민 단점이라하면 순서를 잘 생각해야 한다. 만약 A라는 테이블과 B라는 테이블이 M:N 연관관계를 맺어 중간테이블 AB라는 테이블이 있을때 AB부터 테이블을 삭제해주고 A, B순서대로 삭제를 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예외가 발생한다.deleteAll()은 굳이 중간테이블을 삭제할 필요없이 중간테이블을 알고 있는 테이블만 삭제해도 알아서 삭제해준다. 하지만 단점은 해당 메서드를 실행하면 해당 엔티티를 먼저 전체 select를 하고 다음으로 delete from where 절이 나간다. 그리고 해당 절은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 수 만큼 나가기 때문에 수많은 데이터가 존재하면 성능이 매우 떨어질 것이다.그래서 deleteAllInBatch()가 더 선호하는 이유를 알 것 같다. 하지만 이런것보다 side effect를 잘 고려해서 @Transactional을 잘 사용하는 것이 베스트일 것 같다. @ParameterizedTest테스트 코드에 if-else나 for문같이 조건문, 반복문등 읽는 사람의 생각이 들어가는 것을 지양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여러가지 테스트 로직이 하나의 테스트 코드에 있다면 분리하자고 하였다. 그런데 만약 단순히 값 여러개로 하나의 테스트를 하고 싶은경우 테스트를 나누는 것보다 @ParameterizedTest를 사용하는 것이 깔끔해진다.대표적인 예시로 내가 사이드프로젝트에서 작성했던 코드를 들 수 있을 것 같다.@ParameterizedTest @MethodSource("providedTestDataForSignup") @DisplayName("회원가입 통합 테스트 - 실패(유효하지 않은 회원가입 폼)") void member_signup_integration_test_fail_caused_by_invalid_signup_form(String name, String nickname, String email, String password, String confirmPassword, String phoneNumber, LocalDate birthday) throws Exception {     MemberSignupRequestDto requestDto = new MemberSignupRequestDto(name, nickname, email, password, confirmPassword, phoneNumber, birthday);     this.mockMvc.perform(post("/api/auth/signup")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 ";charset=UTF-8")                     .accept(MediaType.APPLICATION_JSON + ";charset=UTF-8")                     .content(this.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Dto)))             .andDo(print())             .andExpect(status().isBadRequest())             .andExpect(jsonPath("message").exists())             .andExpect(jsonPath("status").value(GlobalExceptionCode.INVALID_REQUEST_PARAMETER.getHttpStatus().name()))             .andExpect(jsonPath("code").value(GlobalExceptionCode.INVALID_REQUEST_PARAMETER.getCode()))             .andExpect(jsonPath("timestamp").exists()); } private static Stream<Arguments> providedTestDataForSignup() {     return Stream.of(             Arguments.of("양성빈", "tester", "email@email.com", "1q2w3e4r5t!", "1q2w3e4r5t!", "010-1234-1234", LocalDate.of(1999, 1, 1)),             Arguments.of("양성빈", "robert", "test@email.com", "1q2w3e4r5t!", "1q2w3e4r5t!", "010-1234-1234", LocalDate.of(1999, 1, 1)),             Arguments.of("양성빈", "robert", "email@email.com", "1q2w3e4r5t!", "t5r4e3w2q1@", "010-1234-1234", LocalDate.of(1999, 1, 1)),             Arguments.of("양성빈", "robert", "email@email.com", "1q2w3e4r5t!", "1q2w3e4r5t!", "010-1111-1111", LocalDate.of(1999, 1, 1))     ); }이렇게 @MethodSource를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오 @CsvSource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방법도 있으니 한번 찾아보면 좋을 것 같다. @DynamicTest공유변수를 가지고 여러개의 테스트가 사용하는 것은 지양하자고 하였다. 왜냐하면 테스트의 순서가 생겨버리고 서로 강결합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경 설정 후 시나리오 테스트를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럴 경우 @DynamicTest를 이용하자.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TestFactory @DisplayName("") Collection<DynamicTest> dynamicTests() {     // given     return List.of(             DynamicTest.dynamicTest("", () -> {                 // given                 // when                 // then             }),             DynamicTest.dynamicTest("", () -> {                 // given                 // when                 // then             })         ); } 테스트 수행도 비용이다. 환경 통합하기이제 전체 테스트를 돌려보자. 지금 테스트를 전체 돌려보면 2.x초라는 시간이 걸리고 spring boot 서버가 6번 뜨는 불필요한 행위가 발생한다.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가 인간의 수동화된 검증에 대한 불신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시간을 아끼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테스트를 돌렸는데 2.x초라는 행위는 너무 아깝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의 통합추상 클래스를 만들어 service와 repository부분을 하나의 추상클래스를 상속받게 함으로 테스트 띄우는 횟수를 줄였다. 그리거 마지막 controller부분도 별도의 추상클래스를 만들어 해당 클래스를 상속받게 함으로 서버 띄우는 횟수를 줄여갔다. 결론적으로 총 서버는 2번 띄워졌고 2.x초에서 1.x초로 속도가 줄어갔다. Q. private 메서드의 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정답은 할 필요도 없고 하려고 해서도 안된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제공되는 public 메서드만 알 수 있고 알아야하며 그 외의 내부 메서드는 알 필요가 없다. 또한 public 메서드를 테스트한다는 것은 내부 private 메서드도 자동으로 같이 테스트하는 것이므로 따로 테스트를 할 필요가 없다. 다만 만약 이렇게 해도 계속 위의 물음이 생각나면 객체를 분리할 시점인가를 검토해야한다. 그리고 객체를 분리시켜 해당 private 메서드를 해당 객체의 public 메서드로 두고 단위 테스트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나는 미션을 진행하면서 이런 물음이 생각났고 private 메서드를 리플렉션을 통해 테스트를 한 경우가 있는데 위의 해답을 듣고 나니 괜히 테스트를 한것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조금은 반성하게 된 계기였다. Q. 테스트에서만 필요한 메서드가 생겼는데 프로덕션 코드에서는 필요 없다면?답변은 만들어도 된다. 다만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즉, 어떤 객체가 마땅히 가져도 되고 미래지향적이면 만들어도 상관없다. 학습 테스트잘 모르는 기능,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기 위해 작성하는 테스트여러 테스트 케이스를 스스로 정의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동작과 기능을 학습관련 문서만 읽는 것보다 훨씬 재밌게 학습  Spring REST Docs테스트 코드를 통한 API 문서 자동화 도구API 명세를 문서로 만들고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현업을 원활하게 한다.기본적으로 AsciiDOC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한다. Spring REST Docs vs SwaggerSpring REST Docs장점테스트 코드를 통과해야 문서가 만들어진다. (신뢰도가 높다)프로적션 코드에 비침투적이다.단점코드 양이 많다.설정이 어렵다.Swagger장점적용이 쉽다문서에서 바로 API 호출을 수행해볼 수 있다.단점프로덕션 코드에 침투적이다.테스트와 무관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미션3 진행테스트코드의 마지막 미션을 진행하였다. 이번에 배운 어노테이션들, @BeforeEach가 적용하여 BDD 스타일 적용하는 실습등 미션을 진행했는데 해당 미션을 통해서 해당 어노테이션들에 대해 확실히 알 수 있었으며 BDD 스타일이 조금 적응된 것 같다.미션링크 깜짝 특강Day18 미션 공통 피드백핵심은 중복 제거가 아니고 도메인이다. 사용자, 게시물은 간접적이므로 setup()으로 댓글은 직접적이므로 given절에 배치해야 한다.Q&A잘문) REST API의 조건 중 하나인 hateoas에 대해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지와 제가 제대로 적용하고 있는지답변) 아직까지 사용한 곳을 본적이 없다고 하셨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시는데 단순히 hateoas를 적용하기에는 APP-FE-BE 간 긴밀한 스펙과 복잡한 동작들이 너무 많고 또 이미 만들어져 있는 구조를 hateoas 형태로 전환한다는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느끼신다고 하셨다. 또한 실무에서는 대부분 그런 규칙을 지키는 것보다 다른 중요한 것들이 더 많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고도 하셨다.코드리뷰우빈님께서 많은 칭찬을 해주셔서 몸둘 바를 모르겠지만 몇가지 피드백 사항이 있었다. 그 중에 제일 생각나는 피드백을 말하면 다음과 같다. given / when / then절에 설명하는 주석은 생략해도 좋다. 하지만 given절이 몇십줄이고 서로 다른 특징들이 나열되어 있다면 간단히 적는 걸 추천하신다고 하셨다.이것으로 모든 워밍업 클럽 진도가 완료가 되었다, 나 자신에게도 뜻 깊은 경험과 성장이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의 반복을 이뤄나가고 싶다.

백엔드인프런워밍업스터디클럽2기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발자국

양성빈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 테스트코드) 3주차 발자국

이 블로그 글은 박우빈님의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한 글입니다.어느덧 벌써 워밍업 클럽이 막바지로 가고 있는 것 같다. 워밍업 클럽을 참여 전의 나보다 많이 성장했는가를 항상 발자국 쓸때 돌이켜 물어보는 것 같다. 과연 성장을 했을끼? 나는 당당히 성장을 하였다고 생각을 한다. 해당 스터디를 통해 나의 생활도 지식도 성장이 되었다 생각하며 해당에 대한 물음은 워밍업 클럽 수료 후에 다시 되물음을 해보겠다.이번 주차에서는 이제 Readable Code 강좌가 완강이 되고 Practical Testing 강좌를 시작하는 주차다. 이번주도 열심히 달려본 내역들을 작성해보겠다. 강의소개이 강좌는 테스트가 처음이거나 테스트 코드는 들어봤거나 작성하려고 시도를 해본 경험이 있는등 테스트가 궁금한 모든 분들을 위해 나온 강의이다. 나도 해당 테스트를 어떻게 하면 잘 작성할지가 궁금하여 이 강좌를 듣게 되고 해당 워밍업 클럽을 참여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테스트를 작성하는 역량은 채용시장에서 주니어 개발자에게 기대하는 요소 중 하나다. 채용시 구현과제 등에서 테스트 작성여부, 테스트 코드 구현방식을 확인한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그 중요성을 알고 있는지도 확인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이번 강좌에서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두고 학습을 진행한다고 한다.📚 목표1. 테스트 코드가 필요한 이유2. 좋은 테스트 코드란 무엇일까?3. 실제 실무에서 진행하는 방식 그대로 테스트를 작성해가면서 API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방법4. 정답은 없지만 오답은 존재한다. 구체적인 이유에 근거한 상세한 테스트 작성 팁벌써부터 많은 기대를 품으며 다음 강의로 바로 가봐야 겠다. 어떻게 학습하면 좋을까?효과적인 학습을 하기 위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바로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것이다. 무엇을 모르는 지 아는것은 찾아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우리는 학습을 하면서 이 부분은 완벽히 아는 부분, 이 부분은 반만 아는 부분, 이 부분은 처음 들어보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그래서 강좌에서 함계 학습한 키워드와 추가 학습을 위한 키워드를 분리하여 키워드 기반으로 정리를 해주신다고 하니 많은 기대를 가지며 다음 강의부터 본격적으로 달려 볼 예정이다. 테스트는 왜 필요할까?기술 학습에 있어서 '왜?'가 중요하다. 테스트하면 생각나는게 무엇일까? 나는 처음 테스트코드를 볼때 굳이 해야하나? 개발시간만 더 늘릴뿐일텐데라는 생각을 하였다.그런데 만약 테스트코드가 없이 실제 인간이 수동으로 테스트를 하면 매우 큰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인간은 실수의 동물이기 때문이다. 또한 만약 기능을 개발할때 기존 기능을 건들게 된다면 기존 기능도 다시 테스트를 하는 시간낭비가 발생한다. ✅ 테스트 작성을 안하면?1. 커버할 수 없는 영역 발생2. 경험과 감에 의존3. 늦은 피드백4. 유지보수 어려움5. 소프트웨어에 대한 신뢰가 떨어딘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으면?변화가 생기는 매 순간마다 발생할 수 있는 모든 case를 고려해야한다.변화가 생기는 매 순간마다 모든 팀원이 동일한 고민을 해야한다.빠르게 변화하는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테스트코드가 병목이 된다면?프로덕션 코드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힘들어진다.테스트 코드 자체가 유지보수하기 어려운 새로운 짐이 된다.잘못된 검증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생긴다.올바른 테스트 코드자동화 테스트로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버그를 발견할 수 있고 수동 테스트에 드는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소프트웨어의 빠른 변화를 지원한다.팀원들의 집단 지성을 팀 차원의 이익으로 승격시킨다.가까이 보면 느리지만 멀리보면 빠르다.샘플 프로젝트 소개 & 개발 환경 안내해당 테스트 섹션에서는 카페 키오스크 시스템을 만들면서 테스트 학습을 할 예정이다.🛠 개발환경- IntelliJ Ultimate- Vim(Plugin) 프로젝트 세팅인텔리제이를 활용하여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build.gradle의 의존성 정리를 하였다. 수동테스트 VS. 자동화된 테스트요구사항주문목록에 음료 추가/삭제 기능주문목록에 전체 지우기주문목록 총 금액 계산하기주문 생성하기 해당 부분을 토대로 콘솔기반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였고 테스트 강의이니 해당 로직을 테스트 하기 위해 이 중 음료 추가에 대한 로직을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Test void add() {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cafeKiosk.add(new Americano());     System.out.println(">>> 담긴 음료 수: " + cafeKiosk.getBeverages().size());     System.out.println(">>> 담긴 음료: " + cafeKiosk.getBeverages().get(0).getName()); }위의 코드를 봤을 때 이렇게 테스트코드를 짜면 안된다고 직감을 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일단 최종단계에서 사람이 개입하고 어떤게 맞고 어떤게 틀리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또한 이 테스트는 100% 성공하는 케이스이기 때문에 뭔가 테스트라고 하기에 모호한것 같다. JUnit5로 테스트하기단위테스트작은 코드 단위를 독립적으로 검증하는 테스트검증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Junit5단위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프레임워크 AssertJ테스트 코드 작성을 원활하게 돕는 테스트 라이브러리풍부한 API, 메서드 체이닝 지원 해당 지식을 기반으로 우리가 이전 시간에 작성한 아메리카노부분과 카페머신의 대한 단위 테스트를 AssertJ를 이용하여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테스트 케이스 세분화하기스스로에게 질문해보자. 암묵적이거나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해보자. 그리고 해피케이스와 예외케이스를 둘다 생각하며 항상 경계값 테스트를 해보자.경계 값은 범위(이상, 이하, 초과, 미만), 구간, 날짜등을 일컫는다.그래서 우리는 음료에 여러잔을 담는 기능을 개발하고 해당 부분의 해피케이스에 관한 테스트를 작성했다. 또한 예외 케이스를 생각해 로직을 작성하고 해당 예외케이스에 대한 로직을 작성하게 되었다. 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기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은 다음과 같다.관측할 때마다 다른 값에 의존하는 코드현재 날짜/시간, 랜덤 값, 전역변수/함수, 사용자 입력 등외부세계에 영향을 주는 코드표준출력, 메세지 발송, 데이터베이스 기록 그래서 우리는 실습으로 주문을 생성할때 가게 영업시간이 아닐시, 주문을 못하게 하는 상황의 로직을 작성했고 테스트코드 작성 시 문제가 생겼다. 내가 현재 새벽에 테스트코드를 돌렸고 영업시간 전이기에 테스트코드가 실패한것이다. 결국 이 부분은 날짜를 파라미터로 받게 변경하여 해결하였다.📚 순수함수- 같은 입력에는 같은 결과- 외부세상과 단절된 형태-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 TDD: Test Driven Development프로덕션 코드보다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여 테스트가 구현과정을 주도하도록 하는 방법론Red: 실패하는 테스트 작성Green: 테스트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딩Refactor: 구현코드 개서느 테스트 통과 유지피드백TDD는 빠르게 피드백을 자동으로 받을 수 있다.선 기능 후 테스트 작성테스트 자체의 누락 가능성특정 테스트 케이스(해피 케이스)만 검증할 가능성이 크다.잘못된 구현을 다소 늦게 발견할 가능성이 있다.선 테스트 후 기능 작성복잡도가 낮은 테스트 가능한 코드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유연하며 유지보수가 쉬운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엣지 케이스를 놓치지 않게 해준다.구현에 대한 빠른 피드백 가능과감한 리팩토링이 가능클라이언트 관점에서의 피드백을 주는 Test Driven 테스트는 []다.테스트는 무엇일까? 테스트는 문서라고 볼 수 있다.프로덕션 기능을 설명하는 테스트 코드 문서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프로덕션 코드를 이해하는 시각과 관점을 보완어느 한 사람이 과거에 경험했던 고민의 결과물을 팀 차원으로 승격시켜서 모두의 자산으로 공유할 수 있다. DisplayName을 섬세하게@DisplayName을 사용하여 테스트 명을 구체화할때 명사의 나열보단 문장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테스트 행위에 대한 결과를 기술하는데 도메인 용어를 사용하여 매서드 자체의 관점보다 도메인 정책 관점으로 한층 추상화된 내용을 담는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테스트의 현상을 중점으로 기술하지 말자. 예를 들어 ~실패라기 보단 도메인의 내용을 담는것이 좋을 것 같다.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 스타일로 작성하기TDD에서 파생된 개발방법함수단위의 테스트에 집중하기보다 시나리오에 기반한 테스트 케이스(TC) 자체에 집중하여 테스트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추상화 수준(레벨)을 권장 Given / When / ThenGiven: 시나리오 진행에 필요한 모든 준비 과정(객체, 값, 상태 등)When: 시나리오 행동 진행Then: 시나리오 진행에 대한 결과 명시 및 검증 어떤환경에서(Given) 어떤 행동을 진행했을 때(When) 어떤 상태 변화가 일어난다.(Then)라는것을 토대로 @DisplayName을 상세히 적을 수 있다. 미션이번 미션은 저번에 Readable Code에서 진행했던 마지막 과제 프로젝트인 '지뢰찾가', '스터디카페'중에 1개의 프로젝트를 가지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조건은 BDD스타일로 3개이상의 클래스 총 7개 이상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었지만 나는 한층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테스트 커버리지 툴인 jacoco를 가지고 스터디 카페부터 진행을 하였다. 그 결과 테스트 커버리지 98%라는 결과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조금 더 욕심이 나서 지뢰찾기도 일부 클래스를 진행하였다. 이번 미션을 해보면서 어려웠고 힘들었지만 테스트 작성에 많이 익숙해진 경험을 가지게 되었다. 깃허브 주소 레이어드 아키텍쳐(Layered Architecture)와 테스트레이어드 아키텍쳐에서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Persentation Layer- Business Layer- Persistence Layer이렇게 레이어를 나눈 이유는 관심사의 분리때문일 것이다. 책임을 나눔으로서 유지보수성을 쉽게 가져가기 위함이다.🙋🏻 테스트 하기 어려워보여요!그렇게 보일 수는 있겠지만 앞선것과 기조는 비슷하다. 즉, 테스트하기 어려운 걸 분리하여 테스트하고자 하는 영역을 집중하며 명시적이고 이해할 수 있는 문서형태로 테스트 작성하는 것은 어떤 아키텍쳐든 동일하다.A와 B라는 모듈이 있다고 하자. 이 두 모듈을 더했을 때 뭐가 나올까? AB? BA? C? 누구도 예측하기 힘들다. 그래서 우리는 통합 테스트의 필요성이 느껴질 것이다.통합 테스트여러 모듈이 협력하는 기능을 통합적으로 검증하는 테스트일반적으로 작은 범위의 단위테스트만으로는 기능 전체의 신뢰성 보장X풍부한 단위 테스트 & 큰 기능 단위를 검증하는 통합 테스트의 조화가 필요. Spring / JPA 훑어보기 & 기본 엔티티 설계Spring스프링을 애기하면 먼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를 묻는다.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는 내 코드가 주최가 된다. 즉, 필요한 기능이 있다면 외부에 끌어와서 사용을 하는데 이게 라이브러리다. 반면 프레임워크는 이미 프레임(동작환경)이 있고 내 코드가 주최가 아니고 내 코드는 수동적으로 이 안에 들어가서 역할을 하는데 이게 프레임워크다.스프링을 애기하면 나오는 주요 3가지가 존재한다. IoC, DI, AOP다.- IoC(Inversion of Control): 객체의 생성과 의존성 관리를 프레임워크에 위임하는 개념.-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을 통해 객체 간 결합도를 낮추고 확장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향상시킴.-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횡단 관심사(공통 기능)를 분리하여 코드 중복을 줄이고 모듈성을 개선.ORM객체지향과 RDB 페러다임이 다름.이전에는 개발자가 객체의 데이터를 한땀한땀 매핑하여 DB에 저장 및 조회ORM을 사용함으로써 개발자는 단순 작업을 줄이고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 JPAJava진영의 ORM 기술 표준인터페이스이고 여러 구현체가 있지만 보통 Hibernate를 많이 사용반복적인 CRUD SQL을 생성 및 실행해주고 여러 부가 기능들을 제공편리하지만 쿼리를 직접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식으로 쿼리가 만들어지고 실행되는지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함Spring 진영에서는 JPA를 한번 더 추상화한 Spring Data JPA제공QueryDSL과 조합하여 많이 사용 Persistence Layer 테스트요구사항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키오스크 주문을 위한 상품 후보 리스트 조회하기상품의 판매 상태: 판매중, 판매보류, 판매금지판매중, 판매보류인 상태의 상품을 화면에 보여준다.id, 상품번호, 상품타입, 판매상태, 상품이름, 가격 이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우리는 엔티티설계부터해서 컨트롤러까지 즉, Presentation Layer, Business Layer, Persistence Layer까지 전반적으로 한 사이클을 돌면서 코드를 작성해보고 확인까지 진행해보았다. 그럼 이제 repository부분부터 테스트를 해보자.우리는 given-when-then 패턴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다. 여기서 살펴볼 것은 @SpringBootTest와 @DataJpaTest이다. 이 둘의 비슷하지만 차이점을 살펴보면 @SpringBootTest는 모든 부분의 의존성들을 주입시켜주지만 @DataJpaTest는 JPA관련된 부분만 주입을 시켜준다. 따라서 @DataJpaTest가 더 가볍다. 하지만 우빈님께서는 @SpringBootTest를 선호하신다고 하신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에 말씀주신다고 하셨다.그럼 Persistence Layer 역할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Data Access 역할비즈니스 가공로직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Data에 대한 CRUD에만 집중한 레이어여야 한다.ex) QueryDSL이나 별도 DAO를 사용하면서 비즈니스 로직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니 이 점을 생각하면서 작성해야 할 것 같다. Business Layer 테스트비즈니스 레이어에 대한 역할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역할persistence layer와의 상호작용(Data를 읽고 쓰는 행위)을 통해 비즈니스 로직을 전개시킨다.트랜잭션을 보장해야한다. 그래서 우리는 새로운 요구사항을 통해 해당 비즈니스 레이어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새로운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다.요구사항(1)상품번호 리스트를 받아 주문 생성하기주문은 주문상태 주문등록시간을 가진다.주문의 총 금액을 계산한다. 위의 요구사항으로 우리는 주문 엔티티를 설계하고 연관관계를 기존에 만든 상품 엔티티와 다대다 관계를 맺기 위해 중간 엔티티를 설계하고 각각으로 연관관계를 맺어두었다. 그리고 주문생성 로직과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다.다음으로 우리가 작성한 테스트들을 동시에 돌려보았다. 하지만 실패되는 테스트를 보게되었다. 우리가 작성한 비즈니스 레이어 테스트가 전부 성공하는게 아니라 일부 실패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전에 Persistence Layer에 작성한 테스트를 동시 실행해보면 그것은 괜찮았다. 차이는 @SpringBootTest와 @DataJpaTest 두 어노테이션 차이였다. 두 어노테이션을 타고 들어가서 확인하면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유무 차이였다. 그래서 실패되는 비즈니스 레이어에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될 것 같아 보였지만 우빈님께서는 tearDown 메서드를 만드셔서 데이터를 클리닝하는 작업을 해주셨다. 그 이유는 추후에 말씀주신다고 하셨다. 요구사항(2)주문 생성 시 재고 확인 및 개수 차감 후 생성하기재고는 상품번호를 가진다.재고와 관련 있는 상품타입은 병음료, 베이커리다. 새로운 요구사항으로 재고 개념이 도입되었다. 그래서 해당 엔티티를 설계후 개수 차감 로직을 작성하였다. 여기서 위에서 언급한 수동으로 tearDown 메서드로 삭제를 하나하나 해주냐 아니면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냐였다. 처음에 우리는 로직을 작성하고 해당 로직을 테스트할때 @Transactional어노테이션을 붙이지 않고 tearDown 메서드를 만들고 실행하였고 결과는 실패하였다. 정상적으로 재고가 감소가 안 된 것이다. 그래서 해당 로그와 쿼리를 보니 update 쿼리가 안 나간것이다. 원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커밋종료시점에 더티체킹으로 update 쿼리가 발생한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가 수동으로 감소하는 전략을 하였기에 더티체킹 기능이 활성이 안 된 것이다. 🙋🏻 그러면 왜 insert쿼리는 잘 나간거에요?jpa repository를 타고 들어가보면 crud repository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구현체를 보면 save 메서드에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잘 붙어져 있다. 이것은 delete도 마찬가지다.그래서 우리는 추후 살펴볼 것들이 있어 tearDown 메서드는 두고 @Transactional을 product 코드에 적용하기로 했다. 그리로 우빈님께서 이런 경우를 대비해 테스트에는 @Transactional을 붙이고 실질적으로 본 코드에는 안 붙이고 release하는 경우도 있으니 한번 생각하고 써야한다고 말씀을 주셨다.추가적으로 재고감소 로직은 동시성 이슈가 날 수 있는 대표적엔 케이스다. 지금은 키오스크가 1대밖에 없다 가정했지만 2대 이상이라면 동시성 이슈가 터질 것이다. 그래서 optimistic lock / pessimistic lock등을 고민해서 해결을 해야한다. 이 부분도 나중에 한번 더 스스로 공부해봐야겠다.

