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StorageOS 설치 과정에서 설치는 된 것 같은데 강의 실습에서 다른 메시지가 보여 확인차 문의 드립니다.
namespace/storageos-operator created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storageos-operator createdserviceaccount/storageoscluster-operator-sa createddeployment.apps/storageos-cluster-operator created여기까지는 강의 실습 내용과 동일한 것 같습니다.하지만 추가적으로 아래 메시지가 더 발생했는데... 확인차 문의드려요! 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storageosclusters.storageos.com" namespace: "" from "https://github.com/storageos/cluster-operator/releases/download/1.5.0/storageos-operator.yaml": no matches for kind "CustomResourceDefinition" in version "apiextensions.k8s.io/v1beta1"ensure CRDs are installed first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storageosupgrades.storageos.com" namespace: "" from "https://github.com/storageos/cluster-operator/releases/download/1.5.0/storageos-operator.yaml": no matches for kind "CustomResourceDefinition" in version "apiextensions.k8s.io/v1beta1"ensure CRDs are installed first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jobs.storageos.com" namespace: "" from "https://github.com/storageos/cluster-operator/releases/download/1.5.0/storageos-operator.yaml": no matches for kind "CustomResourceDefinition" in version "apiextensions.k8s.io/v1beta1"ensure CRDs are installed first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nfsservers.storageos.com" namespace: "" from "https://github.com/storageos/cluster-operator/releases/download/1.5.0/storageos-operator.yaml": no matches for kind "CustomResourceDefinition" in version "apiextensions.k8s.io/v1beta1"ensure CRDs are installed firstresource mapping not found for name: "storageoscluster-operator-rolebinding" namespace: "" from "https://github.com/storageos/cluster-operator/releases/download/1.5.0/storageos-operator.yaml": no matches for kind "ClusterRoleBinding" in 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beta1"ensure CRDs are installed first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 remote JVM debug 설정
안녕하세요. 강의듣다가 Remote JvmDebug에서 Before launch를 설정하려고 하는데요. 제 인텔리제이에서는 Launch Docker Before Debug라는 항목이 보이지 않아서요.. plugin으로 docker설치하고 다시 intellij 실행하였고, 인텔리제이 버전은 2024.1 입니다. Mac 환경이고.. 왜 저는 안나오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개발환경구성] docker vscode로 실행시
vscode로 node설치 안하고 node docker를 이용해서 npm install을 하고서 npm run serve 명령어를 하면요분명 localhost:80 이라고 쓰여있는데 막상 눌러서 브라우저에 니깐 포트번호가 다르더라고요.그냥 제 PC에 브라우저에서 localhost:80이라고 접속하면 되지 않구요!왜그런걸까요?? 이거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거 같아서 질문으로 올립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 실행시 네트워크 질문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docker 컨테이너 실행시, --network 옵션으로 네트워크를 지정해주지 않으면 디폴트로 'bridge' 라는 네트워크에 컨테이너가 실행되는건가요?? network 리스트에서 'bridge'라는 name을 찾아서 기본값으로 사용하는걸까요?
