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Zeromini Git Hub 취업자료 권한 신청
안녕하세요.구글 폼을 통해취업자료 권한 신청을 하였습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권한을 주시면링크 어디로 접속하면 되는지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JSON과 JS Object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JSON이라는 데이터가 있을때 parse로 JSObject로 역직렬화를 하고 JSObject를 외부의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stringify를 통해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그러면 JSON이라는 데이터는 결국 문자열 타입인건가요?아니면 JSObject를 JSON이라고 하는것인가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rest api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면접에서 restful한 api에대해 설명하라고하면 rest api의 개념(네트워크 자료나온 rest api의 특징들)을 설명하면될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작성은 구어체로? 아니면 핵심만 딱딱?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합격 샘플의 예시를 보면서 저의 이력서와 같이 비교 분석하고 있는데 합격하신 분은 주로 구어체로 많이 작성하셨더라고요.저의 이력서도 기존에는 구어체를 많이 사용했으나 gpt에게 프롬프트로 "백엔드 개발자의 면접관의 입장에서 신입 개발자의 이력서 수정사항을 말하라"라고 입력하고 저의 이력서를 스캔하여 보여주니 구어체는 쓰지말고 핵심만 끊어서 작성하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강사님의 의견은 어떠하신가요?
-
해결됨인공지능 대학원 준비 A-Z: 스펙 정리에서 컨택, 서류, 면접까지
ai 머글인데 조언을 얻고자 왔습니다
안녕하세요.너무 막연하게 ai를 시작해서 막막한 준비생입니다.간략하게 소개드리자면 컴공 전공이지만 ai관련 지식이나 프로젝트, 경력없이 시작했습니다.수학성적도 (b+~c)정도로 낮고 전체성적도 3중반이라 포기할까 생각도 했지만 일단 해보는중입니다.-- ai관련 진행한 부분들입니다.작년 말 퇴사 후 (낼모레 30입니다) 무작정 모델부터 써보면서 직접 공공데이터 수집해서 머신러닝 작은 프로젝트로 모델들도 돌려보고, 딥러닝은 fundamental 정도로 한번씩 사용해봤습니다.그러고나서 올해 초부터 선대, 통계부터 머신러닝, 딥러닝 개념적인 부분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여기 강의에 올려주신 면접 자료들 중 대부분 대답할 수 있을정도로 공부했습니다.)--사실 흔히 얘기하는 상위권 대학이 아닌 'ai융합 혁신대학원'들에 지원해보고 싶은데 성적, 연구, 인턴같은건 아예없고 그나마 면접용 답변을 위해 공부하고 실습해본게 전부라.. 날이 갈수록 자신감이 떨어져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아직도 구체적인 분야를 못하기도 했고(대략적으로 산업이나 바이오같이 큰 범위만 마음속으로 정한 상태입니다) 면담을 하기엔 제가 cv에 크게 쓸 내용도 없고 명확하게 관심있다고 할만한 분야는 또 없어서 일단 지원부터 해볼까 막연하게 생각중입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기술 어필을 위한 프로젝트 선택
안녕하세요 재성님. 강의 정말 잘 보고 있고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기존에 작성한 이력서를 다시 되돌아보니, 어떻게든 디테일하게 쓰려고 노력은 했지만 결국 레벨 1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강의에서 알려주신대로 이력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고민이 생겨서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저는 이미 회사에서 경력을 쌓아서 회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기술을 디테일하게 작성하려고 하니 프로젝트를 한 지 오래됐거나 혹은 그 때 당시의 기억이 희미해서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혼자서 진행하고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가 있는데, 여기서 저의 고민이 생겼습니다. 제가 혼자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기술 선정 이유나 디테일 등을 제가 결정하고 사용한 것이어서 이해도가 높은 반면에 회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들은 저의 선택으로 된 비중이 낮습니다. 