백엔드인프런워밍업스터디클럽2기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발자국

양성빈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 테스트코드) 2주차 발자국

이 블로그 글은 박우빈님의 인프런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한 글입니다.어느덧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을 시작한지도 2주째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번주 1주에 대한 회고를 시작해보려고 한다.이번주도 여러가지를 배우고 많은 경험이 된 한 주였다. 그럼 회고를 시작하겠다. 완주 및 우수러너를 위해 오늘도 달려본다.주석의 양면성클린코드 관점에서 주석은 죄악이냐 아니냐 논쟁이 많다.주석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코드에 잘못 녹였다는 이야기코드를 설명하는 주석을 쓰면 코드가 아니라 주석에 의존한다. 주석에 의존하여 코드를 작성하면 적절하지 않은 추상화 레벨을 갖게 되어 낮은 품질의 코드가 만들어 진다. 🙋🏻 아니 그러면 주석 언제 써요?- 우리가 리팩토링 할때 정말 큰 난관 중 하나가 히스토리를 전혀 알 수 없는 코드다.- 후대에 전해야 할 "의사결정의 히스토리"를 도저히 코드로 표현할 수 없을 때 주석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주석을 작성할 때 자주 변하는 정보는 최대한 지양해서 작성한다.- 만약 관련 정책이 변하거나 코드가 변경되었다면 주석도 잊지 않고 함께 업데이트 해야한다. 주석이 없는 코드보다 부정확한 주석이 달린 코드가 더 치명적이다.우리가 가진 모든 표현방법을 총동원해 코드에 의도를 녹여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달해야할 정보가 남았을때 사용하는게 주석이다.이번 예제 실습은 주석이 달린 gameStatus를 enum으로 변경하고 관련 비즈니스 로직을 MineSweeper가 아니라 GameBoard에 있는게 어울려 그곳으로 변경하였다.변수와 메서드의 나열 순서변수는 사용하는 순서대로 나열한다.인지적 경제성메서드의 순서도 고려해보아야 하는데 객체의 입장에서 생각하자.객체는 협력을 위한 존재이다. 외부세계에 내가 어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드러낸다. (정해진 답은 아니지만 우빈님 추천) 공개 메서드들을 상단에 배치하고 나머지를 private 메서드들로 나열한다.공개 메서드들끼리도 기준을 가지고 배치하는 것이 좋다.객체지향을 하다보면 중요한 객체의 경우 메서드가 수십개까지도 늘어날 수 있는데 중요도 순, 종류별로 그룹화하여 배치하면 실수로 비슷한 조직의 메서드를 중복으로 만드는 것을 일관성 있는 로직을 유지할 수 있다.상태변경을 최우선, 그 이후는 판별, 조회로직이 있는 메서드들 순으로 한다.비공개 메서드는 공개 메서드에서 언급한 순서대로 배치한다.공통으로 사용하는 메서드라면 (가장 하단과 같이) 적당한 곳에 배치한다. 이를 통해 우리의 예시 코드도 이와 같이 리팩토링 하는 작업을 해보았다.패키지 나누기패키지는 문맥으로써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패키지를 쪼개지 않으면 관리가 어려줘 진다.패키지를 너무 잘게 쪼개도 마찬가지로 관리가 어려워진다.대규모 패키지 변경은 팀원과의 합의를 이룬 시점에 하자.현재 기준으로 본인만 변경하고 있는 부분이라면 괜찮으나 여러 사람이 변경중인 부분이나 공통으로 사용하는 클래스들의 패키지를 한번에 변경하면 추후 브랜츠 충돌이 날 수 있다.따라서 처음 만들때부터 잘 고민해서 패키지를 나누는 것이 좋다.  기능 유지보수하기 (1) - 버그 잡기해당 시간에는 깃발이 전부 꼽았을때 승리조건으로 가는 오류를 고쳐보았다. 이 수정을 통해 우리가 객체지향적으로 작성하여 수정될 곳이 적었지만 만약 이전의 코드였다면 여러군데 고쳐야 할 우려가 있었을 것이다.기능 유지보수하기 (2) - 알고리즘 교체하기 DFS(깊이 우선 탐색) -> 재귀, StackBFS(너비 우선 탐색) -> Queue재귀를 이용한 DFS도 결국 stack이다.스레드마다 생기는 스택영역에는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frame이 쌓인다.frame은 지역변수, 연산을 위한 정보등을 담고 있다.stack영역은 결국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우리가 필요한건 각 Cell의 모든 메서드 정보가 아니다. 각 Cell의 CellPosition만 있다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래서 해당 부분을 통해 우리는 재귀 로직을 stack형태로 변경을 해보았다.IDE의 도움 받기읽기 좋은 코드란 결국 가독성이 좋아야 한다. 이것을 위해 IDE의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코드 포맷 정렬: option + cmd + L | Ctrl + Alt + L코드 품질: SonarLintlint: 잠재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오류, 버그, 스타일등을 미리 알려주는 코드품질 체크도구포맷규칙: .editorconfig여러사람과의 협업을 염두하면 IDE의 기본 포맷팅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스타일은 혼자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팀 내 합의로 도출되어야 한다.한번 정해지면 절재적인것이 아니라 사용하면서 계속 의견을 듣고 개선/반영하는 것이 좋다. 이런 기능들을 이용하여 우리 예제 프로젝트들도 포맷팅 및 리팩토링을 해보았다. ex) Stack -> Deque연습프로젝트 소개이번에는 새로운 도메인인 '스터디카페 이용 시스템'을 리팩토링하기 전 코드 해석을 하였다. 우빈님께서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중점으로 리팩토링을 해보시라고 하셨다.1. 추상화 레벨 (메서드 추출등)2. 객체로 묶어볼 만한 것은 없는지..3. 객체지향 페러다임에 맞게 객체들이 상호협력하고 있는지4. SRP: 책임에 따라 응집도 있게 객체가 잘 나뉘어져 있는지5. DIP: 의존관계 역전을 적용할만한 곳은 없는지6. 일급 컬렉션그래서 미션을 진행해보고 한번 강의를 학습해야겠다.미션3해당 미션을 하면서 조금은 많은 부분을 느꼈다. 일단 이렇게 클린코드 관점으로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것이 처음이기에 매우 익숙치 않았고 상당히 오래 걸렸다. 일단 나 나름대로 처음에 소개해준데로 리팩토링을 해보았자만 현재 코드에 대해 나름대로 만족을 한다.미션3 깃허브 링크리팩토링 (1) - 추상화 레벨해당 부분에는 예제 프로젝트에서 중복제거 및 메서드 추출 및 객체에 메세지를 보내어 getter방지를 해보았다. 내가 했던 미션과 비교를 해보니 이 부분은 대강 얼추 방향성을 잘 따란것 같다. 나는 여기서 추가적으로 라커 정책을 구현하였는데 이 부분은 내가 잘한 부분인지는 아직도 헷갈린다.리팩토링 (2) - 객체의 책임과 응집도이번 강의에서는 배울 점이 많았다. 나는 해당 설정 관련 부분들을 config에 빼고 해당 config를 getter로 삼는 provider로 넘겨주는 식으로 하였다. 하지만 I/O통합 부분은 진짜 강좌를 보면서 "아! 이것도 있었지.."라는 생각이 들며 조금은 반성이 되었다. 나머지 일급 컬렉션, display()의 책임 분리, Order객체로 분리하여 비즈니스 로직 이관까지는 그래도 비슷하게 갔던것 같다. 나는 거기서 조금 if문 3개로 나눠진 display를 switch문으로 변경까지 조금 읽기 쉬운 코드로 변경해보았다.리팩토링 (3) - 관점의 차이로 달라지는 추상화해당 부분은 나는 DIP 생각 없이 지뢰때 했던것 처럼 초기화 로직과 실행로직을 분리하고 이렇게 생각하니 FileHandler부분도 두개의 메서드를 분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고 그렇게 분리를 하였는데 강의에서는 DIP원칙을 적용하여 했었던것이다. 왜 그런지 모르고 그냥 기계처럼 한 것이 조금 반성스럽고 고쳐야할 부분이라 생각이 든다.능동적 읽기복잡하거나 엉망인 코드를 읽고 이해하려 할 때 리팩토링 하면서 읽기공백으로 단락 구분하기메서드와 객체로 추상화 해보기주석으로 이해한 내용 표기하며 읽기우리에게는 언제든 돌아갈 수 있는 git reset --hard가 있다.핵심목표는 우리의 도메인 지식을 늘리는 것 그리고 이전 작성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 이전까지 나는 코드를 눈으로 해석하고 리팩토링 하려는 습관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코드를 분리해보고 주석도 달아보면서 리팩토링하면서 읽어가야겠다는 습관으로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오버 엔지니어링필요한 적정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엔지니어링ex) 구현체가 하나인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 형태가 아키텍쳐 이해에 도움을 주거나 근시일내에 구현체가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면 OK.구현체를 수정할때마다 인터페이스도 수정해야함.코드 탐색에 영향을 줌 / 어플리케이션이 비대해짐ex) 너무 이른 추상화정보가 숨겨지기 때문에 복잡도가 높아진다.후대 개발자들이 선대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지금 이 내용을 학습해보니 이전에 미션3에서 내가 구현한 코드들이 오버엔지니어링이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반성하게 되었다.은탄환은 없다클린코드도 은탄환은 아니다.실무: 2가지 사이의 줄다리기지속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품질 vs 기술부채를 안고 가는 빠른 결과물대부분의 회사는 돈을 벌고 성장해야하고 시장에서 빠르게 살아남는 것이 목표이런 경우에도 클린코드를 추구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미래시점에 잘 고치도록 할 수 있는 코드센스가 필요하다. 결국은 클린코드의 사고법을 기반으로 결정하는 것모든 기술의 방법론은 적정 기술의 범위 내에서 사용ex) 당장 급하게 배포나가야 하는데 동료에게 style관련된 리뷰를 주고 고치도록 강요하는 사람도구라는 것은 일단 그것을 한계까지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그것을 사용하지 말아야 할때도 아는 법이다.적정 수준을 알기 위해 때로는 극단적인 시도도 필요하다. 이것을 보고 미션때 오버 엔지니어링을 해보는것도 좋은 경험이 되었다고 다시 느끼게 되었다.📚 기술부채란?현 시점에서 더 오래 소요될 수 있는 더 나은 접근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쉬운(제한된) 솔루션을 채택함으로써 발생되는 추가적인 재작업의 비용을 반영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한 관점마무리하며드디어 해당 강의가 마무리 되었다. 여기서 가장 핵심은 추상이다. 우리는 또한 추상과 구체를 인식할 수 있다. 김창준님께서 집필하신 '함께자라기'라는 책을 보면 알듯이 추상과 구체를 넘나들어야 한다. 때로는 bottom-up 때로는 top-dowon을 사용하면서 추상적인 시각과 구체적인 시각을 자유롭게 사용해보고 조금 더 읽기 쉽고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Day4 공통 피드백내 코드가 예시로 나왔다 우빈님께서 해주신 말씀은 아래와 같았다.1. boolean으로 return하고 있는 메서드에 예외를 발생시키는데 시도는 좋으나 항상 메서드의 사용현황을 파악 후 상황에 맞게 리팩토링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예외 던지는 것은 비싸기에 항상이 아닌 신중하게 하시라고 조언을 주셨다.2. 추출한 메서드의 static 키워드가 존재한다면 인텔리제이 IDE에서 메서드 추출을 하면 자동으로 붙기에 알아서 제거해줘야 한다.3. 상황에 맞게 적절한 수준의 리팩토링이 좋다. 너무 자세히 가면 오버 엔지니어링이 된다.Day7 코드리뷰내가 만든 코드에서 StudyCafeConfigProvider라는 객체를 만들고 사용중이였는데 아래와 같이 이 안에는 전부 static 메서드만 있었다.public class StudyCafeConfigProvider {     private static final StudyCafeConfig CONFIG = new StudyCafeConfig();     public static InputHandler getInputHandler() {         return CONFIG.getInputHandler();     }     public static OutputHandler getOutputHandler() {         return CONFIG.getOutputHandler();     }     public static StudyCafeSeatReadProvider getStudyCafeSeatReadProvider() {         return CONFIG.getStudyCafeSeatReadProvider();     }     public static StudyCafeLockerReadProvider getStudyCafeLockerReadProvider() {         return CONFIG.getStudyCafeLockerReadProvider();     }     public static Map<StudyCafePassType, StudyCafePassType> getStrategyMap() {         return CONFIG.getStrategyMap();     }     public static Map<StudyCafePassType, LockerPolicyType> getLockerPolicyMap() {         return CONFIG.getLockerPolicyMap();     } }이런 경우에는 private constructor를 만드는것이 좋다고 SonarLint에서 알려준다. 하지만 내 인텔리제이에서는 SonarLint를 적용되어 있지만 경고가 따로 뜨지 않았는데 이 부분은 한번 자세히 살펴봐야겠다.자세한 리뷰 및 후기는 추가 포스팅을 하여 정리해봐야겠다.후기이번 주도 금방 지나갔다. 리뷰를 들으면서 많은 고민과 생각이 들었다. 또한 다른 러너분들의 코드를 보면서 신박한 생각과 좋은 점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우빈님이 주신 피드백과 다른분들의 코드중에 좋은 점들을 채택해서 더 좋은 코드들로 한번 리팩토링을 다시금 해봐야겠다. 다음주부터는 테스트 강의의 시작이다. 테스트도 조금은 걱정이 되지만 열심히 해서 조금 더 성장하는 주가 되었으면 하는걸로 마무리를 지어보겠다.