-
해결됨[DevOps] 빠르고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파이프라인(CI/CD) 만들기
강의 교안
강의 교안은 없는 건가요? 못잧겠어요. 어느경로에 있나요 ?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nodemon refresh
터미널에 yarn start:dev 를 입력하면 에러가 나와고 있어요. 어떻게 해결할까요?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47 throw err; ^Error: Cannot find module '/Users/navruzbekabdullajonov/Desktop/codecamp-backend-mento/class/section03/index.js' at Module._resolveFilename (node:internal/modules/cjs/loader:1144:15) at Module._load (node:internal/modules/cjs/loader:985:27) at Function.executeUserEntryPoint [as runMain] (node:internal/modules/run_main:135:12) at node:internal/main/run_main_module:28:49 { code: 'MODULE_NOT_FOUND', requireStack: []}Node.js v20.11.1[nodemon] app crashed - waiting for file changes before starting...^[[A
-
미해결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kubectl apply 적용 시 status "imagepullbackoff, errimagepull" 상태
안녕하세요 kubectl apply -f wordpress-k8s.yml 적용시 이미지들이 제대로 불러와지지 않습니다.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__ ) kubectl get all 사진과 아래 kubectl describe pod 명령어 출력 내용 전달 드립니다. Name: wordpress-746bd6d54b-glpjqNamespace: defaultPriority: 0Service Account: defaultNode: minikube/172.22.59.104Start Time: Tue, 23 Apr 2024 15:41:01 +0900Labels: app=wordpress pod-template-hash=746bd6d54b tier=frontendAnnotations: <none>Status: PendingIP: 10.244.0.10IPs: IP: 10.244.0.10Controlled By: ReplicaSet/wordpress-746bd6d54bContainers: wordpress: Container ID: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Image ID: Port: 80/TCP Host Port: 0/TCP State: Waiting Reason: ImagePullBackOff Ready: False Restart Count: 0 Environment: WORDPRESS_DB_HOST: wordpress-mysql WORDPRESS_DB_NAME: wordpress WORDPRESS_DB_USER: root WORDPRESS_DB_PASSWORD: password Mounts: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 from kube-api-access-v6cfh (ro)Conditions: Type Status Initialized True Ready False ContainersReady False PodScheduled True Volumes: kube-api-access-v6cfh: Type: Projected (a volume that contains injected data from multiple sources) TokenExpirationSeconds: 3607 ConfigMapName: kube-root-ca.crt ConfigMapOptional: <nil> DownwardAPI: trueQoS Class: BestEffortNode-Selectors: <none>Tolerations: node.kubernetes.io/not-ready:NoExecute op=Exists for 300s node.kubernetes.io/unreachable:NoExecute op=Exists for 300sEvents: Type Reason Age From Message ---- ------ ---- ---- ------- Normal Scheduled 7m50s default-scheduler Successfully assigned default/wordpress-746bd6d54b-glpjq to minikube Warning Failed 7m9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33889->172.22.48.1:53: i/o timeout Warning Failed 6m29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46061->172.22.48.1:53: i/o timeout Warning Failed 5m46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39787->172.22.48.1:53: i/o timeout Normal Pulling 4m58s (x4 over 7m49s) kubelet Pulling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Warning Failed 4m35s (x4 over 7m9s) kubelet Error: ErrImagePull Warning Failed 4m35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39383->172.22.48.1:53: i/o timeout Warning Failed 4m23s (x6 over 7m9s) kubelet Error: ImagePullBackOff Normal BackOff 4m9s (x7 over 7m9s) kubelet Back-off pulling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Warning Failed 2m40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wordpress:5.9.1-php8.1-apache":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45684->172.22.48.1:53: i/o timeoutName: wordpress-mysql-78488dd7d5-t9mz5Namespace: defaultPriority: 0Service Account: defaultNode: minikube/172.22.59.104Start Time: Tue, 23 Apr 2024 15:41:01 +0900Labels: app=wordpress pod-template-hash=78488dd7d5 tier=mysqlAnnotations: <none>Status: PendingIP: 10.244.0.9IPs: IP: 10.244.0.9Controlled By: ReplicaSet/wordpress-mysql-78488dd7d5Containers: mysql: Container ID: Image: mariadb:10.7 Image ID: Port: 3306/TCP Host Port: 0/TCP State: Waiting Reason: ImagePullBackOff Ready: False Restart