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숫자입력 시 int 형 범위가 넘어가는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 영한님 강의로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한 사람입니다.수량 입력할 때, 1111111111(11개) 를 입력했을 때,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라는 오류 메시지가 뜨더라구요.그래서 혹시 int 형 범위 문제인가 싶어서2147483648(int 형 최대 범위 숫자 " + 1")를 넣어보니, 다시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오류 메시지가 나왔습니다. 따라서 int 형 범위를 넘어선 long 형 범위에 들어가면 숫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것 같더라구요.사용자 입장에서 int 형 범위든 long 형 범위든 숫자를 입력한 건 맞는 사실이기에, 기존에 int 형 범위 숫자만 숫자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long 형 범위에서도 숫자로 인식하여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라는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FrontControllerServletV2의 service 메소드 동작원리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FrontControllerServletV2의 service 메소드를 보면 마지막 두 줄에 MyView view = controller.process(request, response); view.render(request, response);첫번째 줄에는 viewpath만 가지고 있는 객체라고 생각이 되는데두번째 줄에서 render의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request, response 두가지는 어디서 나온건지 궁금합니다.제가 이해 하기론 예를들어 회원 저장시 FrontControllerServletV2가 requestURI변수에 "/front-controller/v2/members/save" 를 받아오고 controller는 controllerMap.get(requestURI)로 인해 MemberSaveControllerV2객체를 담습니다.MemberSaveControllerV2가 오버라이딩한 process는 @Override public MyView process(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ring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int age = Integer.parseInt(request.getParameter("age")); Member member = new Member(username, age);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quest.setAttribute("member", member); return new MyView("/WEB-INF/views/save-result.jsp"); }저장로직을 실행한 후 request.setAttribute를 통해 (명칭이 기억안납니다) 저장한 후 "/WEB-INF/views/save-result.jsp"를 viewpath로 갖는 MyView객체를 반환하고 이 객체가 FrontControllerServletV2의 view변수에 저장되는데 request와 response는 전달 받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render메소드를 실행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 DB 로그인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오류 내용: 로그인 시도 시 Wrong user name or password라고 뜹니다.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32] 28000/28000)스프링부트 버전: 3.4.2H2 버전: 2.3.232build.gradle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pplication.propertiesspring.application.name=hello-spring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test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h2.Driver spring.datasource.username=sa 버전에 알맞게 h2를 설치한 후, 윈도우 환경에서 h2.bat를 실행했습니다.강의자료를 보며 추가해야 할 코드를 다 추가한 것 같은데, 로그인이 되지 않고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또, 새로고침 시에 사용자명이 기본적으로 sa가 아니라 계속 admin으로 표시됩니다. (로그인할 때는 sa로 바꿔 로그인 시도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성 주입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에 파라미터로 넘긴 후에는 Autowired를 사용할 필요가없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annotation.PreDestroy; import lombok.Gett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1);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Autowired private Object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Provider.getObject(); prototypeBean.addCount(); return prototypeBean.getCount(); } } @Getter @Scope("prototype") @Component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강의에서는 AnnotationConfigApplicaionContext를 new로 생성하면서 파라미터로 ClientBean클래스를 넘겨주면서 빈에 등록한 후에 아래 ClientBean 클래스에 Provider를 사용하면서 @Autowired 를 사용 하시더군요마찬가지로 Provider사용하기 전에 생성자 주입을 할때도 Autowired를 사용하시길래 저도 코드에 Autowired를 추가했는데, 저는 오류가 나더라구요 제가 궁금한점은 @Component어노테이션을 ClientBean클래스에 붙여주면 해결되긴 했는데 강의에선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오류가 나지 않길래 저랑 뭐가 다른건지 모르겠어서 질문 합니다. 이미 파라미터로 넘기면서 빈에 등록이 되서 다시 등록하려는거때문에 충돌이나서 그런건가요? 그렇다면 강사님 강의에서 보인 코드는 왜 오류가 나지 않는건가요? 궁금합니다 ㅠㅠ정리하자면 강사님 강의에선 ClientBean클래스에 @Componenet를 사용하지 않고도 @Autowired를 사용했을때 오류가 나지 않지만 저는 @Autowired만 사용하면 오류가 뜹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hyme leaf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thymeleaf를 사용해서 표를 만들려고 합니다.상품명 | 과세/면세 | 구매처1 | 구매링크1 | 구매처2 | 구매링크2 ....아이폰 | 과세 | 쿠팡 | coupang.com.... | 네이버 | naver.com.....이런식으로 작성하려고 합니다.우선 Controller에서 thymeleaf 로 넘기는거까지는 했는데구매처 리스트에서 상품명 별 제일 많은 구매처 객체 개수에 맞게 제목을 구매처N 까지 늘려서 만들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ub vs Mock을 설명하면서 예시가 이해가 안돼요.