백엔드인프런워밍업스터디클럽2기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발자국

양성빈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 테스트코드) 1주차 발자국

이 블로그 글은 박우빈님의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한 글입니다.드디어 0기때 이후 첫 발자국을 작성해보는 시간이다. 처음 마음 먹었던 초심을 생각하며 0기때보다 더 나은 활동을 해보자고 다짐하며 이 글을 써내려간다.강의 소개처음 이 강의를 듣기 전, 나는 아래와 같이 생각했다.🤔 읽기 좋은 코드가 과연 무엇일까? 읽기 좋은 코드는 왜 필요할까?해당 물음을 가지고 강의를 듣기 시작하였다.우리는 코드를 작성(쓰기)보단 읽는데 시간을 더 많이 투자한다. 기존 코드에 내 코드를 추가하기 위해 내가 과거에 작성한 코드 혹은 다른 동료분들이 작성한 코드를 읽는다고 해보자. 하지만 이해가 안된다면 다시금 읽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많은 시간 끝에 이해라는 경지에 도달하거나 절망이라는 경지에 도달할 것이다. 결국 코드를 작성한다는 것은 모두가 이해하기 쉬운 읽기 기반의 코드를 작성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코드를 잘 짠다라고 말하는 것은 결국 읽기가 좋다는 의미이고 읽기 좋은 코드는 결국 미래를 위해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이 든다.또한 우린 가끔 이런 말을 하곤 한다. 나도 몇번 들었던 말이다.코드는 작성하고 난 순간부터 레거시다.여기서 레거시란, 오래되고 유지보수가 힘든 코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우리가 작성한 코드들은 먼 훗날의 레거시 코드가 되고 이 레거시 코드들을 유지보수 할 미래의 나 혹은 동료들을 위해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함이 좋을듯 싶어진다. 나 또한 이번에 제대로 학습하여 실무에도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읽기 쉬운 코드 작성하는 현재까지 생각- 미래를 위해 그래야함- 유지보수 하기 좋음- 미래의 나와 동료를 위해 읽기 쉬운 클린코드를 작성해야함. 강의 구성클린코드, 리팩토링 과정의 최고의 연습은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다.테스트 코드를 작성문화를 가진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아래의 절차를 가진다.🛠 리팩토링 프로세스 (주관적인 생각)1. 리팩토링 대상/범위 확인2. 기능보장을 위한 테스트 코드 작성3. 리팩토링4. 테스트 코드 검증위의 프로세스로 리팩토링을 진행하지만 우빈님께서는 현재 테스트코드 없이 진행한다고 하셨다. 또한 롬복도 사용을 하지 않으신다고 하며, 순수코드에 집중한다고 하셨다.나 또한 이번에 우빈님 말씀대로 순수코드에 집중해보며, 시간과 여유가 있을 시, 내가 스스로 테스트 코드도 작성해봄이 좋을 것 같다! 강의에 사용할 용어들 📚 용어정리- 도메인(domain): 실무에 자주 사용되는 말들로, 해결하고자하는 문제영역들을 말한다.(비즈니스 요구사항 함축)- 도메인 지식: 도메인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레거시, 유산: 우리가 현자 가지고 있는 코드- 조상: 과거의 나 / 동료 / 이 코드를 작성했던 개발자분들- 후손: 미래의 나 / 동료 / 내가 만든 코드들을 보게 될 많은 개발자분들 우리가 클린코드를 추구하는 이유 우리는 왜 클린코드라는 것을 지켜야 하는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가독성때문이다. 가독성이 좋다라는 것은 이해가 잘된다는 것을 말하며 그것은 곧 유지보수가 수월해지며 그 만큼 우리의 시간과 자원을 절약한다. 세상에는 클린코드라 지칭하는 수많은 원칙들과 조언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원칙들을 관통하는 아주 중요한 주제가 있는데 그게 바로 추상이다. 이번부터 추상을 한번 알아보자. 프로그램의 정의 그러면 추상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내가 생각하는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 프로그램 = 설치하는 것 쉽게 생각해서 프로그램은 설치하는것이라 알고 있었다. 거기서 프로그램의 구조는 데이터 + 코드로 이루어진다 생각한다. 그래서 앞으로 이 2가지를 가지고 데이터의 추상과 코드의 논리를 가지고 학습해볼 예정이다. 추상과 구체 이제 본격적으로 추상을 들어가보자. 추상하면 같이 따라 다니는 단어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구체이다. 이 두 단어는 매우 중요한 단어이다. 추상이라는 단어가 무엇일까? 우빈님께서 한자와 위키백과, 피카소의 명언을 참조하셔서 말씀을 해주셨듯이 추상은 아래와 같다. 📚 추상- 구체적인 정보에서 어떤 이미지를 뽑아내는 것이다- 중요한 정보는 가려내어 남기고 덜 중요한 정보는 생략하여 버린다.- 추상은 항상 구체적인 실제에서 시작해야한다.(feat. 피카소) 즉, 위에 이야기를 토대로 나온 것이 추상화 레벨이다. 즉, 추상화라 하는 것은 내가 생각했을 때 추상적인 것이 몇 %이고 구체적인것이 몇 %이냐라는 것이다. 쉽게 비유하면 이런것이다. 친구와 이야기를 나눌때 진지함 30%이고 농담 70% 주제야!라고 한다. (개인적인 이야기) 아무튼 추상화는 중요한것 같다. 하지만 막상 너무 어렵게 느껴진다. 하지만 오히려 인간은 추상화 능력이 매우 뛰어난 존재이다. 예시를 보자. 친구와 아래와 같이 이야기를 했다 해보자. 🗒 예시Q. 주말에 뭐했어?A. 나는 하나의 큰 공간에서 나의 신경을 이용해 나의 걷는 수단으로 하나의 큰 구체를 차는 행위를 했어! 이렇게 했을 때 친구의 반응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유추를 어느정도 해볼 수 있다. 🗒 예시Q. 주말에 뭐했어?A. 축구했어! 첫번째 예시는 구체이고 바로 위의 예시가 추상화 과정이다. 추상화: 정보 함축, 제거 구체화: 유추, 정보재현 이해 이것은 컴퓨터 과학에서도 사용된다. 🙋🏻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르는데 어떻게 고수준의 작업을 할까? 먼저 정답을 이야기하면 바로 추상화과정때문이다. 그럼 자세히 들어가보자. 1bit가 무엇일까? 0과 1을 의미한다. 이것은 정보의 최소단위이고 이것은 결국 전구의 켜짐과 꺼짐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존재성이라 한다. 1byte는 무엇일까? 용량의 최소단위이며 8bit를 묶어서 1byte라 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자료형을 이야기할때 몇byte를 묶어서 하나의 자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터(bit) 덩어리를 짤라서 묶고 어떻게 읽을것인가이다. 즉, 이것이 추상화이다. 또한 AND나 OR같은 논리 연산식도 데이터와 데이터가 만나 새로운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을 의미한다. 즉, 종합해보면 이전에 프로그램을 데이터와 코드로 나타냈는데 위의 예시를 통해 각각 추상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고수준 작업은 무엇일까? 고수준이라는 것은 추상화 레벨이 높다는 것이고 그와 반대로 저수준은 추상화 레벨이 낮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계어,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 OSI7 Layer를 예로 보면 확 알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읽기 좋은 코드를 이야기 하고 있는데 왜 추상화 과정이 필요할까? 적절한 추상화는 복잡한 데이터와 복잡한 로직을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돕는다. 즉, 읽기 쉽다! 예시를 통해 보자. 성빈나라에 축구라는 것을 뻥뻥이라고 해보자. 그리고 친구한테 뻥뻥이했다라고 말하면 친구는 못알아 들을 것이다. 이렇게 못알아 듣는 이유 즉, 추상으로부터 구체를 유추하지 못한 이유는 추상화 과정에서 중요정보를 부각시키지 못했고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정보를 제거했기 때문이다. 또한 해석자가 동일하게 공유하는 문맥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말은 중요한 정보는 기준이 각각 다르고 즉, 도메인 별로 추상화 기준이 다르다는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다른 실무진들이 도메인 지식이 중요하다는 것도 이와 같기 때문이라 생각이 든다. 잘못된 추상화는 side-effect를 유발하며 이는 매우 critical하다. 적절한 추상화는 해당 도메인의 문맥 안에서 정말 중요한 핵심개념만 남겨서 표현한다. 적절한 추상화의 대표적인 행위가 바로 이름짓기인데 한번 이름짓기에 대해 살펴보자. 이름 짓기 개발자들이 업무를 하면서 무엇이 가장 힘드냐고 물어보면 10의 9은 "이름짓기"가 힘들다고 말한다. 나 또한 실무에서 변수명같은것을 짓는데만 30분을 소비한 경험이 있곤 하다. 그런데 진짜로 이름 잘 짓는게 중요할까? 나는 중요하다고 본다. 중요하지 않은 일을 이렇게 시간투자하면서 많은 개발자들이 힘들게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이름 짓는다는 행위는 추상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한다.추상적인 사고는 첫째, 표현하고자 하는 구체에서 정말 중요한 핵심개념만을 추출하여 잘 드러내는 표현이며, 우리 도메인의 문맥안에서 이해되는 용어이다. 그럼 이름 짓는 주의 점들을 살펴보겠다. 단수, 복수 구분 끝에 -(e)를 붙여서 어떤 데이터(변수, 클래스)가 단수인지 복수인지 나타내는 것만으로도 읽는이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이름 줄이지 않기 줄임말이라는 것은 가독성을 제물로 바쳐 효율성을 얻는 것으로 대부분 잃는 것에 비해 얻는 것이 적다. 즉, 자재하는 것이 좋으나 관용어처럼 많이 사람들이 사용하는 줄임말이 존재한다. column → col, latitude → lat, longitude → lon, count -> cnt 위의 예시에서 count를 줄이는 것은 우빈님은 비추하신다고 하셨다. 왜냐하면 겨우 5글자에서 3자로 줄이고 cnt만 봤을때 count라고 연상이 안된다고 하셨는데 그 이야기를 들어보니 나도 뭔가 와 닿지 않았다. 이전까지 실무에서도 귀찮을때 이렇게 줄이곤 했는데 조금 반성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 같았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줄임말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사실 문맥을 보고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익명 클래스에 저런 관용어가 있다고 해보자. 처음 보는 신입 개발자는 알 수 없을 것이다. 은어, 방언 사용 X 농담에서 파생된 용어, 일부 팀원, 현재 우리팀만 아는 은어 금지해야한다. 만약 다른 개발자가 해당 코드를 보면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되도록 도메인 용어를 사용하자! 우리도 실무에서 도메인 용어 사전을 엑셀로 만들어서 사용하곤 한다. 이러닝 도메인을 가진 우리의 예로 보면 스코라는 단위를 표현할때 sco라는 표현 혹은 sc를 많이 사용한다. 물론 이렇게 정의되었더라도 하나로 정하면 그 프로젝트에서는 그것으로 밀고 사용해야한다. 좋은 코드 보고 습득하기 비슷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 개념을 습득하자. github에 open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의 코드를 보면서 용어들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느껴졌다. ex. pool, candidate, threshold등 (일상 용어 != 코드용어) 그럼 이제 코드를 통해 우빈님이 제공해준 코드를 고쳐보자. 자세한 것은 강의를 통해 확인해보고 간략히만 설명해보겠다. 아래와 같이 의미가 없는 변수들을 변경해보았다. 대표적으로 for문의 i와 j의 변수를 아래와 같이 변경해보았다. for (int row = 0; row < 8; row++) {   for (int col = 0; col < 10; col++) {     board[row][col] = "□";   } } 이런식으로 나머지도 수정을 해보았다. 추가적으로 나는 주석도 달아보았다. 주석이 없으니 우빈님과 코드를 읽으면서 뭔가 난해한 부분도 많기 때문에 주요 로직에 주석을 다는것도 Readable code이지 않을까? 메서드와 추상화 잘 쓰여진 코드의 메서드는 반드시 1개의 주제를 가져야 한다. 메서드의 선언부로 우리는 구체적인 내용을 추상화 할 수 있다. 만약 그렇게 하기 힘들다면 그 메서드는 2가지 이상의 일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역할분리가 힘든 메서드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메서드를 작성할때 생략할 정보와 의미를 부여하고 드러낼 정보를 구분하는것이 중요하다. 즉, 추상화가 중요하다. 만약 아까처럼 메서드 내용을 보고 이름을 유추하기 힘들다면 그 메서드 안에 의미를 담을 수 있는 더 작은 단위로 쪼개고 그 쪼갠것을 보고 하나의 유추할 수 있는 포괄적 의미의 메서드 이름을 적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메서드 선언부 메서드 선언부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반환타입 메서드명(파라미터) {} ✅ 용어정리메서드 명과 파라미터를 통틀어서 메서드 시그니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메서드 시그니처를 통해서 자바에서 오버로딩이 가능하다. 메서드는 추상화된 구체를 유추할 수 있는 적절한 의미가 담긴 이름이어야 한다. 또한 메서드의 파라미터라는 정보를 통하여 더 풍부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보통 메서드 명을 동사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지만 반드시 일 필요는 없다. 단순 데이터 반환 같은 경우는 명사로 하여도 무방하다. 파라미터와 같이 사용할때 메서드 명은 보통 전치사로 끝나는게 좋다고 하셨다. int selectedColIndex = convertColFrom(cellInputCol); int selectedRowIndex = convertRowFrom(cellInputRow); 위와 같이 표기하면 확실히 읽을때 명확해짐을 볼 수 있었다. 파라미터의 타입, 개수, 순서를 통하여 의미전달이 또한 가능하다.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자. public void createLecture(String title, String localDateToString) {} public void createLecture(String lectureTitle, LocalDate openDate) {} 위의 두 메서드중에 2번째것이 명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것이다. 첫번째 메서드는 메서드를 사용할때 두번째 파라미터에 무엇을 넣어야 하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외부와 소통하는 창이라고 볼 수 있다. 사용하는 입장에서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메서드 시그니처에 납득이 가는 적절한 타입의 반환값을 돌려줘야 한다. 만약 납득이 안 간다면 문제가 있는 메서드일 확률이 높다. 또한 void 대신 충분히 반환할만한 가치가 있는 값이 있는지 고민을 해보는게 좋을 것이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메서드를 리팩토링 과정을 거쳐 추상화함에 있어서 너무 긴 코드들을 메서드로 묶는다는 생각보단, 추상화가 필요한 부분을 리팩토링한다고 생각하는것이 좋다. 단 1줄이더라도 추상화할만한 가치가 있다면 하는것이 좋다. 그래서 강의를 통해 예제 프로젝트를 기능단위로 묶어서 메서드로 분리함으로 조금 더 깔끔한 코드로 리팩토링 실습을 해보았다. 추상화 레벨 우리는 이전까지 엄청 긴 코드들(구체)에서 추상화 과정을 거쳐서 메서드를 추출해보았다. 이렇게 메서드를 추출하는 그 순간 읽는 자 기준으로 외부세계와 내부세계의 경계가 생긴다. 당연하게 생각해보면 쭉 코드를 읽다가 갑자기 메서드를 보면 살짝 멈칫할 것이다. 여기서 외부세계란 추상화 레벨이 높은 세계이고 내부세계란 추상화 레벨이 낮은 구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그래서 내부세계에서는 구체적인 내용이 들어가 있고 외부세계에서는 메서드의 필요한 파라미터를 내부세계로 넘겨서 메서드명과 반환타입을 전달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하나의 세계 안 에서 추상화 레벨은 동등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한다면 레벨을 맞추게 추상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래서 실습을 통하여 같은 추상화 레벨이 되도록 메서드들을 분리해보았는데 나는 여기서 몇몇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었다. 이 부분은 질문을 해봐야 겠다. 매직 넘버, 매직 스트링 매직 넘버, 매직 스트링을 알기 전에 상수부터 알아보자. 상수로 추출한다는 것은 하나의 이름을 부여한다는 것이고 즉, 추상화 한다는 것이다. 매직 넘버와 매직 스트링은 의미를 갖고 있으나 상수로 추출되지 않은 숫자나 문자열을 의미하며 이름을 부여함으로 읽기 좋은 코드에 다가간다. 실습을 통해 매직 넘버와 매직 스트링을 상수로 추출해보았다. 미션1 해당 미션을 진행하면서 구체와 추상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었다. 조금은 어색했지만 예시들을 몇개 해보니 당연한 것들이었다.제가 작성한 미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미션1 링크  뇌 메모리 적게 쓰기 정리하는 시스템에서 중요한 과제는 최소한의 인지적 노력으로 최대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뇌 과학에서 이야기를 한다. 지금 내가 생각해보면 그렇다. 인간의 뇌가 컴퓨터 메모리라고 하였을때 우리의 뇌는 싱글 스레드 기반으로 처리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사물을 보았을때 다른것을 생각할때 컨텍스트 스위칭이라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우리의 뇌는 다른 것을 생각할때 범주화라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범주화란 특정 대상의 특징들을 분류하는 작업을 말한다. 즉, 범주화를 통해 우리의 뇌는 최소한의 기억 데이터로 최대 효과를 볼 수 있다. 우리의 뇌는 싱글 스레드 기반으로 돌아간다고 하였고 만약 멀티태스킹을 진행할 경우 수행능력이 떨어지며 속도가 저하된다. 그래서 우리의 뇌는 최소의 인지로 최대의 효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코드도 같다. 결국 이것을 기반으로 우리의 뇌에 적은 메모리가 올라가야 읽기 쉬운 코드가 된다. 후손들이 코드를 읽을때 독자의 메모리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쓸지 고민을 해야 좋은 코드가 된다 생각한다. Early return if else if else구조는 우리의 뇌 메모리를 생각해야 한다. 왜냐하면 else if문을 생각하면 앞의 조건식을 한번 더 생각해야하기 때문이고 else문도 마찬가지다. 그럼 해결책은 무엇이 있을까? 이 조건식들을 하나의 메서드로 추출하고 else if문과 else문을 지우고 if문들을 만들어 거기서 바로 return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if문뿐만 아니라 switch문에도 같이 적용된다. 즉 결론은 아래와 같다. Early return으로 else의 사용을 지양 그래서 해당부분을 예제 코드에서 리팩토링 하는 과정을 거쳐봤다. 사고의 depth 줄이기 사고의 depth 줄이기가 나오면 아래의 2가지를 들 수 있다. 1. 중첩 분기문, 중첩 반복문2. 사용할 변수는 가깝게 선언하기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자. 중첩 분기문, 중첩 반복문 왜 사고의 depth를 줄여야 하나? 이유는 이전에 설명했듯이 간단하다. for (int i = 1; i <= 9; i++) {   for (int j = 1; j <= 9; j++) {     if (i >= 2 && j < 8) {       doSomething();     }   } } 위의 코드를 실행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첫번째 반복문이 뇌에 입력이 될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 반복문을 만나면 그것도 뇌에 입력이 될 것이다. 그 다음 조건식을 보면 이것또한 뇌에 입력이 되어 같이 생각을 하면 메모리를 많이 쓰게 된다. 그러면 어떻게 추출할까? 아래와 같이 추출할 수 있을듯 하다. for (int i = 1; i <= 9; i++) {   doSomethingI(); } private void doSomethingI() {   for (int j = 1; j <= 9; j++) {     doSimethingIJ();   } } private void doSimethingIJ() {   if (i >= 2 && j < 8) {       doSomething();     } } 위와 같이 메서드로 추출하면 외부의 벽이 생긴다. 그렇게 뇌의 메모리를 분리시켜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메서드는 다른 메서드들이나 조건들을 생각을 안해도 된다. 그렇다고 무조건 1 depth로 만들자고 하는 것은 아니다. 보이는 depth를 줄이는데 급급한것이 아니라 추상화를 통한 사고과정의 depth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2중 중첩구조로 표현하는 것이 사고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메서드 분리보다는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때로는 메서드 분리하는 것이 더 혼선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의 실습에서는 메서드 분리보단 Array-Stream을 사용하여 해결을 하였다. 그 이유는 row와 col을 사용하는 이중 반복문이 있는데 이를 각각 메서드로 분리하는게 이상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row-col은 하나의 세트처럼 작동하기에 분리가 조금 애매했다. ⚠ 주의그렇다고 무조건 Stream을 쓰라는 말도 아니다. 사용할 변수는 가깝게 선언하기 당연한 애기다. 애를 들어 변수를 선언하고 100줄정도 있다가 그 변수를 사용한다면 선언한 이 변수가 뭐였는지 다시 찾아보는 비효율적인 행동을 해야한다. 우리는 예제코드의 Scanner를 가깝게 위치시켰고 그러다보니 무한반복문에 위치하게 되어 이것을 상수로 바꿔보고 리팩토링 하는 과정을 보았다. 공백 라인을 대하는 자세 공백라인도 의미를 가진다. 복잡한 로직의 의미단위를 나누어 보여줌으로 읽는 사람에게 추가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해당 부분을 실습을 통해 의미단위로 끊어보았다. 부정어를 대하는 자세 부정연산자는 생각을 2번하게 만든다. 해당 조건을 먼저 이해해야하고 해당 조건이 아닌 상황을 한번 더 생각해야하기 때문이다. 즉, 가독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해결방안은 아래와 같다. 1. 부정어구를 쓰지 않아도 되는 상황인지 체크2. 부정의 의미를 담은 다른 단어가 존재하는 지 고민 or 부정어구 메서드 구성 해당 부분을 토대로 예시코드를 리팩토링 해보았다. 해피 케이스와 예외 처리 일반적인 사람들은 해피 케이스에 대해 몰두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하지만 예외를 항상 생각하고 사용자 입력을 불신한 상태에서 예외처리를 꼼꼼이 하는 것이 견고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자세일 것이다. 그럼 어떻게 예외처리를 할 수 있을까? 먼저 예외처리 전에 예외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 어떤 값의 검증이 필요한 부분은 주로 외부세계와 접점일테니 반드시 검증을 꼼꼼이 구체적으로 해야한다.(ex. 사용자 입력, 객체 생성자, 외부서버의 요청) 또한 의도한 예외와 의도치 못한 예외를 구분해야한다. 의도한 예외는 커스텀 Exception 클래스로 정의하여 두고 그외의 의도치 못한 예외는 Exception클래스로 두는등의 행위를 하고 spring boot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ExceptionHandler를 만들어서 처리를 하는등의 행위를 거쳐야 한다. 또한 null을 주의해야한다. 코틀린같은 언어는 언어단에서 처리를해주지만 자바같은 경우는 NullPointerException을 주의해야한다. 그래서 항상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메서드 설계시 return null을 자제해야한다. 만약 불가피 하다면 Optional 클래스를 이용해보자. Optional Optional은 비싼 객체이다. 꼭 필요한 상황에서 반환타입으로만 사용하자. ⚠ 주의만약 파라미터같은 경우에 사용하는 경우는 피해야한다. 아마 이 부분은 IDE에서 경고표시를 해줄 것이다. 왜 피해야하냐면 분기 케이스가 3개 생기기 때문이다. (Optional이 가진 데이터가 null인지 Optional 그 자체가 null인지 생각때문) 마지막으로 Optional을 반환받았다면 최대한 빠르게 해소해야 한다. Optional 해소 분기문을 만드는 isPresent()-get()대신 풍부한 API를 사용하자. (ex. orElseGet(), orElseThrow 등등) ⚠ 주의orElse와 orElseGet에 사용에 주의하자! orElse같은 경우 항상 실행을 한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호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항상 실행된다. 그래서 파라미터로 확정된 값이 있을 경우 사용하자. 반면 orElseGet은 null일때만 실행을 한다. 그레서 우리 예제 코드에서 Scanner의 입력을 올바르지 않게 했을때의 부분들을 리팩토링하며, 해당 예외를 커스텀 예외와 의도치 않은 예외를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여기서 나는 조금 더 세밀한 예외정의를 하는게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추상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는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뉜다. 1. 절차지향: 지금까지 예제코드 작성했듯이 컴퓨터 처리구조처럼 차례대로 실행하는 흐름을 가지는것2. 객체지향: 객체간 협력을 통한 프로그래밍3. 함수형: 순수함수 조합으로 프로그래밍 🙋🏻 순수함수란?외부의 요인 없이 같은 input을 넣었을때 같은 output이 나오는것을 의미한다. 