Count: 0 Environment: MYSQL_DATABASE: wordpress MYSQL_ROOT_PASSWORD: password Mounts: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 from kube-api-access-7hxcx (ro)Conditions: Type Status Initialized True Ready False ContainersReady False PodScheduled True Volumes: kube-api-access-7hxcx: Type: Projected (a volume that contains injected data from multiple sources) TokenExpirationSeconds: 3607 ConfigMapName: kube-root-ca.crt ConfigMapOptional: <nil> DownwardAPI: trueQoS Class: BestEffortNode-Selectors: <none>Tolerations: node.kubernetes.io/not-ready:NoExecute op=Exists for 300s node.kubernetes.io/unreachable:NoExecute op=Exists for 300sEvents: Type Reason Age From Message ---- ------ ---- ---- ------- Normal Scheduled 7m50s default-scheduler Successfully assigned default/wordpress-mysql-78488dd7d5-t9mz5 to minikube Warning Failed 7m29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mariadb:10.7":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50523->172.22.48.1:53: i/o timeout Warning Failed 6m49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mariadb:10.7":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42046->172.22.48.1:53: i/o timeout Warning Failed 6m7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mariadb:10.7":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51638->172.22.48.1:53: i/o timeout Normal Pulling 5m15s (x4 over 7m49s) kubelet Pulling image "mariadb:10.7" Warning Failed 4m55s (x4 over 7m29s) kubelet Error: ErrImagePull Warning Failed 4m55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mariadb:10.7":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registry-1.docker.io/v2/": dial tcp: lookup registry-1.docker.io on 172.22.48.1:53: read udp 172.22.59.104:42815->172.22.48.1:53: i/o timeout Warning Failed 4m40s (x6 over 7m29s) kubelet Error: ImagePullBackOff Normal BackOff 2m47s (x12 over 7m29s) kubelet Back-off pulling image "mariadb:10.7"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Database retry 관련
- 본 강의 영상 학습 관련 문의에 대해 답변을 드립니다. (어떤 챕터 몇분 몇초를 꼭 기재부탁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등은 평생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현업과 병행하는 관계로 주말/휴가 제외 최대한 3일내로 답변을 드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세션 16. 도커 컴포즈 구축 추가 강의 보다가 질문드립니다. docker compose는 컨테이너 혹은 컨테이너 내부 프로세스가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 종속 컨테이너가 실행되어 실행 오류가 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health check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혹시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retry 기능을 로직으로 구현해놓으신 이유가 있으실까요? (기능이 적합하지 않거나 하자가 있거나 등)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컨테이너 실행 명령어관련 질문드립니다.
명령어 관련해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명령어 "docker run ~" 관련해서 '-p' 옵션을 따로 추가해서 설정하지 않고 실행하면 특정 포트로 publishing이 되지는 않지만 컨테이너가 내부에서 그냥 실행 되고있는건가요??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이미지 레이어 관련 궁금증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강의 중 엔진엑스로 만든 이미지가 있는데 index.html이 다른 A가 있고 B가 있다라는 예시가 있었습니다. 이때 아래와 같이 설명해주셨는데요 이미지를 공유해서 사용하는거랑 컨테이너 생성속도랑 어떻게 연관이 있는건지 잘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동일한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아주 많이 만들어도 이 이미지로 실행된 모든 컨테이너가 하나의 이미지를 공유해서 읽어옵니다. 실제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이미지를 하나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죠. 또한 아래와 같이 설명해주셨는데요컨테이너를 만들 때 사용된 이미지에 따라서 이미지의 읽기 전용 레이어 전체를 공유할수도 있고 일부만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지의 읽기 전용 레이어를 활용하면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전체 공간을 복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컨테이너가 늘어나면서 사용하는 공간을 최대한 작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엔진엑스 이미지 A가 다운받아져있다 가졍하고 index.html이 다른 이미지 B를 다운 받는다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미지 B를 다운받을때 이미지 A와 레이어가 같은것은 다운받지 않고 레이어가 다른 index.html레이어만 다운받는걸까요? 컨테이너가 늘어나면서 사용하는 공간을 최대한 작게 관리할 수 있다라는게 어떤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려봅니다 (레이어별로 파일이 나뉘어 있는걸까요)혹시 위와 같은 부분을 실습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나 공식문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는게 있다면 같이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다중 클러스터 조회