이런 경우에 어필을 하기 위한 내용을 회사 프로젝트에서 가져오는게 좋을지 아니면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가져오는게 좋을지가 고민입니다. 물론, 선택은 저의 몫이지만 재성님이라면 이런 경우에 어떤 것을 고르는게 더 유리할지 도움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기대하겠습니다.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아니면 불연속적으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 챕터 강의를 듣다가 실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이 실제로는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지 불연속적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힙 스택 데이터 코드} 모델을 보여주셔서 연속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page와 segmentation 모델 보면 불연속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단순 관점의 차이인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프로젝트 아키텍쳐 적용 이유
프로젝트 아키텍쳐 적용 이유를 사진과 같이 작성했는데 너무 기초적인 내용인 것 같아서 문의드립니다.사실 도입 배경도 따로 있어서예전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강의와 같이 모든 파일을 큰 덩어리로 구분하여 묶었더니 유지 보수 및 코드 리뷰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이번에는 3계층을 적용했던 것이였습니다.또 3계층 아키텍쳐여도 저는 DI를 주입하였기 때문에 GPT문의결과 클린 아키텍쳐와 비슷하게 되어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저기에 DI를 주입했다는 글과 그 이유도 같이 쓰는게 좋을까요?(사용이유에?)사용 이유, 성과 또한 마찬가지로 위 사진의 설계 효과에 넣었었습니다. 도입 배경을 넣고 싶었는데 이력서 칸을 넘겨서 뺐었는데 넣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전공공부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제로미니님 안녕하세요. 궁금한 사항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전공 공부법 3번에서 '컴퓨터일반 이론서 계속 반복하면서 문제풀이' 라고 하셨는데, 이게 이론서에 있는 문제풀이를 말씀하시는건가요? 맞다면 2번에서 이론서를 2~3회독 할 때는 내용만 정리하면서 암기하면 될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해외 빅테크 코딩 인터뷰: LeetCode 포기자의 합격 공부법
조금만 더 고민하면 풀수 있을거 같을때
최대 10분 고민해보고 발상 안되면 넘어가서 발상할 수 있는 방법을 공부하라고 했는데, 막상하다보면 '아 이거 조금만 더 고민하면 해볼 수 있겠다' 란 마음이 들면서 그때부터 이리저리 시도해보고 코드 짜보고 그렇거든요? 이렇게 하다보면 한문제당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고요. 못풀때도 있고요. 이런경우 조언 부탁드려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내부 단편화와 외부단편화 질문
안녕하세요강의에서는 고정분할에는 내부 단편화,가변분할에는 외부 단편화가 생긴다고하는데1. 고정분할에서 8공간에 9크기 프로세스가 못들어가니 이것도 외부 단편화라고 볼수 있나요?2. 가변분할에서 최악적합에서 낭비되는 메모리가 있으니 이것도 내부 단편화라고 볼수 있나요? 고정분할은 프로세스의 데이터와 코드가 주로 할당이되고가변분할은 프로세스의 스택과 힙이 할당이 되나요?고정에서 내부단편화와 가변에서 최악접합으로 인해 남는 공간에 다른 프로세스가 들어갈수 있나요?(남는 공간보다 작은 프로세스)알아보니 최초, 최적, 최악 접합은 가변뿐만 아니라 고정에도 해당된다는데 강의에는 가변에만 해당된다고하니 어느쪽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생각해보면 고정분할에도 최초,최적,최악이 적용되지 않을까 싶은데요최악 적합은 왜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최초로 선택하다가 최악 적합이 되는건지 할당할 공간이 하나밖에 안남아서 어쩔수 없이 최악으로 할당하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특정 프레임워크의 동작원리를 분석한 경험