즉, 가변데이터는 멀리하고 side effect없이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우리는 자바로 프로그래밍을 하므로 객체지향에 대해 알아보자. 여기서 객체란 어떤 목적으로 설계된 추상화된 무엇을 의미한다. 즉, 쉽게 말해 데이터와 코드의 조합으로 보면 된다. 객체지향을 하면서 각각의 많은 객체들을 생성하다보니 객체간 협력과 객체가 담당하는 책임이 높아졌다. '캡추상다'라는 용어를 들어봤나? 나는 처음이다. 하지만 뭔가 대강은 알것 같았다. 캡추상다는 아래와 같다. 1. 캡슐화: 객체 데이터를 숨기고 가공로직을 숨기고 일부만 들어내는것. 즉, 추상화개념이다.2. 추상화3. 상속: 상속은 강력한 기능이지만 너무 남발하면 안된다.4. 다형성: 일종의 추상화이다. 상위 추상화 레벨에서 요구되는 그런 특징들만 뽑아서 인터페이스화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하면 구현체 여러개에 바껴서 사용이 가능하다. 객체지향에서만 쓰이는 애기는 아니지만 객체지향을 공부하다보면 관심사 분리 개념이 나온다. 관심사 분리란 특정 관심사에 따라 객체 생성 및 기능과 책임을 나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나중에 유지보수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관심사 분리는 일련의 개념을 모아 이름을 짓고 기능을 부여하는데 일종의 추상화라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높은 응집도와 낮은 결합도) 객체 설계하기 우리는 메서드 추출과정에서 외부세계와 내부세계가 나눠짐으로 추상화시킨다고 이야기 한 적이 있다. 객체도 마찬가지다. 적절한 관심사들을 분리하여 객체로 만들고 공개 메서드를 통해 외부세계와 소통함으로 객체의 책임을 들어낼 수 있다. 이런 객체들이 모여 객체간 협력을 할 수 있다. 객체 추상화 비공개 필드(데이터), 비공개 로직(코드)공개 메서드 선언부를 통해 외부세계와 소통각 메서드의 기능은 객체의 책임을 드러내는 창구객체의 책임이 나뉨에 따라 객체간 협력이 발생 객체가 제공하는 것절차지향에서 잘 보이지 않았던 개념을 가시화관심사가 한군데로 꼽히기 때문에 유지보수성 증가여러 객체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구체적인 구현에 신경쓰지 않고 보다 높은 추상화 레벨에서 도메인 로직 다룸 아래는 회원의 나이의 유효성 검사를 나타내는 예이다. 이런 식으로 관심사를 집중 시킬 수 있지 않을까? ⚠ 새로운 객체를 만들 때 주의점 1개의 관심사로 명확하게 책임이 정의되었는지 확인한다.메서드를 추상화할때와 유사객체를 만듬으로써 외부세계와 어떤 소통을 하려고 하는지 생각변경된 요구사항 및 리팩토링 과정에서 객체의 책임과 역할이 변경될 수 있다.생성자, 정적 팩토리 메서드에서 유효성 검증이 가능하다.도메인에 특화된 검증로직이 들어갈 수 있다. class Member {   private int age;   public Member(final int age) {     if (this.age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회원의 나이는 0살 미만일 수 없습니다.");     }     this.age = age;   } } setter 사용자제 데이터는 불변이 가장 좋다. 변하는 데이터라도 객체가 핸들링 할 수 있다.객체 내부에서 외부세계의 개입없이 자체적인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해보고 가공으로 처리할 수 있을지를 확인해보자.만약 외부에서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 데이터 변경 요청을 해야하는 경우 set~이라는 단순한 이름보다 update~같이 의도를 들어내자. getter 사용자제 getter라도 처음에는 사용을 자제하자.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추가하자.외부에서 객체 내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getter를 남발하는것은 객체에 대한 실례되는 행동이다.객체에 메세지를 보내는 방법을 선택해보자.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getPassword() // 비유하자면 어떤 사람이 강제로 비밀번호를 뺏는 형식이라 볼 수 있다. 필드의 수는 적을수록 좋다. 불필요한 데이터가 많을수록 복잡도가 높아지고 대응할 변화가 많아진다.필드A를 가지고 계산할 수 있는 A필드가 있다면 메서드 기능으로 제공단, 미리 가공하는 것이 성능상 이점이 있다면 필드로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을 수 있다. 그러면 이제 실습의 대략적인 요약을 해보자. 우리는 예제 코드로 Cell이라는 객체로 관심사를 분리 시켰다. 그에따라 변경되는 static 변수들을 변경하고 로직도 변경을 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도메인 지식을 획득했다. 이제까지 셀이 열렸다/닫혔다라는 개념을 통해 로직을 작성해왔다면 지금은 Cell이라는 객체로 관심사를 분리함으로 사용자가 체크했다라는 개념이 나온것이다. 기존 String기반의 Sign기반의 BOARD가 있고 이를 상황에 따라 표시 할 sign을 갈아끼우는 형태에서 이제 Cell을 정보를 담을 공간의 객체가 생성되었다. BOARD는 Cell을 갈아끼우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Cell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리팩토링을 거쳤다. SOLID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OCP: Open-Closed Principle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하나의 클래스는 단 1가지의 변경 이유(책임)만을 가져야만 한다.객체가 가진 공개 메서드, 필드, 상수등은 해당 객체의 단일 책임에 의해서만 변경되어야 한다.관심사 분리높은 응집도, 낮은 결합도(서로다른 두 객체간 의존성 최소화로 결합도를 낮춰야 한다.) 🔥 중요'책임'을 볼 줄 아는 눈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이를 토대로 예제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해보았다. 처음에는 우리의 main메서드에 실행하는 부분을 별도의 GameApplication으로 분리하여 실행로직과 게임 로직을 분리하였다. 다음으로 입출력 부분을 각각 별도의 Handler클래스로 분리하여 리팩토링을 진행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상수로 되어있는 BOARD를 객체로 분리하여 마지막 리팩토링을 분리해왔다. 이렇게 실습하면서 이제까지 나는 객체지향적으로 작성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즉, 단일책임의 원칙을 지키지 못한것이다. 단일책임원칙은 약간 비유적으로 표현하면 이런것 같다. 축구로 비유하면, 축구에서 11명의 선수들은 각자 포지션이라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 각 선수는 자기 포지션에 맞는 역할만 해야 한다는 것과 같아. 예를 들어, 수비수는 수비에만 집중하고, 공격수는 공격에만 집중해야 팀이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것이다. 만약 수비수가 공격도 하고 골키퍼 역할까지 하려고 한다면 팀이 혼란에 빠질것이다. 즉, 한 선수에게 여러 역할을 맡기면 혼란이 생기고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선수마다 책임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OCP: Open-Closed Principle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에는 닫혀있어야 한다.기존 코드의 변경없이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어야한다.추상화와 다형성을 활용해서 OCP를 지킬 수 있다. 우리는 위를 토대로 예제코드를 리팩토링하였다. 예제코드에 게임 난이도라는 추가 요구사항이 나왔다. 하지만 이것을 유동적으로 변경 전에 알파벳 제한과 숫자가 2자리가 되면 오류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고 인덱스 치환 로직을 SRP원칙에 따라 별도 객체로 분리하고 리팩토링 작업을 하였다. 이제 추가요구사항인 난이도를 넣을때 우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메서드 선언부를 선언해주고 구현체들을 각각 만들어 해결을 하였다. 축구로 비유하면, 축구 팀의 감독이 선수들에게 전술을 지시할 때, 기존 선수들의 역할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새로운 전략을 추가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새로운 선수가 팀에 합류하거나 새로운 전술을 추가하려고 할 때 기존에 있던 선수들의 역할을 건드리지 않고, 그 새로운 선수나 전술만 추가하는 식이다. 만약 기존의 모든 선수 배치를 다 바꿔야 한다면 팀이 혼란에 빠지지 않을까? 대신 기존의 포지션을 그대로 두고, 새로운 포지션을 하나 더 추가해 전술을 보완하는 것이 OCP에 비유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다른 비유로는 레고 블록으로 비유할 수 있다. 레고 집을 만들 때, 기존에 완성된 부분을 해체하지 않고도 새로운 부품을 추가해 더 멋진 집을 만들 수 있는 것이 OCP에 해당한다. 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상속구조에서 부모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자식클래스의 인스턴스로 치환이 가능해야 한다.자식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책임을 준수하며 부모클래스의 행동을 변경하지 않아야 한다.LSP를 위반하면 상속클래스를 사용할때 오동작이 발생한다. 예상 밖의 예시가 발생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불필요한 타입체크가 동반된다. 보통 부모클래스보다 자식클래스가 하는 기능들이 더 많은게 일반적이다. 그래서 조심해야한다. 부모가 일하는 곳에 자식이 갔다가 올바른 방향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예외를 발생시키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식의 타입을 체크하는 분기가 발생한다. 이런 분기는 뇌 메모리에 더 올라가기에 불필요한 분기가 생기니 코드가 읽기 불편해진다. 그래서 우리는 예제코드에서 Cell이라는 것을 부모클래스(추상클래스)로 두고 각각 빈 셀, 숫자 셀, 지뢰 셀 클래스를 만들어 리팩토링 하는 과정을 해보았다. 축구로 비유하면, 팀의 주전 선수가 교체 선수로 대체될 때에도 팀의 전술이 동일하게 잘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만약 주전 공격수가 부상당해서 교체 선수가 들어온다고 해도, 그 교체 선수가 주전 선수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어야 팀의 전술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것이다. 교체 선수가 갑자기 공격을 포기하고 수비만 하려 한다면, 팀의 전술이 흐트러질 것이다. 즉, 교체 선수는 주전 선수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LSP의 핵심이다. 즉, 축구처럼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를 언제든지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LSP다. 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아야한다.예를 들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선언부가 여러개 있고 여러 구현체들이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할때 일부 구현체가 모든 선언부가 필요없는 경우 어떻게 할까?인터페이스를 쪼개면 된다.ISP를 위반하면 불필요한 의존성으로 인해 결합도가 높아지고 특정기능의 변경이 여러 클래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실습예제에서 동작부분과 초기화 부분을 인터페이스로 구현했는데 만약 다른 게임이 초기화 부분이 필요없다 가정하고 실습을 했다. 그럴 경우 간단히 이 인터페이스를 분리시켰다.축구로 비유하자면, 모든 선수가 똑같은 훈련을 받기보다는, 각 포지션에 맞는 훈련만 받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공격수는 골을 넣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해야 하고, 골키퍼는 공을 막는 훈련에 집중해야하지 않을까? 공격수가 골키퍼 훈련까지 받게 된다면 불필요한 훈련으로 시간만 낭비하게 된다. 각 선수는 자신의 역할에 맞는 훈련만 받아야 하는 것이다.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상위 수준의 모듈(추상)은 하위 수준의 모둘(구체)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모두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의존성 순방향: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모듈을 참조하는 것의존성 역방향: 고수준, 저수준 모듈이 모두 추상화에 의존 저수준 모듈이 변경되어도 고수준 모듈에는 영향을 끼치면 안된다. 의존성: 하나의 모듈이 다른 하나의 모듈을 알고 있거나 직접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의 예제코드에서 이제 위의 개념으로 실습을 하면 아래와 같다. 우리는 ConsoleInputHandler과 ConsoleInputHandler을 직접 객체를 생성해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콘솔이라는 것은 너무 구체화되어 있다. 만약 갑자기 웹기반으로 변경되면 많은 부분을 변경해야할 것이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클래스를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고 구현을 하는 방식으로 하면 해결이 된다. 축구로 비유하자면, 감독이 특정 선수 개인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그 선수의 포지션에 맞는 역할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감독이 특정 공격수에만 의존해서 전략을 짠다면, 그 선수가 부상당하거나 경기에 나가지 못할 경우 큰 문제가 생길것이다. 대신, 공격수라는 포지션에 맞는 역할을 정의하고, 누구든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짠다면, 주전 선수가 빠지더라도 팀의 전략은 계속 유지될 수 있을것이다. 만약 감독이 호날두나 메시에 의존해서 전술을 짜다가 그 선수가 없을 시, 팀은 사면초가에 빠질 것이다. 🧐 꿀팁DIP를 애기하면 Spring의 DI와 IoC를 헷갈려 하는 것 같다. 나도 처음에는 그랬다. 둘을 비교해보자.1. DI: 의존성 주입이며 일반적으로 생성자를 통해 주입한다. 여기서 생각나는 숫자는 3인데 두 객체가 서로 의존성을 맺을려면 제 3자가 역할을 해주는데 바로 IoC Container인 Spring Context이다.2. IoC: 제어의 역전이라 하며 이것은 Spring에서만 통하는 개념은 아니다. 제어의 역전이란 프로그램의 흐름을 순방향은 개발자가 가져가야하지만 이것을 역전시켜서 프레임워크가 담당하고 나의 코드를 프레임워크 일부로 동작시킨다. 이러면 우리는 직접 생성 및 생명주기 관리를 프레임워크에 위임시킬 수 있으며 우리는 그냥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미션2 미션2를 하면서 조금은 논리적 사고 및 객체지향적으로 어떻게 해야하고 읽기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할지 또한 SOLID에 대한 정리를 해보았다. 상세 내용은 아래 내가 작성한 포스트를 확인하자! 미션2 블로그 SOLID관련해서만 잠깐 정리를 해보았다. 정리 정리를 해보면 아래와 같다. 1.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 원칙각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원칙이야. 클래스가 여러 책임을 가지면, 하나의 기능을 변경할 때 다른 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축구로 비유하자면, 공격수는 공격만, 골키퍼는 수비만 담당하는 것처럼, 각 클래스는 명확한 역할을 가져야 한다.2. OCP (Open-Closed Principle) - 개방-폐쇄 원칙클래스는 확장에 열려 있고, 수정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즉,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축구로 비유하면, 새로운 전술을 추가할 때 기존 선수 배치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도 쉽게 새로운 선수를 추가하는 것과 같다.3. 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축구로 설명하자면, 교체 선수가 주전 선수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야 팀의 전술이 무너지지 않듯이,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해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4. 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메서드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이다. 축구에서는 공격수와 수비수가 똑같은 훈련을 받지 않고, 각자의 포지션에 맞는 훈련을 받는 것처럼, 인터페이스도 필요한 기능만 나눠서 설계해야 한다.5.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 역전 원칙상위 모듈은 하위 모듈에 의존하지 않고, 둘 다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축구로 비유하면, 특정 선수에게 의존하지 않고 포지션 자체에 의존하는 것처럼, 상위와 하위 모듈은 서로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규약에 의존해야 한다. 이 다섯 가지 원칙을 잘 따르면, 시스템의 유지보수성, 확장성, 유연성이 훨씬 좋아진다. 마치 축구 팀이 각 선수의 역할을 잘 분배하고 새로운 전술을 도입할 때 기존 시스템에 혼란이 없도록 만드는 것처럼 말이다. 상속과 조합 상속과 조합은 무엇일까? 상속은 지난시간에 배워서 알겠지만 부모 클래스를 자식클래스가 상속받아 부모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조합은 상속과 항상 같이 따라 다니는데 객체간 협력을 이용할때 조합을 이용한다. 이렇게 볼때 알 수 있듯이 상속보단 조합이 객체지향적으로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아보인다.상속보단 조합을 이용하자.상속은 시멘트처럼 굳어진 구조다. 그래서 수정이 어렵다.부모와 자식의 결합도가 높다.조합과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것이 유연한 구조다.상속을 통한 코드의 중복제거가 주는 이점보다 중복이 생기더라도 유연한 구조 설계가 주는 이점이 더 크다. 옛날에는 하드웨어 성능이 안 좋아서 코드 중복 제거가 매우 큰 효과를 주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하드웨어 성능이 굉장히 뛰어나다. 그래서 상속보단 조합을 이용해 유연한 설계를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렇다 해서 상속을 아예 사용하지 말자라는 말은 아니다. 확실한 상속구조거나 상속이 주는 효과가 매우 뛰어날것 같다고 느껴지면 상속을 이용하자. 그 외에는 조합으로 다 해결된다. 상속은 또한 부모 자식간의 결합도가 높아 캡슐화가 안 되어 있다고 한다. 이 점도 생각해보자.그래서 우리는 기존 추상클래스로 되어있는 Cell을 인터페이스로 만들고 Cell의 상태 변경을 하는 필드들을 CellState에 두어 분리를 해보았다. 처음에 이 실습을 하면서 CellState는 그냥 enum으로 하면 안될까 고민을 하였고 추후에도 이렇게 변경이 없으면 한번 질문해봐야 겠다. Value Object Value Object는 훌륭한 추상화 기법 중 하나다. 기본 타입을 객체로 감싸서 의미 부여 및 추상화를 하는 것이다.도메인의 어떤 개념을 추상화하여 표현한 값 객체값으로 취급하기 위해서 불변성, 동등성, 유효성 검증등을 보장불변성: final 필드, setter금지동등성: 서로 다른 인스턴스여도(동일성이 달라도) 내부의 값이 같으면 같은 값 객체로 취급, ```equals()``` & ```hashCode()``` 재정의가 필요하다.유효성 검증: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 값에 대한 유효성 보장 그래서 우빈님께서는 만원 지폐의 일련번호로 이에 대한 예시를 들어주셨다. 일련번호가 달라도 하나의 만원으로 보는것과 같다고 하셨다. 🙋🏻 동등성 vs 동일성동등성은 객체간 메모리 주소가 달라도 내부의 값이 같다면 같은 객체로 취급을 하자는 것이며 동일성은 메모리 주소 값이 같냐는 의미이다. 동일성 비교는 ```==``` 연산자로 비교하며 동등성 비교는 재정의한 ```equals()```로 해결한다. VO vs EntityEntity는 식별자가 존재한다. 식별자가 아닌 필드의 값이 달라도 식별자가 같으면 종등한 객체로 취급equals() & hashCode()로 식별자 필드만 가지고 재정의 할 수 있다.식별자가 같은데 식별자가 아닌 필드의 값이 서로 다른 두 인스턴스가 있다면 같은 Entity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VO는 식별자 없이 내부의 모든 값이 다 같아야 동등한 객체로 취급한다. 개념적으로 전체 필드가 다 같이 식별자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자. 그래서 우리의 예제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해보았다. rowIndex와 colIndex는 하나의 세트로 움직이니 이것을 CellPosition이라는 VO를 만들어 리팩토링을 진행하였고 이에 대해 세부적인 로직들을 개선해보았다. 예를 들어 재귀로직을 RelativePostion으로 두어서 stream API를 이용하여 해결을 하였다.이처럼 코드가 점점 개선되니 뭔가 조금은 많은 부분이 느껴졌다. 실무에서도 한번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도입해볼만한 생각이 듣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능수능란하게 해결을 할지는 고민이 되는 것 같다. 일급 컬렉션 일급 컬렉션이란 무엇일까? 일단 컬렉션은 List, Map, Set같은 것들이다. 그럼 일급은 무엇일까? 해당 용어에 파생된것이 일급시민이다. 일급 시민다른 요소에게 사용가능한 모든 연산을 지원하는 요소변수로 할당될 수 있다.파라미터로 전달 될 수 있다.함수의 결과로 반환될 수 있다. 일급함수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는 일급시민이다.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는 일급시민이다.함수는 변수에 할당될 수 있고 인자로 전달될 수 있고 함수결과로 함수가 반환될 수 있다. 일급 컬렉션컬렉션을 포장하면서 컬렉션만을 유일하게 필드로 가지는 객체컬렉션을 다른 객체와 동등한 레벨로 다루기 위함단 하나의 컬렉션 필드만 가진다.컬렉션을 추상화하며 의미를 담을 수 있고 가공로직의 보금자리가 생긴다.가공로직에 대한 테스트도 작성할 수 있다.만약 getter로 컬렉션을 반환할 일이 생긴다면 외부조작을 피하기 위해 꼭 새로운 컬렉션으로 만들어서 반환. 이것을 이용해 우리는 체크했는지 유무 메서드의 ```Cell[][]``` stream API를 이용한 부분을 Cells라는 일급 컬렉션을 만들어 변경을 해보았으며 또한 우리는 빈 셀, 숫자 셀, 지뢰 셀을 보드에 넣어주는 것을 CellPositions라는 일급컬렉션을 통해 리팩토링 및 버그 수정도 해보았다. 아직 일급컬렉션을 처음 공부해봐서 많아 와 닿지는 않지만 이 부분을 한번 다른 곳에도 적용해봄으로 익숙해져야겠다. Enum의 특성과 활용Enum은 상수집합이며 상수와 관련된 로직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다.상태와 행위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는 추상화된 객체이다.특정 도메인 개념에 대해 그 종류와 기능을 명시적으로 표현해줄 수 있다.만약 변경이 정말 잦은 개념은 Enum보다 DB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우리는 기존에 SIGN들을 OutputConsoleHandler쪽에 이관하면서 enum을 활용해 리팩토링 과정을 거쳐보았다. 다형성 활용하기이번에는 예제에 있는 반복된 if문을 다형성을 통해 해결해보았다. 해당 if문들에서 변화하는것(조건, 행위 -> 구체)과 변화하지 않은 것(틀 -> 추상)을 나누기로 하였고 그를 위해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처리를 하였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스펙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스펙들을 하나의 클래스에 두어 해당 객체의 메서드만 호출해서 해결하게 하였다. 하지만 해당 문제는 클래스가 많아지면 즉, 스펙이 더 많아 질경우 소스코드를 빈번히 해결해야하는 문제가 있었고 그래서 enum을 통해 해결했다. enum에 인터페이스를 구현시키고 각기 다른 행위 자체를 enum안에 상수에 별도로 구현하는 법을 알았다. 조금 신박했고 유용한 방법인것 같았다. 뭔가 실무에도 한번 써볼법한 방법이였다. 이를 통해 변하는 것과 변화하지 않은 것을 분리하여 추상화하고 OCP를 지키는 구조로 만들었다. 숨겨져 있는 도메인 개념 도출하기도메인 지식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발견하는 것이다.객체지향은 현실을 100% 반영하는 도구가 아니라 흉내내는 것이다.현실세계에서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개념도 도출해서 사용할 때가 있다.설계할때는 근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최대한 미래를 예측하고 시간이 지나 만약 틀렸다는 것을 인지하면 언제든 돌아올 수 있도록 코드를 만들어야 한다.완벽한 설계는 없다. 그 당시의 그들의 최선이 있을뿐 해당부분을 가지고 우리의 예시코드를 리팩토링해봤다. 만약 다양한 설정기능들이 추가가 될 경우 변경할 곳이 많아졌다. 그래서 우리는 config관련 클래스를 만들고 설정부분들을 변경해주는 것을 해보았다.해당 강의를 듣고 나는 조금 반성했다. 이전에 조상님들이 작성한 레거시 코드를 보고 많은 비판을 했기 때문이다. 그 당시에는 그게 최선일텐데 또한 설계관련해서 한번 생각 나는 영상이 인프콘에 재민님께서 발표한 영상인데 지금 다시 한번 봐보고 공부해봐야겠다. 📚 추가 참조https://johnlock.tistory.com/405https://maily.so/trendaword/posts/52a9a219 