강사님 안녕하세요 1번 클러스터, 2번 클러스터 2개의 클러스터로다중 클러스터 구축을 하였고kubectl use-context 로 클러스터간 swiching을 하면서각각 클러스터의 정보를 조회할 수가 있는데요현재는 swiching 한 클러스터의 정보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혹시 1번 클러스터에서 1번/2번 클러스터의 정보를 같이 조회할 수가 있나요?예를 들어 kubectl get node -o wide 했을때1번 클러스터와 2번 클러스터의 노드들이 모두 나오게 할 수 있는 설정이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ecs fargate service 생성 에러
이런 식으로 설정하고 생성했는데, 서비스 생성이 안됩니다. 서브넷은 4개를 다 고르려고 해도 생성할 때 막혀서 프라이빗으로 2개만 고른 상태고요. role은 원래 있던 ecsexcution에 더해 ECSfullAccess를 추가해서 사용했습니다. 이런 에러가 뜨고클라우드 포메이션에선그리고 이벤트에선이런 에러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그리고 로그를 확인해보면 cloudWatch에서 보였다가 안보였다가 하는데Nestjs로 서버가 구동되었을 때 터미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서버 실행성공 메시지가 보이고요.프로젝트 기한이 급해 강의를 모두 수강하고 진행할 시간이 없어서 이렇게 무례하게 질문드리는 것을 사과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노드 간에 오토 스케일링 관련 질문
한 노드에서 일정량 이상의 자원을 사용하여 (파드양 증가) 기준치 이상을 넘겼을 때 다른 노드에 있는 자원을 빌려 쓸 수 있는 방식에 대하여 여쭤보고싶습니다.예를들면 노드1에서 cpu사용량이 50퍼를 넘었을 때 노드 2에서 cpu 자원을 빌려아서 노드1 내 파드에 할당을 할 수 있는 방식과 같이 다른 노드에서의 자원을 빌려 쓰는 방식이 있다면 얌 파일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실습환경 구성 관련 문의
실습환경 구성 중 vagrant로 구성이 되지 않아 OVA파일을 다운받아서 구성을 하고 VM을 동작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 환경 구성이 안되어 문의드립니다 == 오류 내용 ==가상 머신 m-k8s-1.25.0(github_SysNet4Admin)의 세션을 열 수 없습니다.Not Hyper-V CPUID signature: 0x61774d56 0x4d566572 0x65726177 (expected 0x7263694d 0x666f736f 0x76482074) (VERR_NEM_NOT_AVAILABLE).VT-x is not available (VERR_VMX_NO_VMX).결과 코드: E_FAIL (0x80004005)구성 요소: ConsoleWrap인터페이스: IConsole {872da645-4a9b-1727-bee2-5585105b9eed}아울러 교육영상에서는 버전이 없던데 버전 정보가 추가 된 것인지요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ghost 실습 데이터베이스 에러
db image를 mariadb로 변경했음에도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Attaching to ghost-db-1, ghost-ghost-1ghost-db-1 | 2024-04-18 13:58:19+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ariaDB Server 1:10.7.8+maria~ubu2004 started.ghost-ghost-1 | find: '/var/lib/ghost/content/themes/source': No such file or directoryghost-ghost-1 | find: '/var/lib/ghost/content/themes/casper': No such file or directoryghost-ghost-1 | chown: cannot access '/var/lib/ghost/content/themes/source': No such file or directoryghost-ghost-1 | chown: cannot access '/var/lib/ghost/content/themes/casper': No such file or directoryghost-ghost-1 exited with code 1ghost-db-1 | 2024-04-18 13:58:19+00:00 [Note] [Entrypoint]: Switching to dedicated user 'mysql'ghost-db-1 | 2024-04-18 13:58:19+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ariaDB Server 1:10.7.8+maria~ubu2004 started.ghost-db-1 | 2024-04-18 13:58:19+00:00 [Note] [Entrypoint]: MariaDB upgrade information missing, assuming requiredghost-db-1 | 2024-04-18 13:58:19+00:00 [Note] [Entrypoint]: MariaDB upgrade (mariadb-upgrade) required, but skipped due to $MARIADB_AUTO_UPGRADE setting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Starting MariaDB 10.7.8-MariaDB-1:10.7.8+maria~ubu2004 source revision bc656c4fa54c12ceabd857e8ae134f8979d82944 as process 1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Compressed tables use zlib 1.2.11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Number of transaction pools: 1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Using ARMv8 crc32 + pmull instructions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mariadbd: O_TMPFILE is not supported on /tmp (disabling future attempts)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Using Linux native AIO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Initializing buffer pool, total size = 134217728, chunk size = 134217728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Completed initialization of buffer pool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InnoDB: MySQL-8.0 tablespace in ./ibdata1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InnoDB: Restart in MySQL for migration/recovery.