안녕햐세요! 강의 잘듣고있습니다. 혹시 특정 프레임워크의 동작원리를 Beakpoint 을 걸고 디버깅하며 코드단에서 분석하고 파헤친경험이 많으면 이를 어떻게 녹여야할까요? 예를 들어, SpringApplication.run(args) 가 실행되면 배너가 호출되고, 어디서 이벤트객체들이 초기화되고, application.yml 설정들을 어떤 객체에서 Load 하는지 이러한 내용들을 매우 세세하게 분석해서 블로그에 기술한 글들이 많은데. 이러한 경험을 해본 취준생분들이 많지 않다고 생각해서 이 내용들은 꼭 쓰고싶습니다. 근데 이게 프로젝트 관련 내용이 아니라 진짜 순수 프레임워크에 대한 분석글이다보니 "프로젝트 기술" 란에 적어야할지 아니면 자기소개란에 적어야할지 고민입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순서 정리해봤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알려주신 내용에 덧붙여서 챗지피티한테도 물어보고 정리해봤습니다1. 호스트 파일에서 DNS 주소 찾기2. 없으면 OS & 브라우저의 DNS 캐시 확인3. 없으면 로컬 DNS 서버(예: ISP DNS) 요청4. 없으면 상위 DNS 서버 요청 (Root DNS까지 재귀적으로 요청)5. IP 주소 획득 후 라우팅 수행6. IP 주소 획득 후 TCP/IP 연결 (3-Way Handshake)7. 리다이렉트 수행 (필요한 경우)8. 브라우저 캐시 확인 (304 응답 처리)9. 프록시 서버 캐싱 확인 (CDN, 로컬 네트워크 캐시)10. 컨텐츠 다운로드 (HTML, CSS, JS, 이미지 등)11. 브라우저 렌더링 후 사용자에게 웹사이트 표시근데 알려주신 강의에는 브라우저 캐싱과 공유 캐싱이 DNS캐시보다 먼저 수행된다고 하니까 어떤게 맞는건지 모르겠네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교재 64페이지 참고글에 옥텟=8바이트
8비트 = 옥텟 = 1바이트 인거죠..?위에선 32비트가 4바이트라 되어있는데8비트 = 옥텟 = 8바이트로 되어있어서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이력서에 데모 동영상
이력서에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시연 영상 링크를 첨부하면 좋을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법
안녕하세요! 조언해주신대로 수정하고 있습니다
이때까지 3페이지 이내로 줄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꾹꾹 눌러 담아놨는데..재성님이 조언해주신대로 구체화 시키면서 분량 limit을 풀어버리니, 진짜 내세우고 싶은 기술들만 썼는데도 구체적으로 풀어쓰니 이력서가 거의 7 8 페이지까지 되어버리네요 ㅎㅎ 분량은 최대 어디까지 작성하면 좋을까요!? 너무 많이 써도 5분 법칙을 어길 수 있을 거 같아서요 장시간 진행했고 성과가 있는 아래 세 개 프로젝트만 쓰고 있는데.. 한 개를 버려야 하는지도 고민입니다!https://github.com/ForPawTeam/ForPaw_BEhttps://github.com/LlmnTeam/LLMN-Docshttps://github.com/hoyaii/Tily_BE
-
미해결[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git 권한
안녕하세요, 제로미니님! 이전에 git 권한 받아서 이용중이었는데요. 다른 일 보고 돌아오니 github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오더군요.혹시 다시 권한을 받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tcp/ip 4계층 #5 인터넷 계층 교재 질문있어요
tcp/ip 4계층 #5 인터넷 계층에서ICMP 설명 중 마지막 줄인 독립적인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 이것은 ICMP를 비연결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이 말이 문장이 매끄럽지 않은 것 같아 다시 설명 부탁드립니당.
-
미해결[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톡방이나 스터디가 있나요?
전산직 공기업 준비하는 분들과 같이 공부하고 싶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모임이 있나요?없으시면 진행하실 계획은 있으신가요?
-
미해결[취업폭격기] 공공기관 전산직(IT) 취업 준비를 위한 정규과정 (기초~고급)
정보처리기사 필기 학습 - 구/신버전 중에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제로미니님.저는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2018년(구버전), 실기를 2020년(신버전)에 취득하였습니다. 오래전에 취득한 자격증이라 전공 필기 공부를 할 때 정보처리기사 필기 내용도 다시 복습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공부 방법에서 안내해 주신 "(순서1) 정보처리기사 내용을 빠르게 리딩(필기만)"에서 '필기'는 신버전 기준으로 공부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