백엔드인프런워밍업스터디클럽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발자국

sdsd988

인프런 워밍업 클럽 후기 (2기 백엔드 클린코드, 테스트 코드)

인프런 워밍업 클럽 수료! 1. 워밍업 클럽 참여! 인프런의 효과적인 마케팅, 새로운 기술 학습에 대한 열정으로 다양한 강의를 구매했다.하지만, 완강하지 못한 강의가 쌓이기 시작했다.인프런에서 워밍업 클럽이라는 온라인 스터디를 제공해준다는 글을 보았다.공부도 하고, 혜택도 있다니 안 할 이유가 없어서 즉시 신청 했다.나는 평소에 관심이 있던, 클린코드와 테스트 코드 주제를 신청했다. 2. 1달 동안 강의 지옥(천국) 1달 동안 들어야 하는 강의는 2가지 강의였다.클린코드(14시간), 테스트코드(12시간) 이 정도는 쉽게 완강하겠다는 생각이 있었다.역시 예상은 틀렸고, 매주 정해진 스케줄과 미션을 완료하는 데 빠듯했다. (하지만, 수료했다.)클린 코드의 경우, 객체 지향 설계 원칙에 따라 직접 2가지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테스트 코드의 경우, 직접 작은 프로젝트에 대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매주 정해진 미션, 중간 점검 등이 있어서 자칫 느슨해 질 수 있는 온라인 스터디에 지속성을 더해주었다.3. 회고 스스로 1달동안 열심히 했냐고 물어봤을 때, 열심히 했다고 대답이 나왔다.모든 미션과 강의를 완주했기에 보람과 뿌듯함이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에게 아쉬움도 있다.멘토님이 중간점검과 특별 점검을 통해 직접 미션 리뷰(코드리뷰)를 해주시고, 개발 관련 질문을 받았다.다른 스터디원들은 미션에 대해 적극적으로 코드 리뷰를 신청하고 질문을 하셨다.나는 안했다. 스스로의 과제에 대해 미흡하다고 느꼈고, 공지 사항을 놓치기도 하였다.그렇다면, 다음 워밍업 클럽이 열린다면 신청할 것 인가?나는 신청할 것 같다.그리고 이 글을 다시 보며, 부족했던 점을 돌아보고 나에게 더 도움이 되는 스터디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보고 싶다.오프라인 수료식 후기  내향적이지만, 용기내서 오프라인 수료식에 참여했다.늦은 시간임에도, 오프라인 수료식을 위해 노력해주시는 인프런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했다. 또한, 워밍업 클럽 수료생들로부터 많은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었다.그리고, 준비해주신 피자 너무 맛있었다. 어디 브랜드인지 궁금하다.

백엔드인프런워밍업클럽백엔드테스트코드클린코드후기

뒤늦게 작성하는 2주차 발자국

미션을 수행하고, 메모에만 옮겨놓고 완수 메모를 남기려고 확인해보니 2주차 발자국을 안 적었었다.2주차에는 실제로 객체지향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테크닉과 실제로 리팩토링을 실행해보는 과정그리고, Practical Testing 강의를 시작하는 파트였다.이전에, 우빈님의 라이브에서 내 코드가 피드백 부분에 있었는데 라이브를 듣지 못해서 너무 아쉬웠다.해당 방식이 오버엔지니어링이라는 피드백을 받았는데, 그 부분에 있어서 타당한 근거가 있었다.하지만 요구사항보다는 더 들어갔기에 오버엔지니어링은 맞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쯤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 포인트를 줄이는 작업을 할 수 있을까?Value ObjectValue Object는 늘 불변을 유지해야 한다.어떠한 로직이 들어가더라도 새로운 값이 반환이 되어야 한다. 즉, 새로이 객체를 생성하여야 한다.Value Object는 Entity와 달리 식별자가 없기 때문이다.객체의 책임과 응집도이 부분은 항상 고민이 많다. 어느정도로 책임을 줄여야하지? 이정도면 다른데서는 수정 될 이유가 없을까?정말 수정되지 않으려면 정말 작게 만들어야 하는데 그 부분이 참 어렵다. 단위 테스트Junit을 통한 단위테스트와 테스트 개념, 그리고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는 개념에 대해서 배웠다. 이 부분은 늘 테스트를 짜면서 실천하고 있기에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었다.

클린코드테스트코드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백엔드 클린 코드, 테스트 코드를 마치며

먼저, 이번 주차에 학습한 내용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시작한다.클린 코드도, 테스트 코드도 모두 지금 나의 회사가 처해있는 코드의 상황에서 더 어떻게 개선해나갈 수 있을까? 를 고민을 하고 해당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이러한 고민거리를 해소하고자 하였다.그리고,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많은 부분이 해소가 되기도 하였다.특히, Mock을 대하는 자세가 회사에 들어오기 전과 후가 조금 달라졌다.실제로 회사내에서 Facade 코드를 다루기 위해 Mock이 많이 이용된다. 이 부분은 리팩토링을 위해 테스트를 작성하고자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현재 있는 코드에서 리팩토링을 할 계획인데 단위 테스트를 전부 작성을 하게 된다면 리팩토링을 하는 과정에서 테스트 코드가 지속적으로 수정 될 것이기 때문이다.그렇기에, 비슷한 상황에서 테스트 코드가 빠르게 돌아가는 상황이 필요했는데, 지금 현재 있는 상황에서는 더 개선을 하려면 Application Context Cache 를 유지하면서 테스트 코드의 Spring Container를 유지하여 테스트 코드가 빠르게 돌아가도록 하여 리팩토링을 하는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추가적으로, Presentation Layer에서의 테스트와 영속성 계층의 테스트에 대해서 궁금한 부분이 있어 우빈님에게 질문을 드렸고 많은 인사이트를 얻어 갈 수 있었다.해당 질문의 답변은 다음에서 찾아 볼 수 있다.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409734/%EC%98%81%EC%86%8D%EC%84%B1-%EA%B3%84%EC%B8%B5%EA%B3%BC-e2e-%ED%85%8C%EC%8A%A4%ED%8A%B8%EC%97%90-%EB%8C%80%ED%95%B4-%EC%A7%88%EB%AC%B8%EC%9D%B4-%EC%9E%88%EC%8A%B5%EB%8B%88%EB%8B%A4 마치며이번 스터디는 내가 회사를 위해 더 나은 회사로 나아가기 위해 나 자신의 성장뿐만 아니라 회사의 성장을 위해서 신청을 하게 되었고, 많은 부분 코드 습관이 고쳐지게 되었다. 특히, private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을 하였던 부분(모든 메서드를 테스트 하고 싶은 마음에)에서 요즘은 오히려 읽기 쉬운 코드로 작성하고자 하고 있다.이 부분은 꼭 테스트가 필요한 걸까? 에 대해서 많은 질문을 던지며 코드를 리팩토링 해나가고 있다.회사를 다니면서 스터디를 참가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끝 마칠 수 있었던 나 자신에게 칭찬 한마디 던지고, 잘 이끌어준 우빈님에게 칭찬 백마디 전달하고 싶다.

백엔드테스트코드

whffkaos007

워밍업 클럽 2기 BE 클린코드&테스트 - 회고 4회

Practical Testing :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 회고 4회 이 글은 박우빈님의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벌써 4주차가 되었습니다. 인프런 워밍업 클럽의 마지막 회고입니다. 다른 것도 한다는 핑계로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못한 거 같아 아쉽기도 하지만 최대한 잘 녹여서 작성하겠습니다. 테스트 작성에 대한 많은 팁을 알게 되어 좋았지만 테스트를 바라보는 여러 관점을 알게 되고 이에 대한 주관이 나름 생긴 거 같아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학습 목차Spring & JPA 기반 테스트: Presentation Layer(제외) Mock을 마주하는 자세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학습 테스트(제외) Mock을 마주하는 자세Mock에 대한 찬반 의견이 있다. 물론 현재 상황(구현 기간, 서비스 특성 등)에 따라 얼마나 Mock 처리의 빈도가 달라질 것이다.기본적인 Mock에 대한 의견은 Classicist와 Mockist 로 나뉜다. Classicist VS Mockist말그대로 Mock을 하면 안 된다와 해야 한다로 나뉜다. Classicist는 여러 객체(모듈)이 상호작용하기에 A와 B에 대한 통합 테스트를 구현하는 경우에 A, B 둘 다 실제 객체를 사용해야 한다고 Mockist는 이미 A, B 각 객체에 대한 단위 테스트가 이뤄졌기에 A, B에 대한 통합 테스트를 구현할 때 A 또는 B 하나를 Mock 처리해서 하는 것이 비용과 시간에 대해 더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완벽하게 제어하기// 시간에 따라 주문 여부가 정해지는 로직 void createOrderWithCurrentTime(){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Americano americano = new Americano(); cafeKiosk.add(americano); Order order = cafeKiosk.createOrder(LocalDateTime.of(2023,1,17,10,0)); assertThat(order.getBeverage()).hasSize(1); assertThat(order.getBeverage().get(0).getName()).isEqualTo("아메리카노"); } // 시간, 외부 API 등 변할 수 있는 요소는 외부로 빼서 가져오기 // 예로 시간을 파라미터로 가져오는 게 아니라면 // LocalDateTime.now()가 내부 로직에 있다면 테스트를 실행하는 // 시간마다 성공 여부가 다를 것이다. 따라서 제어가 어려운 것은 // 외부로 내보내 완벽하게 제어하자. public Order createOrder(LocalDateTime currentTime){ // 위 시간 인자를 통해 지정한 시간 내인지 확인하는 로직 // 가능하면 주문 생성, 아니면 예외 발생 }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테스트 하나에는 하나만 검증)void createOrderWithNoStock(){ //given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BOTTL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BAKERY, "002", 2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3000); Stock stock1 = Stock.create("001", 2); Stock stock2 = Stock.create("002", 2); stock1.deductQuantity(3); // 행위1 stockRepository.saveAll(List.of(stock1, stock2)); OrderCreateServiceRequest request = OrderCreateServiceRequest.builder() .productNumber(List.of("001","001","002", "003")); .build(); // when/then (행위2) assertThatThrownBy( ()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 registerDateTime)) .isInstanceOf(IlligalArgumentException.class) .hasMessages("재고가 부족한 상품이 있습니다")); 밑줄 친 코드를 보자. 테스트는 하나의 행위만 검증해야 한다. 위 상황에서는 현재 재고보다 더 많은 상품을 주문했을 때, 예외가 발생하는 지 검증하는 테스트이다. given 절에 밑줄 코드를 보면 어떠한 행위가 또 들어가 있다. 즉, 상황을 준비만 해야 하는 given 절에서 어떠한 행위가 일어났다. 위 테스트 코드를 이해하려면 밑줄 친 코드(메서드)의 행위를 알기 위한 논리적 사고가 발생하여 독립적이지 못한 테스트이다. }  한 눈에 들어오는 Test Fixture 구성하기테스트를 작성하다 보면 공통적인 given절로 중복되는 코드가 발생한다. 보통, 코드의 중복을 줄이기 위해 @BeforeEach, @BeforeAll, @Afrer... 등이나 data.sql 파일로 손 쉽게 데이터의 삽입이 이뤄진다. (삭제는 테스트 간 결합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하므로 @BeforeEach 혹은 @Transactional을 사용하자) 비즈니스 로직 개발 관점에서는 당연히 코드의 중복을 줄이는 것이 합리적이며 유지보수성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테스트에서는 위와 같은 방법을 지향해야 한다. 테스트는 말 그대로 테스트고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모든 테스트가 @BeforeEach, data.sql 등에 강결합하여 의존성이 커진다. 위 설정 과정이 달라졌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른다. 따라서 테스트 코드가 길어지더라도 given 절에서 설정하는 것이 올바르며 한 눈에 파악하기 쉽다.(data.sql로 given을 구성하면 테스트를 볼때마다 data.sql로 이동하기에 파악하기 어렵다.[파편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각 테스트 입장에서 아예 몰라도 테스트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문제가 없는가? 2. 수정해도 모든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가? 위 질문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BeforeEach와 같은 기능을 사용해도 괜찮다. 위 내용을 떠나서라도 @BeforeEach을 사용하더라도 전달하고자 하는 도메인 개념이나 로직 등 관련 내용이 충분히 전달되면 괜찮다. 핵심은 도메인이다.  Test Fixtuer 클렌징 @BeforeEach void beforEach(){ // 1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orderRepository.deleteAllInBatch(); 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 2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 } 1번은 해당 테이블 데이터 전체를 삭제하겠다는 의미이다. 2번은 해당 테이블 데이터 전체를 조회하고 1씩 삭제하겠다는 의미이다. 데이터가 많을수록 성능 차이가 커지므로 1번을 사용하자. 대신 참조키, 무결성 관계를 고려해서 순서에 맞게만 사용하면 된다. ex) orderRepository.deleteAllInBatch();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위 예시처럼 실행하면 orderProduct가 order를 참조하기 있기 때문에 테스트가 실패한다. [ order <- 일대다 -> orderProduct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추가로 @Transactional, @BeforeEach 중 어떤 것을 사용할 지는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테스트 간편화 기능 @ParameterizedTest : 다양한 인자를 통해서 테스트의 완성도를 높이거나 코드를 줄일 수 있음 @CsvSource, @MethodSource 등 제공하는 값을 통해서 메서드 인자로 넘기면 해당 수만큼 실행한다. @DynamicTest @Test 대신 @TestFactory를 사용해야 하고 Collection을 기준으로 연쇄적인 기능을 가진 객체를 사용하면 된다.(List, stream 등) 연쇄적인 테스트가 필요하다면 해라. 따로 따로 하는 것보다 연쇄적으로 하는 것이 좀 더 직관적일 수 있다. 예로, 해피 케이스랑 예외 케이스를 따로 테스트를 작성해서 검증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하나의 테스트에서 연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성공 -> 예외' 한 묶음으로. 하지만 given-when-then 절이 중첩 if 문 같이 사용되어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으니 적절하게 사용하자. 추가로 연쇄적인 시나리오를 위해서도 사용 가능하다. 재고 차감을 예시로 보면 재고가 1인 경우에 감소하고 0인 경우 감소하는 경우를 연속으로 확인할 수 있어 좀 더 가독성이 높다.  private 메서드는 테스트 해야 할까? 외부 관점(컨트롤러, 외부 호출자 등)에서는 공개된 API만 사용한다. private 메서드를 직접적으로 호출하는 경우는 없으며 공개 API(public 메서드)를 호출한다. 또한 공개 API를 호출하면서 내부에 있는 private 메서드도 호출한다. 즉, 공개 API가 검증이 되면 내부에 있는 기능 또한 검증되므로 굳이 private 메서드를 검증할 필요가 없다. 결국 private 메서드는 테스트 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이런 생각이 든다면 ‘**객체를 분리할 시점인가?‘**라는 질문을 해라.위와 같은 생각이 든다면 객체의 책임이 복합적일 수도 있다는 신호라고 한다.(사실, 이러한 경험이 없어 위와 같은 느낌이 아직은 모호하게 다가온다.)  개인 의견기존에는 고려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많이 알게 되어 테스트 코드에 대한 주관이 조금은 생겼다. 물론 아직도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는 것들이 적지만 충분히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위에서도 말했듯이 절대적인 것은 없기에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되게 유동적으로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과 작성법 등 변한다.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게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은 거 같다.번외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클린 코드 강의의 목수 이야기다. 대게 새로운 것을 통해 기존의 방식을 변경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거부하기도 하고. 기존에 사용하는 방식만 안 다면 더 쉽고 좋은 방법이 있더라도 이를 적용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새로운 기술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것은 현실을 고려했을 때 어렵긴 하지만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습과 적용을 두려워하지 않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는 것을 상기시켜줘서 좋았다. 학습적인 측면을 넘어 개발자로서 필요한 자세나 습관에 대한 내용도 담겨 있어 좋은 선생님이라 생각합니다. 