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InnoDB: Plugin initialization aborted with error Unsupported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InnoDB: Starting shutdown...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Plugin 'InnoDB' init function returned error.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Plugin 'InnoDB' registration as a STORAGE ENGINE failed.ghost-db-1 | 2024-04-18 13:58:19 0 [Note] Plugin 'FEEDBACK' is disabled.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Could not open mysql.plugin table: "Table 'mysql.plugin' doesn't exist". Some plugins may be not loaded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Unknown/unsupported storage engine: InnoDBghost-db-1 | 2024-04-18 13:58:19 0 [ERROR] Abortingdocker-compose.yml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version: '3' services: ghost: image: ghost ports: - "60000:2368" volumes: - ./ghost_data:/var/lib/ghost/content environment: database__client: mysql database__connection__host: db database__connection__user: root database__connection__password: example database__connection__database: ghost db: image: mariadb:10.7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examplemysql(mariadb 10.9)에 접속해서 ghost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도 에러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ghost 관리자 화면, 환경변수 url
environment: url: http://localhost:60000이 부분이 의미하는바를 잘 모르겠습니다...다른 분이 동일한 질문을 해주셨고, 답변도 주셨는데.. 그 답변도 이해가 안가서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실습을 진행 했고, localhost:60000으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보여집니다. 하지만 sign up이나 sign in 버튼을 누르면 아무런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ghost의 관리자 화면이 어떤 것인지?"environment의 url부분에 당 부분의 설정을 바꾼다음에 관리자 화면에서 미리보기가 되는지 테스트해보시겠어요?" 이 부분도 잘 이해가 안 갑니다...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ghost 실습 - 환경변수 url (2024)
environment: url: http://localhost:60000 이 부분이 의미하는바를 잘 모르겠습니다...다른 분이 동일한 질문을 해주셨고, 답변도 주셨는데.. 그 답변도 이해가 안가서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ghost의 관리자 화면이 어떤 것인지? "environment의 url부분에 설정을 하면 해당 값이 ghost의 사이트 url로 설정됩니다.해당 부분의 설정을 바꾼다음에 관리자 화면에서 미리보기가 되는지 테스트해보시겠어요?" 이 부분도 잘 이해가 안 갑니다...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hellonode 실습 질문있습니다.
도커 이미지 만들기 - 웹 애플리케이션 (nodejs) 강의처럼hellonode 이미지의 dockerfile에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고, FROM node:latestCOPY . /usr/src/app EXPOSE 8080 CMD node server.jsnode라는 디렉토리에 dockerfile 및 server.js 파일을 생성했으며, node 디렉토리에서 아래와 같이 docker 명령어를 실행했습니다. docker build -t my-node .docker run --rm -p 60000:8080 my-node 이미지를 실행시키니, server.js를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답안지에 따라서 dockerfile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니 성공하긴 했습니다. FROM node:latest COPY server.js /app/ EXPOSE 8080 CMD ["node", "/app/server.js"]제가 궁금한 점은, 왜 제가 강의를 보고 처음 시도한 dockerfile로는 에러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MySQL on Docker
failover 진행중 둘다 slave로 설정
안녕하세요 실습 도중 실수로 둘다 slave 설정을 해버려서db001, db002 둘다 서로를 바라보는 slave 모드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orchstrator에서도 개별로 돌아가고 있으며 어느 하나도 마스터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런경우 db001을 마스터로 변경하여 db002를 slave로 설정하고 싶다면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 compose 사용시 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 연결
저번에 질문했었던 사람입니다.테스트로 인하여 코드가 계속 변경되어 새로 글 올립니다. 프론트엔드를 nextjs를 사용하고, 백엔드는 nestjs를 사용중입니다.nextjs에서 .env파일에 backend_url을 입력해놓고, nextjs에서 process.env.backend_url 을 통해서 사용중입니다. github 주소 : https://github.com/ababqw123/wedding-app이고,프론트엔드에서 .env파일에 backend 주소는 현재 로컬 테스트로로 작성해서 localhost의 8080 포트를 사용중이고, process.env.NEXT_PUBLIC_SERVER_URL을 통해서 가져오고 있습니다.docker compose에서도 8080포트로 지정을 따로 해주었습니다.docker로 연결했을 때 백엔드 주소를 어떻게 설정해야할지 정확하게 몰라서 문의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