백엔드테스트코드인프런워밍업클럽

whffkaos007

워밍업 클럽 2기 BE 클린코드&테스트 : 미션 - Day 18

워밍업 클럽 2기 BE 클린코드&테스트 : 미션 - Day 18  이 글은 박우빈님의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미션 - Day 18 미션 내용1.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한번 정리해 봅시다.  2. 아래 3개의 테스트가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고, 각 항목을 @BeforeEach, given절, when절에 배치한다면 어떻게 배치하고 싶으신가요? (@BeforeEach에 올라간 내용은 공통 항목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ex. 1-1과 2-1을 하나로 합쳐서 @BeforeEach에 배치) ✔ 게시판 게시물에 달리는 댓글을 담당하는 Service Test✔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게시물과 사용자가 필요하다. ✔ 게시물을 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필요하다. 미션1테스트를 통해 검증하는 과정에서 여러 객체(모듈)이 상호 작용하고 객체 간 의존성이 클수록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하는데만 오랜 시간을 걸린다.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를 막기 위해 검증하지 않는 객체(모듈)은 Mock 처리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것에만 더 집중할 수 있다. 우리는 아래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통해 이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Mock : 실제 객체 대신에 가짜(Mock) 객체를 생성한다.@MockBean : Spring 테스트 환경에서 스프링 컨텍스트에 등록된 Bean을 Mock 객체로 대체한다.@Spy : 실제 객체를 생성하되, 특정 메서드에 대해 행위와 결과를 지정할 수 있다.@SpyBean : Spring 테스트 환경에서 스프링 컨텍스트에 등록된 Bean을 Spy 객체로 대체한다.@InjectMocks : 의존성 주입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테스트 대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해당 클래스가 의존하는 객체들을 @Mock 또는 @Spy로 주입합니다. Bean의 유무 차이(@Mock, @MockBean / @Spy, @SpyBean)기능에 대한 차이는 없다. 다만 스프링 컨텍스트를 사용한다면 싱글톤 방식으로 각 인스턴스가 관리된다. 대게 단위 테스트 환경에서는 의존성 주입을 위해 @Mock, @Spy를 사용하고 스프링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싶을 때는 @MockBean, @SpyBean을 사용하면 된다. @injectMocks vs @Autowired여기서도 Mock, Spy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할 때는 @injectMocks을 사용하면 된다. @Mock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InjectMocks UserService userService; // userRepository가 주입됨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을 가져올 때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MockBean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Autowired UserService userService; // userRepository가 주입됨 미션2✔ 게시판 게시물에 달리는 댓글을 담당하는 Service Test✔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게시물과 사용자가 필요하다. ✔ 게시물을 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필요하다.  @BeforeEach void setUp() {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사용자 생성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게시물 생성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작성 이유]@BeforeEach 구조 이유해당 테스트에 핵심 도메인은 댓글이다. 댓글을 달기 위한 사용자와 게시물을 부수적인 요소이며 댓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사용자가 생성한 게시물이 필수라는 조건이 있다. 해당 도메인 로직이 변경되더라도 이는 전제 조건이므로 setUp 메서드에서 구현해도 의미를 담기 충분하다고 판단했고 덤으로 중복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테스트 별 given, when 절 구조 이유각 테스트 별 when 절에는 하나의 행위만 있다. 테스트는 하나의 행위에 대한 검증을 해야 한다. 만약 테스트에 2개 이상의 행위를 검증하게 되는 경우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모호해지고 실제로 테스트에 성공하더라도 2개 이상의 행위가 복합적으로 동작했기에 정확한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   

백엔드테스트코드

sdsd988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백엔드(클린코드, 테스트코드)] 4주차 발자국

4주차 강의 : Mock을 마주하는 자세,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 부록(Spring Rest Docs)  요약1. 테스트 환경에서 모든 빈을 제어하기 힘들다. -> 테스트 더블(@Mock, @Spy 의 필요성)2. 테스트코드도 코드다. 따라서, 관리되어야 한다.3. 테스트 코드 작성으로 작성하기 귀찮은 개발 문서까지 이어진다면?(어렵고, 귀찮은 과정을 통해) 강의 내용 @Mock을 마주하는 자세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의존성 주입이 필요해진다.테스트 하고자 기능을 제외한 빈의 생성은 불필요하다는 전제에서, 테스트 더블(대역) 활용 필요성 테스트 더블 역할을 생성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Mock, @Spy, @InjectMocks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 특정 조건에서 효율적인 테스트 (Classicist VS Mockist)더 나은 테스트를 위한 구체적 조언프로그래밍 언어도 언어이기에, 한 문단에는 한 주제를 갖는 것이 좋다.테스트는 환경 그리고 테스트 간의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한다.테스트 후 데이터는 클렌징 되어야 하고부록테스트를 작성했다면, 스프링을 활용하여 개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Spring Rest Docs 통해 개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미션 1.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정리2. 테스트 코드의 배치강의에서 학습한 테스트 더블 어노테이션의 차이에 대해 정리하였다.테스트 코드의 작성 순서를 정리해보면서, 어떻게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작성해 나갈 것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4주차 회고 - 4주는 짧지만, 긴 시간이다. 완강은 힘들다. 인프런 워밍업 클럽이라는 , 강제성이 생기면서 4주간 2개의 강의를 완강할 수 있었다. 코드를 잘 작성하는 것 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클린코드, Reasonable code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을 갖게 되었다.강의를 듣고, 리팩토링을 진행하면서 이 정도까지 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그렇지만, 완성한 후 다시 코드를 읽어 보니 일단 나는 이해하기가 쉽다.테스트 코드작성에 대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테스트코드가 중요하다,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세뇌되어 있었지만 막막했다.어떻게 작성해야 하는 지 가늠이 되지 않았다. (강의 전)이제는 테스트코드 작성에 자신감이 생겼다. (강의 후)결국 코드는 실전이라는 생각을 워밍업 클럽 마지막 주차에 다시 생각하게 된다.자신감이 생겼을 때, 더 연습하고 성장해야겠다.

백엔드테스트코드인프런워밍업클럽백엔드클린코드

ykm8864

[인프런 워밍업 클럽 백엔드 스터디 2기] 4주차 발자국

마지막 4주차 발자국을 작성하는 시간이다. Mockito로 Stubbing 하기mock에 대한 원하는 행위(return)을 정의한 다음 내가 테스트하고자하는 서비스에만 집중. ⇒ stubbing이라고 일컷는다.Mockito에서 Stubbing은 모의 객체(Mock)의 메서드가 호출될 때 반환할 값을 미리 설정해 두는 작업을 말한다. 테스트할 때 실제 객체 대신 Mockito로 생성한 모의 객체를 사용하는데, 이때 필요한 메서드의 동작을 미리 정의해 주는 것을 Stubbing이라고 한다. 이렇게 설정하면 실제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고, 지정된 값이나 행동을 반환하므로 독립적인 테스트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Stubbing을 설정하려면 when과 thenReturn 또는 thenThrow 메서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값을 정의한다. Test Double단위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테스트하려는 코드의 의존성이나 협력 객체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객체를 말한다. 크게 아래 5가지가 있다.Dummy :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깡통 객체Fake : 단순한 형태로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나, 프로덕션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객체 ex) FakeRepository (메모리에 휘발성으로 관리)Stub : 텟트에서 요청한 것에 대해 미리 준비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Spy : Stub이면서 호출된 내용을 기록하여 보여줄 수 있는 객체다. 일부는 실제 객체처럼 동작시키고 일부만 Stubbing 할 수 있다.Mock : 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객체Mock ≠ Stub공통점은 가짜객체. 차이점 : Stub 은 상태에 대한 검증, Mock은 행위에 대한 검증이다.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테스트 객체를 생성해주는 다양한 어노테이션이 있다. 크게 Spring 기반 테스트인지 Mockito 기반 테스트인지 구분을 하고 spy 인지 아닌지로 나눌 수 있다.Mokito사용해서 mock만들려면 클래스 상단@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를 붙여줘야한다.@Mock:Mockito에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으로, 인터페이스나 클래스를 Mock 객체로 생성한다.해당 객체는 실제 동작 없이 사전 설정된 행동만 수행하도록 설정된다.주로 단위 테스트에서 사용@MockBean:Spring Boot에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으로, 스프링 컨텍스트에 Mock 객체를 등록한다.스프링 빈으로 주입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며, 실제 빈을 Mock 객체로 대체하여 통합 테스트에 적합.@Spy:Mockito에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으로, 실제 객체를 기반으로 스파이 객체를 생성한다.원래 메서드를 호출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특정 메서드만 Mocking하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SpyBean:Spring Boot에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으로, 스프링 컨텍스트에 실제 객체를 스파이 객체로 등록한다.기존 스프링 빈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특정 메서드만 Stub 처리하여 통합 테스트에서 부분적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InjectMocks:Mockito에서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으로, @Mock이나 @Spy로 생성된 객체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BDDMockito어? given 절인데 문법이 when이네?Mockito를 감싸고있는 BDD(GIVEN, WHEN, THEN)스타일로 작성만 할 수 있게 이름만 바꾼 상태!! 그래서 그냥 BDDMockito 사용하면 된다. 앞으로는 Classicist VS. Mockist테스트코드를 전적으로 믿냐 아니냐에 대한 견해 차이로 보인다.Mockist : 단위테스트할떄 이미 모든걸 mocking으로 테스트했으니까, 통합테스트할떄는 다 mocking처리해서 기능 보장된 애들은 다 쳐내고 해야하는 것만 짤라서 하자. vs.Classicist : mocking을 다 해버리면 실제 production에서 실 객체가 움직일때의 올바른 동작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어? 개인적으로 나도 우빈님처럼 Classicist에 더 가까운 편인 거 같다. 테스트 코드는 아무리 완벽하게 하려고 해도 프로덕션 코드에 따라가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결국 테스트를 작성하는 사람도 나 자신이기 때문에 허점은 존재할 거 같다. Clean 테스트 코드테스트 코드도 한 문단에 한 주제테스트는 문서다! 글쓰기란 관점에서 봤을때, 한 문단에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있는 게 좋다.완벽하게 제어하기테스트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할 때,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한다.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따라서 given절은 일반적인 생성자만 기입되는게 좋다.테스트 “간”의 독립성을 보장하자두개 이상 테스트 간의 독립성을 보장하자.Test FixtureFixture : given절에 쓰이는 객체들(내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위해 고정해둔 조건들) 이떄 when절에 given절 내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실수를 범하지 말자. 99%의 when절은 한줄이다. (메서드실행) @ParameterizedTest하나의 테스트 메서드를 다양한 매개변수로 반복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노테이션사용 예: 여러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로직을 테스트할 때 활용주요 기능:@ValueSource: 간단한 값 배열을 전달(e.g., int, String).@CsvSource / @CsvFileSource: CSV 형식의 데이터나 파일을 통해 여러 매개변수를 전달@MethodSource: 메서드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를 전달 @DynamicTest런타임에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한다. 정적인 테스트 메서드로 정의되는 것이 아닌 Stream<DynamicTest> 형식으로 생성한다.사용 예: 테스트 시나리오가 복잡하고 실행할 테스트 케이스의 수나 조건이 실행 중 결정되는 경우에 유용하다.주요 기능:동적 테스트를 생성하려면 @TestFactory 어노테이션 필수!Stream<DynamicTest>를 반환한다.메서드 내부에서 테스트 케이스와 이름을 동적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Spring REST DocsAPI의 구조, 기능, 요청 및 응답 형식 등을 문서화AsciiDoc의 도움을 받아 MarkDown문법으로 작성하고 라이브러리를 의존성 주입받아 html로의 변환도 쉽게 할 수 있다.Swagger vs. REST DocsSwagger적용이 쉽다.문서에서 바로 api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프로덕션 코드에 침투적이다.신뢰도가 떨어진다.REST Docs테스트를 통과해야 문서가 만들어지므로 신뢰도가 높다.프로덕션 코드에 비침투적이다.코드의 양이 많고 설정이 어렵다.강의에서 여러 설정을 잡고 최종적으로 REST Docs문서를 생성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확인해보았다. 테스트 과정을 거치며 각각의 문서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문서가 되는 것이 재밌었다. 4주차 회고Keep (만족했고, 앞으로도 지속하고 싶은 부분)테스트 코드를 짤 때 어떤 점이 문서화를 할 때 좋을지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으며, 각종 어노테이션을 습득할 수 있었다. 더불어 api를 많이 짤 일이 생길 텐데 이렇게 REST Docs를 통해 문서 규격을 자동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유용하고 값진 경험이였다. 앞으로 토이프로젝트를 하면서도 많이 사용해볼 예정이다..Problem (아쉬웠던 점)전반적으로 이번 강의를 마치면서 강사님의 생각을 내가 완전히 따라가지는 못했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정말 훌륭한 강의를 펼쳐주시지만 내가 모든 것을 내꺼로 체화시키는 과정은 별도로 필요해보인다. 남이 하는걸 봤을때 쉬워보이면 그 사람이 정말 잘하는 거라고 하던데 나도 그런 경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Try (다음에 시도해볼 점)전반적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해본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클린코드와 테스트코드 원칙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런칭시켜볼 예정이다. 너무 많은 것을 배워 행복한 일주일이였다. 

백엔드워밍업클럽백엔드2기발자국몰입하는개발자테스트코드

wisehero

[워밍업 클럽 BE 2기 - 클린코드, 테스트코드] 4주차 발자국

4주차 발자국 드디어 이번 워밍업 클럽의 마지막 날입니다. 0기와 2기에 참여했었고 서로 다른 주제였는데 다음 워밍업 클럽 주제가 또 기다려지네요. 개인적으로는 코틀린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번 주차에 포함된 진도는 아래와 같습니다.Presentation LayerMock을 마주하는 자세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학습 테스트 | RestDocs가장 의미있다고 여겨졌고 개인적으로 많이 배운 주제는 Day 17의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 파트였는데요. 제가 개인적으로 실수가 많은 부분이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과 테스트 간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을 놓쳤었는데요. 우빈님의 조언을 얻고 이 부분을 더 신경써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또 몰랐던 꿀팁을 하나 얻었었는데요! 저는 테스트 픽스처 클린징을 할 때 그냥 deleteAll을 사용했는데 deleteAllInBatch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평소 놓쳤던 부분이었는데 좀 더 시간 효율적인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사내에서 JPA 프로젝트에서 운영 소스를 작성할 때도 조금 더 신경을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테스트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꿀팁들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고요. 테스트 코드가 아직까지는 누군가에겐 귀찮은 문제, 누군가에겐 팀원들을 설득해야하는 문제로서 남아있는데 더 많은 사람들이 우빈님의 강의를 듣고 테스트 코드 작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공감했으면 좋겠습니다.   

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워밍업클럽

Rojojun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백엔드] 4주차 발자국

1주일간의 학습 회고이미 3주차에 완강을 했기 때문에, 이번주에는 집중적으로 학습하려고 했던 계획은 실제 회사 프로덕트 코드에서 녹여내기와 함께 숙제였다.하지만, 장례식으로 인해서 제대로 되지 못했다.이번주 상을 치루는 동안 공부 + 프로덕트 녹여내기를 시작했다.이번주는 학습보다 허무주의와 하루하루 더 열심히 살자 이 두 가지에서 고민을 했던거 같다... 이제부터 나의 마지막 학습 회고를 적으려고 한다.숙제1Q.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한번 정리해 봅시다.사실 강의를 보면서, 이것들의 정의를 정리하면서 했기 때문에 쉬운 내용이었다.숙제를 풀기 위해서 중요한 부분은 위의 어노테이션의 차이를 정리하는게 아니라 위 어노테이션들은 Mock 테스트에 사용된다라는 것과 Spring의 중요 개념인 DI에 대해서 세삼 놀랍다고 생각하였다.사실 DI는 Spring에서의 중요 개념이 아닌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디자인 패턴에서 중요한 개념이다.정리를 하자면 위의 내용에 대해 별도로 이 포스트에서는 정리하지 않겠다.가장 중요한 것은, 이 기술들 사용하는 이유와 이 기술이 쓰이는 원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숙제2두 번째 숙제는 너무 직접적인 내용을 포스트로 올리면 안되기 때문에, 후기로만 대략적으로 적는다면... 쉬웠다!BDD로 테스트코드를 작성해서 그런가... 사실 많이 쉬웠다. 이번 주 학습에서 잘한 점사내에서 백오피스를 혼자서 개발하는데 '나야 TDD, 근데 BDD를 곁들인' 그런 식으로 혼자서 개발하고 동료들에게 공유하고 있었다... 이번 주는 개인적인 일때문에 공유를 많이 못했지만, 디스코드로 소통하면서 공유를 조금씩 하였다.총평회사의 동료들과 처음으로 인프런 워밍업 클럽을 하였다.일단, 회사 동료들과 하는 나는 참 축복받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 학습을 나만 공부하는게 아닌 다 같이 공유해서 토론하고 발전해 나가는 과정이 좋았다.항상 보고자 했던 강의 였는데 이러한 기회가 생겨서 너무 좋았고....이제는... 개인적인 마음과의 싸움을 시작해야하는 시간이다

테스트코드백엔드SpringJava

김민성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 BE] (클린코드, 테스트코드) 4주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 백엔드 클린코드, 테스트 코드(Java, Spring Boot)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해당 강의를 학습하며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주차 발자국을 작성하는 시간이다. 이번주에는 Mock관련 내용과,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팁, Spring REST Docs에 대해 배우는 주차였다. Mock을 마주하는 자세Test Doble외부 API같이 내가 직접 테스트 하기 어려운 것들을 가짜로 대체해서 테스트 하는 테스트 방법론Dummy아무것도 하지 않는 깡통 객체Fake단순한 형태로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나, 프로덕션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객체 (ex. FakeRepository)Stub테스트에서 요청한 것에 대해 미리 준비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 그 외에는 응답하지 않는다.SpyStub이면서 호출된 내용을 기록하여 보여줄 수 있는 객체일부는 실제 객체처럼 동작시키고 일부만 Stubbing할 수 있다.Mock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객체Stub : 상태 검증 (State Verification)Mock : 행위 검증 (Behavior Verification) Classicist VS. Mockist라는 말을 처음 들어봤는데, 실제 객체로 통합 테스트를 해가면서 필요할 때만 Mocking해서 사용하자는 Classicist파와, 각각 따로따로 다 목킹해서 순수 코드만 빠르게 테스트 하자 라는 Mockist파의 싸움 같은 거다.나도 이에 대해 생각을 해봤는데, 나는 Mockist에 좀 더 가까운 거 같다. Mockist가 좀 더 뭔가 작은 블럭을 쌓아가서 전체를 만드는 느낌이 든다.하지만 분명히 Mockist여도 통합테스트 해야하고 Classicist여도 목킹을 통한 단위테스트는 해야한다.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이거에 관하여 미션이 나갔다. @Spy는 진짜 처음봐서 좋은 기능 배웠다고 생각한다.day-18 미션그리고 테스트 분류 미션에 관해서도 깜짝 라이브를 통해 우빈님의 의도를 들었었는데, setUp, given, when, then에 두어야 할 것에 대한 생각을 정리할 수 있게 된것 같다.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여기서는 다양한 테스트 꿀팁들을 배웠다.키워드한 문단에 한 주제글쓰기와 같다. 한 테스트에 한 주제완벽하게 제어하기LocalDateTime.now() 같이 달라질 수 있는 값들은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자.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지금 하고 있는 테스트의 주제를 잘 생각하고, when, then절이 아닌 다른 곳에서 테스트가 깨지지 않도록 하자.테스트 간 독립성을 보장하자A → B, B → A 순서가 바뀐다고 테스트가 바뀌면 안된다.한 눈에 들어오는 Test Fixture 구성하기given절에 생성한 모든 객체들Test Fixture 클렌징deleteAllInBatch() vs deleteAll() vs @Tranjactional@ParameterizedTestif 분기문, 반복문 등 → 생각의 사고를 추가 해야 하는, 즉 읽기 힘든 테스트가 된다. 값이나 환경만 바꿔가면서 테스트를 여러번 반복 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다.@DynamicTest일련의 시나리오를 테스트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때 사용하면 좋은게 @DynamicTest이다.테스트 수행도 비용이다. 환경 통합하기@SpringBootTest를 사용할 때 조금이라도 프로파일이라던지 이런 설정이 달라지면 다 다른 설정으로 스프링이 올라간다.Q. private 메서드의 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결론은 안하는게 맞다.Q. 테스트에서만 필요한 메서드가 생겼는데 프로덕션 코드에서는 필요 없다면?만들어도 된다. 하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하기!하나 같이 막힐때 큰 도움이 될 거같은 조언이다.Appendix학습 테스트잘 모르는 기능,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기 위해 작성하는 테스트여러 테스트 케이스를 스스로 정의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동작과 기능을 학습할 수 있다.관련된 문서만 읽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다.Spring REST Docs테스트 코드를 통한 API 문서 자동화 도구API 명세를 문서로 만들고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협업을 원활하게 한다.기본적으로 AsciiDoc을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한다.REST Docs장점테스트를 통과해야 문서가 만들어진다. (신뢰도가 높다.)프로덕션 코드에 비침투적이다.단점코드 양이 많다.설정이 어렵다.Swagger장점적용이 쉽다.문서에서 바로 API 호출을 수행해볼 수 있다.단점프로덕션 코드에 침투적이다.테스트와 무관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Spring REST Docs는 문서화를 도와주는 도구인데 설정이 좀 많이 어려운 듯 하다. 추가적인 공부가 많이 필요한 것 같다.한번은 배워보고 싶은 도구였어서 좋은 계기였다.전체 회고드디어 4주의 학습 스터디가 끝났다. 개인적으로 퇴사를 앞두고 있는데, 이제서야 이런 좋은 학습 기회가 있다는 것을 알아서 좀 아깝지만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니까 좋게 생각한다.2년동안 개발을 하면서 테스트나 클린 코드를 생각안해본건 아닌데, 솔직히 현재 업무에서 살짝살짝 내가 혼자 학습해서 조금씩 적용해본 정도지, 진지하게 공부하고 사용해 본적은 없었다.이번 강의가 클린코드, 테스트 코드 두 강의나 돼서 좀 듣기 빡세긴 한데, 진짜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았다. 클린 코드는 내가 코드를 보는 생각이 좀 더 열린 계기가 된 것 같고, 테스트 코드는 평소에 배우고 싶다는 갈망이 많이 채워졌다.앞으로 두 내용에 대해 좀 더 학습해 나아가면서 지금 배웠던 것들이 기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에도 이런 좋은 주제가 있으면 언제든지 참가하고 싶다. 

백엔드워밍업클럽테스트코드클린코드백엔드

[워밍업 클럽 2기 - Clean Code & Test Code] 4주차 발자국

워밍업 클럽 2기: Clean Code & Test Code의 4주차 발자국 작성입니다.3주차 발자국 보러가기 📝 학습 내용Presentation Layer 테스트 작성Mock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여러 팁REST Docs ✍ 학습 내용 복습Q. Presentation Layer의 특징은?클라이언트로 부터 입력을 받아서 비즈니스 계층으로 해당 요청을 보내는 계층요청을 제일 먼저 받는 계층입력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검증을 수행한다Presentation 계층에서의 검증과 Business 계층에서의 검증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Presentation 계층에서는 보통 형식적인 검증을 한다예시: 필수 입력 값 검사, 데이터 타입 검사, null 검사, 빈 문자열 검사Business 계층에서는 비즈니스 로직에 따른 도메인 유효성 검사가 이루어진다Business 계층으로 부터 결과를 받아서 클라이언트로 반환한다컨트롤러에서 사용하는 요청 DTO가 서비스 계층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컨트롤러 계층에서 서비스 전용 DTO로 변환하는 것을 권장한다(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을것 같다. 만약 받는 포맷이 변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면, 그냥 컨트롤러의 DTO를 쭉 사용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Q. Presentation Layer의 테스트 방법은?Business, Persistence 계층을 모킹해서 테스트한다MockMvc 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HTTP요청과 응답을 시뮬레이션 한다모킹을 위해서 Mockito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Q. Test Double의 종류를 정리해보자면?Dummy: 아루런 동작도 하지 않는 객체. 잘 사용되진 않지만, 보통 파라미터 전달용으로 사용된다.Fake: 실체 객체와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지만, 프로덕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객체.예시: 인메모리로 맵을 사용해서 가짜 레포지토리를 구현하는 경우Stubs: 테스트에서의 요청에 대해 미리 준비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 미리 반환할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고, 호출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반환한다.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것들은 응답하지 않는다.Spies: Stub이지만 정복 기록도 함께하는 객체. 호출 여부, 호출 횟수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일부는 실제 객체 처럼 동작하고, 일부는 Stubbing할 수 있다.Mocks: 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 명세에 따라 동작되도록 설계 된 객체. 그러니깐 개발자가 직접 그 객체의 행동을 관리하는 객체이다.Q. Stub과 Mock을 구분하는 기준은?Stub : 상태 검증(State Verification)Mock : 행동 검증(Behavior Verification) TIP. 테스트 작성을 위한 여러 팁을 정리해보면Mockito 프레임워크를 한번 래핑하는 BDD Mockito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조금 더 자연스러운 API 네이밍으로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테스트 간의 독립성을 보장하자 테스트에서 전역 변수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BeforeEach또는 @AfterEach 메서드를 사용한 레포지토리 클렌징@Transactional사용 Test Fixture용 클래스를 따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Test Fixture를 @BeforeEach를 사용한 셋업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중복 제거보다 해당 테스트에 해당 내용을 알아야하는지 고려해보고 적용하자테스트 내용은 동일한데 입력값만 변경해보면서 테스트 해보고 싶으면 @ParameterizedTest 사용private메서드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하다면 해당 메서드의 책임을 분리할지 고민해본다단순히 테스트하기 위해서 public으로 열어두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Q. REST Docs vs Swagger의 차이는?REST Docs테스트를 통과해야 문서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프로덕션 코드에 비침투적이다코드의 양이 많고 설정이 상대적으로 어렵다Swagger적용이 쉽다문서에서 바로 API 호출이 가능하다애노테이션을 달아줘야 하기 때문에 프로덕션 코드에 침투적이다🤔 회고워밍업 클럽의 마지막 주차가 되었다. 강의 양이 많아도 내가 정말 필요한 내용을 담아서 만들어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시청했다.강의와 미션을 따라가면서 학습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만약 워밍업 클럽 3기가 있다면 다시 참가할 예정이다.지금까지 학습 내용을 다시 복습해보고 더 나아가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 참고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백엔드테스트코드워밍업클럽2기백엔드발자국4주차회고

송준환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 BE 클린코드, 테스트코드 스터디 3주차 발자국

일주일 간 학습 내용 요약테스트를 해야하는 이유테스트는 귀찮지만 필수적이다테스트를 하지 않으면 경험과 감에 의존해 개발하게 되고,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며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피드백이 늦어질 수 있다. 테스트의 목적빠른 피드백을 제공하고, 자동화로 안정감을 얻는 것이 목표다. 매 순간 소프트웨어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모든 경우를 고려하고 팀원이 동일한 고민을 해야 한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으면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반대로, 테스트 코드가 병목 현상을 일으키면 유지보수가 어렵고, 잘못된 검증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 올바른 테스트 코드의 장점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빠르게 버그를 발견할 수 있고, 수동 테스트 비용을 절약한다.빠르게 변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며 팀의 집단 지성을 이익으로 승격시킨다. 초기에는 느려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테스트 주도 개발(TDD)TDD(Test Driven Development)TDD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 방법론이다. 테스트가 구현 과정을 주도하게 되며, 기능 테스트와 구현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RED-GREEN-REFACTOR 주기RED: 실패하는 테스트를 작성한다. GREEN: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딩을 한다. REFACTOR: 코드를 개선하면서 테스트가 통과되도록 유지한다. TDD의 이점복잡도가 낮고 테스트 가능한 코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엣지 케이스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빠른 피드백을 받아 유연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과감한 리팩토링도 가능하게 한다. 관점의 변화전통적으로 테스트는 구현부 검증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여겨졌지만, TDD에서는 테스트와 구현부가 상호작용하며 발전하는 형태로 변화한다. 클라이언트 관점에서 피드백을 받는 방식으로 발전한다.회고• 칭찬하고 싶은 점: 테스트코드에 대해 궁금점이 많이 있었는데 강의를 듣고 어느정도 많이 해소됐다.• 아쉬웠던 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걸려서 서둘러 미션을 제출한것이 살짝 아쉬웠다.• 보완하고 싶은 점: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미션을 수행해야겠다.다음 주 학습 목표• 강의를 완벽히 내것으로 만들고 나머지 미션까지 기한 내에 제출하면 좋을 것 같다.Day 12 미션https://github.com/junhwan98/readable-code/tree/main/src/test/java/cleancode/studycafe/tobe참고강의박우빈 - 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테스트코드

ronnie

백엔드 클린코드, 테스트코드 회고 4주차 마지막

해당 회고는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에 대한 회고입니다.마지막 주벌써 4주 동안의 스터디가 끝났습니다. 그래도 무언가 마무리된다는 것은 보람차면서도 아쉽네요.이번주에 한 것들을 정리하면서 마지막 회고를 작성해보겠습니다! 배운 것들4주차에서는 Mockito와 관련된 사용과 stubbing하는 방법, 더 나은 테스트 작성하기, 학습 테스트와 Spring REST docs를 공부했습니다. Mockito로 Stubbing하기추가 기능으로 날짜와 이메일을 받고 일 총 매출 이메일로 전송해주는 것을 구현외부 네트워크를 타는 로직의 경우 실제 메일을 전송하는 것까지 테스트에 포함시켜야 할까?할 필요가 없다 시간과 비용적인 낭비다적절한 mocking으로 원활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해보자! @MockBean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DisplayName("결제 완료 주문들을 조회하여 매출 통계 메일을 전송한다.") @Test void sendOrderStatisticsMail() { //given ... when(mailSendClient.sendEmail(any(String.class), any(String.class), any(String.class), any(String.class))) .thenReturn(true); //when ... }Test Doublestub과 Mock이 헷갈렸는데 바로 알게되었다.둘의 공통점은 어떤 행위에 대한 결과를 정해두고 그것을 리턴해주는 것차이점은 검증 목적이다. Stub은 테스트를 함에 따라 변한 상태를 검증하는 것, 테스트 후에 Stub의 상태가 어떻게 변했는지 주목Mock은 테스트를 함에 따라 동작하는 행위를 검증하는 것, 테스트를 하면 어떤 동작이 실행될 것인지에 대해서 주목순수 Mokito Extension으로 사용해보기, 어노테이션 사용해보기Mock과 Spy의 차이를 명확하게 공부하고 직접 함수를 이용해봤다. 외에도 @MockBean, @SpyBean, @InjectMocks도 학습했다. BDDMokitoMock을 사용할 때 when 함수의 경우 표기상 when절에 있는 것이 맞을 것 같은데 given절에 있어서 뭔가 표현이 매끄럽지 않은 것 같다.따라서 나온 것이 BDDMockito.모든 동작은 Mockito와 동일하다 BDD스타일로 이름만 변경한 것.앞으로 Mockito를 작성할 때는 given절에서 BDDMockito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자!given절에 구현되는 when절을 BDDMockito.given()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줘서 매끄러운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DisplayName("메일 전송 테스트") @Test void sendMail() { //given BDDMockito.given(mailSendClient.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willReturn(true); //when boolean result = mailService.sendMail("", "", "", ""); Classicist vs MockistMockist는Mock으로 모든 테스트를 커버하고 보장이 된 부분에 대해서는 Mocking처리를 해서 빠른 테스트를 진행하자는 주의Classicist는 실제 프로덕션 코드에서 잘 돌아간다는 보장을 하기 위해서 실제 객체로 최대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Mocking을 진행하자는 주의만약 프로덕션 레벨에서 테스트의 유효성이 Mockist가 낮다면 Classicist를 따르는 것이 맞을 것 같은데 규모가 작거나 커버리지 퍼센트를 어느정도 유지하고 싶다면 Mockist 방법을 택해서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나은 테스트를 위한 조언하나의 문단에 하나의 주제를 가지는 것이 좋은 글쓰기인 것처럼 각 테스트메서드는 하나의 주제만 가지는 것이 바람직테스트 환경을 조성할 때 모든 환경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given절에서 테스트 기반 환경을 세팅할 때 다른 테스트와 결합이 생기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작성하자두가지 이상의 테스트가 하나의 공유변수를 이용할 때 한 테스트가 변수의 상태를 바꾼다면 다른 테스트의 결과를 보장할 수 없다.여러가지 테스트 메서드를 정의했을 때 given에 겹치는 데이터가 생각보다 많다.문서로써의 테스트 기능을 잘 수행하도록 잘 분배해보자성능과 시간적으로 효율적이고 일괄 삭제를 해주는 deleteAllInBatch를 사용하자파라미터에 여러값을 적용해서 테스트할 수 있는 @ParameterizedTest와 공유변수로 다수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DynamicTest테스트 환경도 상위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서 환경을 통합 관리하자private 메서드 테스트를 하고 싶다면 객체 분리의 시점으로 보자. 하나의 퍼블릭 메서드에서 하는일이 너무 많은지 확인해보고 프라이빗 메서드의 기능을 별도의 객체에 위임하는 방법을 고려하자프로덕션 코드에서는 필요없는 테스트 코드에서만 사용하는 최소의 생성자나 빌더는 필요에 의한 최소범위로 만들고 무분별한 생성을 지양하자 학습테스트학습테스트는 테스트를 학습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이다.Guava라는 라이브러리를 테스트메서드로 학습해보았다. 실제 동작적인 확인을 하기에 매우 좋은 것 같고 뭔가 나만의 동적인 Docs를 남기고 공유하고 싶을 때 이용하기 좋은 방법인 것 같다. Spring REST Docs프로젝트 때 비슷한 swagger를 사용해봤다. 제대로 잘 익혀놓으면 다음 개발때 잘 이용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진짜 마무리 회고많은 분들에게 동기부여받고 학습했던 한 달이었습니다.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것을 늘 느끼고 앞으로도 꾸준히 열심히 도전하고 학습하고 싶습니다. 인프런 워밍업 클럽 짱 

웹 개발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워밍업클럽

sdsd988

워밍업 클럽 2기 백엔드 클린코드&테스트 Day 18 미션

1.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 @Mock, @Spy 차이- '가짜'이냐 '진짜'이냐의 차이- @Spy' 진짜' 객체라면, 객체 내부의 메서드가 실행된다.- @Mock '가짜' 객체라면, 객체 내부의 메서드가 실행되지 않는다. @Mock과 @MockBean 차이@Mock은 Spring과 독립적으로, 단위 테스트에서 객체의 특정 메서드를 모킹할 때 사용!@MockBean은 Spring Boot 통합 테스트나 Spring의 의존성 주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Spring 컨텍스트에 Mock 객체를 주입하여 해당 객체를 사용!  @Spy: Mockito 스파이 객체를 테스트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하며, Spring 컨텍스트와는 무관합니다. 단위 테스트에서 사용됩니다.@SpyBean: Spring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스파이 객체를 주입하여 Spring의 Bean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Spring 통합 테스트에서 사용됩니다. @InjectMocks@Mock 객체에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2. 테스트 코드 문서화핵심은 중복 제거가 아닌, 도메인사용자, 게시물은 간접적이므로 setUp, 댓글은 직접적으로 given절@BeforeEach void setUp() { 1,2,3-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3-2. 사용자 생성 1,2,3-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3-4. 게시물 생성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   

백엔드백엔드인프런워밍업클럽테스트코드스프링

zooxop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 발자국 - 4주차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 과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마지막 주차인 이번 4주차에는 Layered Architecture 의 각 레이어별 역할과 실무에 가까운 테스트 방법들을 배워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강의 링크: 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학습 요약] Layered ArchitecturePersistence LayerData Access의 역할을 한다.~~Repository비즈니스 가공 로직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Data에 대한 CRUD에만 집중한 레이어Business Layer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역할Persistence Layer와의 상호작용(Data를 읽고 쓰는 행위)을 통해 비즈니스 로직을 전개시킨다.트랜잭션을 보장해야 한다.작업단위에 대한 원자성Presentation Layer외부 세계의 요청을 가장 먼저 받는 계층파라미터에 대한 최소한의 검증을 수행한다.MockMvcMock: 가짜, 대역의 의미를 갖고 있다.Mock(가짜) 객체를 사용해 스프링 MVC 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Test Double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대역 역할을 하는 객체들을 칭하는 표현Dummy아무것도 하지 않는 깡통 객체Fake단순한 형태로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나, 프로덕션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객체 (ex. FakeRepository)Stub테스트에서 요청한 것에 대해 미리 준비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그 외에는 응답하지 않는다.SpyStub 이면서 호출된 내용을 기록하여 보여줄 수 있는 객체.일부는 실제 객체처럼 동작시키고 일부만 Stubbing 할 수 있다.Mock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객체.Stub과 Mock의 차이Stub은 상태 검증(State Verififation) 을 위해 사용Mock은 행위 검증(Behavior Vefirification) 을 위해 사용 순수 Mockito로 검증해보기@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class MailServiceTest { @Spy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Mock private MailSendHistoryRepository mailSendHistoryRepository; @InjectMocks private MailService mailService; @DisplayName("메일 전송 테스트") @Test void sendMail() { // given // 1) doReturn(true) .when(mailSendClient) .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 2) doNothing() .when(mailSendClient) .a(); // when boolean result = mailService.sendMail("", "", "", ""); // then assertThat(result).isTrue(); verify(mailSendHistoryRepository, times(1)).save(any(MailSendHistory.class)); // 3) } } @Spy 객체는 Mockito 의 메서드가 아니라 Stubber 메서드를 이용해서 Stubbing 을 수행해야 한다.1) MailSendClient 의 .sendEmail() 메서드만 Stubbing 했고, 나머지는 실제 구현 코드를 사용한다.2) 이렇게 하면 .a() 도 Stubbing 했으므로, 동작을 안하게 됨.3) verify() 를 이용해서 Mock 객체의 여러가지 행위를 검증할 수 있다. BDDMockitoMockito 를 한번 더 감싸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되 BDD 스타일로 작성된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이다.// Before // given Mockito.when(mailSendClient.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thenReturn(true); // After // given BDDMockito.given(mailSendClient.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willReturn(true);Mockito를 사용하게 되면, given 절에 when() 이라는 이름의 메서드를 사용해야 된다. 이는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BDDMockito 를 사용하면 동일하게 when() 동작을 수행하지만 이름은 given() 인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 한 문단에 한 주제테스트 코드는 문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니, 글쓰기를 한다는 마음 가짐으로 테스트를 작성하자. 완벽하게 제어하기현재시간, 랜덤값 등을 외부에서 주입받도록 DI 구조로 리팩토링 하여, given 데이터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이메일 발송과 같은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기능은 Mocking 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한 테스트 메서드에서 두가지 이상의 기능을 테스트하지 말자논리적인 사고가 한번 더 필요해지므로, 가독성에 안좋은 영향을 준다.when/then 절의 assert 구문을 호출하기 전에 given 에서 예외가 발생할 수도 있다.given절에 사용할 데이터를 만들때는 가급적이면 순수한 생성자 또는 Builder 를 통해 생성하는 것이 좋다.생성 과정에 검증이 포함되어 있는 Factory 메서드 패턴을 사용하면, 생성 과정에서 예외가 발생할 수도 있음. 테스트 간 독립성을 보장하자테스트간에는 순서라는 개념이 없어야 한다.각각 독립적으로, 언제 어떤 순서로 어떻게 수행되든 항상 같은 결과를 내야만 한다. 한 눈에 들어오는 Test Fixture 구성하기Fixture: 고정물, 고정되어 있는 물체테스트를 위해 원하는 상태로 고정시킨 일련의 객체Fixture를 생성하는 코드를 메서드로 분리시킨 다면,이 테스트에서 필요한 파라메터만 넘길 수 있도록 메서드 내부에서 기본값을 하드코딩으로 설정해주는 방법이 가독성 향상에 좋다.@BeforeEach, @BeforeAll중복 코드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지만, 각 테스트간 결합이 생기게 만든다는 맹점이 존재함.각 테스트 입장에서 봤을 때, 아래 두가지 항목을 만족하면 BeforeEach 절에 사용해도 괜찮다.아예 몰라도 테스트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문제가 없는가?수정해도 모든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가?data.sql테스트 클래스 코드가 아닌, 쿼리로 데이터를 미리 셋업하도록 처리하는 방식은 데이터를 셋업하는 코드의 파편화로 인해, 유지보수 포인트가 증가하고 추후 중복코드를 만들어낼 수도 있는 등 프로젝트의 복잡도만 높이는 행위이므로 지양하는 것이 좋다. Test Fixture 클렌징.deleteAll() vs .deleteAllInBatch()`.deleteAll()` : 지울 테이블을 먼저 select 하고, 데이터 건수만큼 delete 쿼리의 where 절에 key값을 포함한 쿼리가 요청됨.`.deleteAllInBatch()` : 냅다 delete All 쿼리를 요청해버림.그럼 .deleteAll()은 왜 사용??.deleteAll() 은 모든 연관관계를 먼저 찾은 다음 삭제를 해주기 때문에, 외래키 같은 제약 조건을 고려해서 삭제해준다.어지간하면 .deleteAllInBatch()를 사용하자. [후기] 이로써 총 4주간의 워밍업 클럽 일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는 인프런 강의를 구매만 해놓고 수강을 미뤄놓기만 해왔는데, 우연한 기회에 알게된 워밍업 클럽 덕분에 밀도있게 학습을 할 수 있는 경험을 겪어본 것이 가장 좋았던 점이었습니다.실무에서도 테스트를 적극적으로 작성하지 않는 상황이 정말 많아, 테스트를 어떻게 하면 더 잘 작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항상 있었습니다. 그런 저에게 실용적인 테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실무에 가까운 예제를 알려준 이번 강의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좋은 강의를 준비해주신 박우빈 강사님께 감사드리고, 워밍업 클럽이라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운영해주신 인프런 운영진분께도 감사드립니다.

백엔드백엔드워밍업클럽테스트코드클린코드

[워밍업 클럽 2기] Day 18 - 모킹 애노테이션의 종류, 테스트 내용 배치

워밍업 클럽 2기: Clean Code & Test Code의 Day 18 미션입니다. 🎯 미션 11.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한번 정리해 봅시다. @MockMockito의 기본 모킹 애너테이션Mock 객체를 만들어 해당 객체의 메서드 호출에 대해 미리 정의된 값을 반환하도록 설정 가능(stub)Mock 객체는 실제 메서드를 호출하지 않고 동작만 시뮬레이션 한다@MockBeanMock 객체를 빈으로 등록합니다. 이는 테스트 대상 클래스가 의존성 주입을 통해 해당 Mock 빈을 받을 수 있도록한다.보통 @SpringBootTest나 @WebMvcTest와 같은 Spring 컨텍스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SpyMockito에서 객체의 일부 메서드만 모킹하고 나머지는 실제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객체의 일부 기능만 변경하여 테스트하고 싶은 경우 사용한다실제 객체가 만들어져서 사용된다doReturn().when.() 사용SpyBean부분 모킹을 위해 스프링 컨텍스트에 등록된 실제 빈을 Spy로 대체한다실제 빈의 일부 메서드만 모킹하고, 나머지는 실제 메서드를 호출하게 할 때 유용하다@InjectMocks테스트 클래스에 정의된 @Mock 또는 @Spy로 선언된 객체를 주입하여, 대상 클래스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 미션 22. 아래 3개의 테스트가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고, 각 항목을 @BeforeEach, given절, when절에 배치한다면 어떻게 배치하고 싶으신가요? (@BeforeEach에 올라간 내용은 공통 항목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ex. 1-1과 2-1을 하나로 합쳐서 @BeforeEach에 배치) As-Is@BeforeEach void setUp() { ❓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1-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 사용자 생성 1-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4. 게시물 생성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6. 댓글 생성 // given ❓ // when // then -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2-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2. 사용자 생성 2-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4. 게시물 생성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2-7. 댓글 수정 // given ❓ // when ❓ // then -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3-1. 사용자1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2. 사용자1 생성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given ❓ // when ❓ // then - 검증 } 다음은 미션을 수행한 To-Be 입니다.To-Be@BeforeEach void setUp() { 1-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1. 사용자1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2. 사용자 생성 1-4. 게시물 생성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2. 사용자 생성 2-4. 게시물 생성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2. 사용자1 생성 3-4. 사용자2 생성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 검증 }고려한 내용@BeforeEach()에는 각 테스트에서 반복되지만, 검증하는 대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공통 준비 사항을 처리하려고 했다. 여기서 준비하는 내용은 없어도 각 테스트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각 내용이 변경되어도 각 테스트는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when에는 각 테스트에서 검증하는 행위만을 배치시켰다  🔍 참고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백엔드워밍업클럽2기테스트코드Day18모킹

김민성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 BE] (클린코드, 테스트코드) day 18 미션

출처 :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 백엔드 클린코드, 테스트 코드(Java, Spring Boot)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1.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이 애노테이션들을 한번 정리하고 차이점을 알아보자. @Mockorg.mockito.Mock 이며 Mockito.mock() 을 애노테이션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다.사용하려면 junit5기준으로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을 클래스 위에 달아주어야 한다.역할은 내가 어떤 테스트를 하고 싶은데, 그 테스트를 하려면 또 다른 의존성(클래스)를 끌고 와야 하는 상황에서 이 의존성을 가짜로 바꿔치기 (Stub)해 주는 것이다.그래서 내가 테스트 하고 싶은 코드만 테스트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ockBean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Bean 패키지이며(!) spring-boot-test가 제공하는 애노테이션 이다.이걸 사용하면 스프링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빈을 대체할 수 있다. → 즉 @SpringBootTest를 사용해야함.mock객체를 스프링 컨텍스트에 대신 등록하는 것이다. 그래서 Autowired에 의존성이 주입됨.역할은 @Mock과 유사하다. @InjectMocksorg.mockito.InjectMocks이며 @Mock이나 @Spy가 붙은 의존성 객체를 내가 테스트 할 객체에 주입할 때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이다. @Mock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 의존성(가짜 객체) @InjectMocks private MailService mailService; //실제 테스트할 객체코드에서 보면 mailSendClient라는 가짜 객체를 테스트를 위해 mailService에 주입하겠다는 것이다. @Spyorg.mockito.Spy이며 Mockito.spy()를 애노테이션화 한 것으로 볼 수 있다.의존성을 대체하는 @Mock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다.@Spy를 사용하면 일부 기능은 가짜로 Stub할 수 있고, 일부 기능은 실제로 동작 시킬 수 있다. @Slf4j @Component public class MailSendClient { // 메일 전송 public boolean sendEmail(String fromEmail, String toEmail, String subject, String content) { log.info("메일 전송");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메일 전송"); } public void a() { log.info("a"); } public void b() { log.info("b"); } public void c() { log.info("c"); } }다음과 같은 가짜로 대체하고 싶은 클래스가 있다. 여기서 sendEmail()만 가짜로 Stub하고 나머지 a(), b(), c()는 실제 메서드를 실행하고 싶은 거다.public class MailService { private final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public boolean sendMail(String fromEmail, String toEmail, String subject, String content) { boolean result = mailSendClient.sendEmail(fromEmail, toEmail, subject, content); if (result) { // 추가 로직 } mailSendClient.a(); mailSendClient.b(); mailSendClient.c(); ... } }이런 식으로 MailService에서 sendMail()을 테스트를 할 때 mailSendClient의 sendMail()만 가짜로 쓴다는 의미이다. @Spy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InjectMocks private MailService mailService; @Test @DisplayName("메일 전송 테스트") void sendMail() { doReturn(true) .when(mailSendClient) .sendEmail(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boolean result = mailService.sendMail("", "", "", ""); }이렇게 doReturn().when().스터빙할메서드()이라는 메서드 체이닝을 통해 스터빙할 수 있다. @Spy를 사용하면 일부 기능은 가짜로 Stub할 수 있고, 일부 기능은 실제로 동작 시킬 수 있다. @SpyBean이것도 @MockBean과 마찬가지로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SpyBean spring-boot-test가 제공하는 애노테이션 이다. 즉 @SpringBootTest를 사용해야함.가짜 객체의 일부만 stub하고, 나머지는 실제 메서드를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2. 다음과 같은 테스트가 있을 때 이걸 분류해보자.@BeforeEach void setUp() { ❓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1-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 사용자 생성 1-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4. 게시물 생성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6. 댓글 생성 // given ❓ // when ❓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2-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2. 사용자 생성 2-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4. 게시물 생성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2-7. 댓글 수정 // given ❓ // when ❓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3-1. 사용자1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2. 사용자1 생성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given ❓ // when ❓ // then 검증 }여기서 @DisplayName으로 뭘 테스트할지 알 수 있다.이번 테스트는 댓글에 대한 테스트를 하려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그럼 given절에는 댓글을 달기 위한 사전 준비를 해야 하는데, 반복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setUp()으로 빼보자.1-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 사용자 생성 1-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4. 게시물 생성 2-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2. 사용자 생성 2-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4. 게시물 생성 3-1. 사용자1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2. 사용자1 생성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이 내용은 계속 반복된다.@BeforeEach void setUp() {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사용자 생성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게시물 생성 } 이렇게 준비해보자. 첫 번째 테스트는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가 핵심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나타냈다.@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두 번째 테스트는 댓글을 수정이 핵심이기 때문에 댓글 생성까지는 준비하고, 핵심인 댓글 수정을 when에서 실행했다.@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마지막 테스트는 타인이 댓글을 수정 시도한다.이기 때문에given절에선 타인 사용자 2를 만들어주고, 내가 댓글을 생성해 놓는다.그리고 when절에서 타인이 내 댓글을 수정 시도한다.@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 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다.@BeforeEach void setUp() {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사용자 생성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게시물 생성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  

백엔드테스트코드워밍업클럽미션

gusdnchl7144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 백엔드 클린코드, 테스트코드 4주차 발자국

 Section7) Mock을 마주하는 자세Test Double의 종류1) Dummy : 아무것도 하지 않는 깡통 객체2) Fake : 단순한 형태로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나, 프로덕션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객체 (ex, FakeRepository)3) Stub : 테스트에서 요청한 것에 대해 미리 준비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 그 외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상태 검증 (State Verification)4) Spy : Stub이면서 호출된 내용을 기록하여 보여줄 수 있는 객체, 일부는 실제 객체처럼 동작시키고 일부만 Stubbing할 수 있다,5) Mock : 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객체 //행위 검증 (Behavior Verification).BDDMockitoBDDMockito는 Mockito에서 BDD 스타일에 맞추어 모든것의 이름만 바꾼 것이다.일례로 given 구역에 .when()을 쓰면 이질감이 들기 떄문에 BDDMockito가 생긴 것이다..Classicist VS Mockist1) Classicist- 꼭 필요한 경우에만 mocking을 쓰고 왠만하면 진짜 객체로 테스트 하자는 주의이다.2) Mockist- 모든 것을 Mocking 위주로 하여 테스트 하자는 주의이다..Section8)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1) 한 문단에 한 주제!- DisplayName을 한 문장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2) 완벽하게 제어하기3)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 테스트에서는 팩토리 메서드를 지양하고 Buider나 생성자를 통해 최대한 독립성을 보장해서 given절을 구성하는게 좋다.4) 테스트 간 독립성을 보장하자- 테스트간의 공유자원 사용하지 않기.- 테스트간의 독립성 보장하기~!5) 한 눈에 들어오는 Test Fixture 구성하기- Fixture : 고정룰, 고정되어 있는 물체- Test Fixture : 테스트를 위해 원하는 상태로 고정시킨 일련의 객체6) Test Fixture 클렌징- @Transactional, @rollback 방식과 deleteAllInBatch(), deleteAll() 등을 잘 알고 사용해야 한다.7) @ParameterizedTest8) @DynamicTest9) 테스트 수행도 비용이다. 환경 통합하기- @DataJPATest 보다 @SpringbootTest 사용을 권장한다.- 컨트롤러(통합) 테스트시 @WebMvcTest의 Controllers 옵션을 통해 특정 컨트롤러들만 지정하여 테스트해줌으로써 테스트 수행 비용을 줄여준다.10) private 메서드는 테스트할 필요가 없다.11) 테스트에서만 필요한 메서드 중 생성자 등은 프로덕션 코드에 생성해도 좋다..Section9) AppendIx1) 학습 테스트- 잘 모르는 기능,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기 위해 작성하는 테스트- 여러 테스트 케이스를 스스로 정의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동작과 기능을 학습할 수 있다.- 관련 문서만 읽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다.2) Spring Rest Docs- 테스트 코드를 통한 API 문서 자동화 도구- API 명세를 문서로 만들고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협업을 원활하게 한다.- 장점→ 테스트를 통과해야 문서가 만들어진다 (신뢰도가 높다)→ 프로덕션 코드에 비침투적이다.- 단점→ 코드 양이 많다.→ 설정이 어렵다..Day-15 Mission) 레이어드 아키텍처에서의 테스트 코드 작성강의로 배운 레이어드 아키텍처 관련 내용을 확장시켜 정리할 수 있어 좋았다.과제 Link.Day-18 Mission) Test Double 어노테이션 이해 및 테스트 항목 배치@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given-when-then 전략으로 테스트 코드 배치 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어 좋았다.과제 Link..회고오늘로써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2기 대장정이 마무리 되었다.클린코드와 테스트코드는 누구나 중요성을 알지만, 혼자서 공부하기 쉽지 않은 부분이다.강의를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강의를 통해 Clean Code와 Test Code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었고, 실무에도 점차적으로 적용 해보면서 뜻 깊은 경험을 할 수 있었다.다음에 인프런 스터디 3기가 열린다면 재참여를 고려해 봐야겠다마지막으로 강의와 스터디를 만들어주신 박우빈님과 스터디 관리에 힘써주신 셰리 매니저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출처https://inf.run/zgJk5https://inf.run/kHiWM

백엔드워밍업클럽테스트코드

zooxop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 Day 18 미션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 과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은 Day 18 미션 제출을 위해 작성하였습니다.[미션 내용]@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한번 정리해 봅시다.미션에서 제공된 예제를 살펴보고, 각 항목을 @BeforeEach, given절, when절에 배치해보기 강의 링크: 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1. Test Double Annotations 특징@Mock실제 객체 대신 가짜 객체를 생성한다.기본적으로 모든 메서드가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음.when() 을 통해 특정 메서드의 동작과 결과값을 임의로 지정할 수 있음.Spring context 의존 X.@Mock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 사용 예시 when(userService.findById(1L)).thenReturn(new User());@MockBean기본적으로 @Mock 과 유사하지만, Spring context에 의존한다.Spring context에 Mock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함.같은 타입의 기존 Bean을 찾아서 Mock으로 교체하는 방식통합 테스트에서 특정 Bean만 Mock으로 대체하고 싶을 때 유용함.@MockBean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Spy실제 객체를 생성하고 일부 메서드만 Mock으로 지정할 수 있음.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은 메서드는 실제 동작을 수행한다.일부 메서드만 수정하고 싶을 때 유용함.@Spy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 특정 메서드만 Mock 처리 doReturn(new User()).when(userService).findById(1L);@SpyBean기본적으로 @Spy 와 유사하지만, Spring context에 의존한다.Spring context의 실제 Bean을 Spy로 감싸서 사용함.실제 Bean 의 일부 동작만 수정하고 싶을 때 유용함. @SpyBean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InjectMocksSpring context 의존 없이(통합 테스트 없이) 의존성 주입이 필요한 클래스(ex. Service class)를 테스트할 때 유용하다.@Mock 이나 @Spy로 생성된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받도록 해준다.@Mock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InjectMocks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 userRepository가 자동 주입됨 주요 차이점통합 테스트 필요 여부 차이필요: @MockBean, @SpyBean불필요: @Mock, @Spy, @InjectMocks동작 방식완전한 가짜 객체: @Mock, @MockBean실제 객체를 부분적으로 Mocking: @Spy, @SpyBean  @BeforeEach, given절, when절에 배치해보기@BeforeEach void setUp() { (1-1., 2-1., 3-1) 사용자1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 2-2., 3-2) 사용자1 생성 (1-3., 2-3.,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4., 2-4.,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 

백엔드워밍업클럽백엔드클린코드테스트코드미션

ykm8864

[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Layered Architecture에서의 Testing 정리

Layered Architecture의 레이어별 특징 및 테스팅 방법 정리예시: 음식 배달 서비스각 레이어를 음식 배달 서비스의 역할로 설명한다. 음식 배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음식을 주문하고, 음식점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배달원이 고객에게 음식을 전달하는 과정을 생각해 본다. Persistence Layer특징비지니스 가공 로직이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이 레이어는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음식점의 메뉴, 고객 정보, 주문 기록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마치 식당의 재료 창고처럼, 데이터의 상태를 정확히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보관한다. 창고에서는 식당의 주방장이 재료를 요청하면, 정확한 재료를 꺼내주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의 가공은 하지 않고, 필요한 데이터만 정확하게 주고받는 것이 이 레이어의 역할이다.테스트 방법- 단위 테스트: 재료 창고에서 특정 재료를 꺼내거나, 새로운 재료를 추가할 때 그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검증한다. Mocking을 통해 창고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데이터가 올바르게 반환되는지 확인한다.- 통합 테스트: 실제 창고에서 재료를 꺼내고 추가하는 테스트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김치 찌개 재료'를 창고에 추가하고, 해당 재료를 제대로 꺼낼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Business Layer특징트랜잭션을 보장해야 한다.이 레이어는 주방에서 음식의 조리 과정을 담당한다. 사용자 주문에 따라 어떤 메뉴를 어떻게 조리할지 결정하고, 레시피에 따라 재료를 가공하거나 조리 과정을 관리한다. 주방장은 여러 재료를 받아서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마치 식당 주방장이 음식의 맛과 품질을 관리하듯, 비즈니스 로직을 통해 데이터와 요구사항을 처리한다.테스트 방법- 단위 테스트: 주방장이 다양한 재료로 요리를 만들 때 레시피에 따라 올바르게 조리하는지 검증한다. Mocking을 통해 창고에서 직접 재료를 받지 않고, 주방에서의 조리 과정 자체에 집중한다.- 통합 테스트: 주방과 창고가 함께 작동하며 올바른 음식을 내놓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된장찌개' 주문이 들어왔을 때 창고에서 된장과 야채를 받아, 조리 과정을 거쳐 최종 요리가 완성되는지를 검증한다. Presentation Layer특징MockMvc를 통해 내가 테스트하고자하는 부분에 집중한다.상위레이어가 하위 레이어를 알고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하위레이어가 상위레이어를 알고 있는 것은 의존성이 강한 구조이다.이 레이어는 완성된 음식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배달원이 주문한 음식을 정확하게 고객에게 전달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음식이 전달되는지 책임진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주방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받아 다시 고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배달원이 고객에게 주문한 음식을 가져다주는 것처럼, 이 레이어는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호작용을 수행한다.테스트 방법- 단위 테스트: 배달원이 주문한 음식과 고객의 요청을 제대로 처리하는지 검증한다. Mocking을 통해 주방이나 창고에 접근하지 않고, 배달원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집중한다.- 통합 테스트: 배달원, 주방, 창고가 함께 작동하면서 사용자의 주문을 제대로 처리하는지 검증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비빔밥'을 주문했을 때, 주방과 창고의 도움을 받아 배달원이 정확하게 비빔밥을 전달하는지를 확인한다. 흐름도사용자 <-> Presentation Layer (배달원 역할) <-> Business Layer (주방 역할) <-> Persistence Layer (재료 창고 역할)- 사용자(고객)는 Presentation Layer를 통해 주문을 요청한다.- Presentation Layer는 Business Layer에 주문 내용을 전달한다.- Business Layer는 Persistence Layer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 주문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한다.- 최종적으로 Presentation Layer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결과를 전달한다. - 각 레이어는 역할을 명확히 나누어, 서로에게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집중한다.

웹 개발워밍업클럼2기몰입하는개발자테스트코드TDD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