안녕하세요,6:13초 쯤에 Mock에 대한 예시로 앞에서 작성했던 "when 해서 sendMail 했을 때 파라미터 4개를 넘겨줬을 때 어떤 값을 리턴함" 을 말씀해주셨는데요, 이게 stub에 가까운게 아닌가란 의문이 들었습니다.마틴 파울러의 글을 보면 Mock은 결국 호출 여부나 호출 횟수 같은 것을 검증하는 것 같더라구요.뭔가 이해가 잘 안돼서 질문을 남깁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콘솔로그 여러개가 안뜹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 코드문 실행시 그냥 테스트 통과만 될뿐 콘솔에 메시지 여러줄 뜨진 않습니다.package hello.core.xml;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GenericXmlApplicationContex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XmlAppContext { @Test void xmlAppContext() { ApplicationContext ac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appConfig.xm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 }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bean id="memberService" class="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constructor-arg name="memberRepository" ref="memberRepository" /> </bean> <bean id="memberRepository" class="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 <bean id="orderService" class="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constructor-arg name="memberRepository" ref="memberRepository" /> <constructor-arg name="discountPolicy" ref="discountPolicy" /> </bean> <bean id="discountPolicy" class="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 </bean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38줄 자동완성 어떻게 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07:29 38번째 줄 어떻게 자동완성 하나요 안되는데
-
미해결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클래스 로더가 메소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은 바이트코드인가요?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클래스 로더 수업 중에 로딩 과정에서클래스 로더가 .class 파일을 읽고 그 내용에 따라 적절한 바이너리 데이터를 만들고 "메소드" 영역에 저장.이라는 말이 있는데 바이트 코드가 메소드에 저장되는거 아닌가요? 인터프리터를 거쳐야 바이너리 데이터가 되는거 아닌가요? pdf 자료에로딩이 끝나면 해당 클래스 타입의 Class 객체를 생성하여 “힙" 영역에 저장.와 같이 언급되어 있는데 Class 객체를 생성하여 "메소드" 영역에 저장이 맞는 표현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롬복과 최신 트렌드 build.gradl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build.gradle 에 롬복 디펜던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고싶은데 어디서 복사할수있는지 강의자료가 안보여서요... 어디서 복사할수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RunWith
프로젝트 생성부분의 마지막 강의 수강중이고,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을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g1uPQj8hZvNmWr3u9NBwMTuI_NOZWSKC/view?usp=sharing프로젝트 파일도 같이 첨부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PathVariable에 Null이 들어오는 것 같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상품 수정하기를 눌렀을 때 에러코드 500이 나오고 IllegalArgumentException: Input cannot be null 에러가 나옵니다.PathVariable("itemId")로 명시적으로 지정해 주었는데도 null이 들어가는 것 같은데 해결을 못하겠습니다. 코드는 원래 파일에서 건든 것이 없고 심지어 강의 자료에 있는 코드 파일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 해도 똑같은 에러가 나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특정 타입 모두 조회expected: 2 but was: 1 Expected :2 Actual :1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특정 타입을 모두 조회하기 할때expected: 2 but was: 1에러가 뜨고, ac.getBeansOfType 자동완성이 안되는 것도 있습니다. 왜그러죠package hello.core.beanfind;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order.AppConfig;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java.util.Map;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hrows;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SameBeanFind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중복 오류가 발생한다.") void findBeanTypeDuplicate() { // 이렇게 해서 돌려보면 멤버 리포지터리를 조회하면 두개가 튀어나오면서 예외가 ㅓ지게 된다. No Unique에러 assertThrows(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class, () -> ac.getBean(MemberRepository.class)); // assertThrows + 람다식 예외가 터져야 테스트 통과 되게 }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빈 이름을 지정하면 된다") void findBeanByName() {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ac.getBean("memberRepository1", MemberRepository.class); assertThat(memberRepository).isInstanceOf(MemberRepository.class); }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빈 이름을 저장한다.") void findAllBeanType() {// ctrl + shift + enter 바로 코드 컴플리션으로 넘어 감 Map<String, MemberRepository> beansOfType = ac.getBeansOfType(MemberRepository.class); for (String key : beansOfType.keySet()) { System.out.println("key = " + key + " value = " + beansOfType.get(key)); } System.out.println("beansOfType = " + beansOfType); assertThat(beansOfType.size()).isEqualTo(2); } // 그냥 이 클래스 안에다가 메서드 생성 // static 쓰면 장점 클래스안에서만 쓰겠다는 뜻 이안에다가 컨피그 만듦 @Configuration static class SameBeanConfig { // 다른 파라미터로 빈 생성 가능 // 빈의 이름이 다를 수 있고 클래스, 객체 타입이 같을수 있다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1(){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2(){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ifPresent 사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멤버 삭제 기능을 만들려고 하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을까요?한개의 멤버만 받아서 삭제하고 싶은데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public boolean deleteProduct(String productName){ List<Product> result = em.createQuery("select p from Product p where p.productName = :productName", Product.class) .setParameter("productName", productName) .getResultList(); return true; } getResultList 로 하니까 여러개 나올거 같은데 한개만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리고 em.remove하면 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이름에 유니크 제약 조건을 거는 것
[질문 내용]강의에서 회원의 이름으로 중복된 계정을 검증하고, DB에서 회원의 이름을 Unique 제약 조건으로 잡는 게 좋다고 하셨는데이건 이 예제에서의 가정인 거고, 현업에선 이름만으로 중복 계정을 검증하거나, 이름에 유니크 제약 조건을 거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강의 14분쯤 Exception 질문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14분쯤에,@Test 부분에서 .isInstanceOf(SQLException.class)를 했을 때, 테스트가 성공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저는 ConnectException과 SQLException이 서로 관련이 없는 Exception이기 때문에 테스트가 실패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혹시 Service의 logic()에서 repository.call()이 호출 될 때 SQLException이 터지고, 그로 인해서 networkClient.call()은 실행되지 않고 끝나기 때문에 테스트가 성공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강의 오타인가요?
atTarget 메소드와 atWithin 메소드에서@target(hello.aop.member.annotation.ClassAop) 이부분이 오타인거같은데요??child 란 내부클래스는 hello.aop.pointcut.AtTargetAtWithinTest.Child 이런 패키지에있는데 이게맞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빈중복등록을 막기위해 이름을 바꿔주어도 해결이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FixDiscountPolicy,RateDiscountPolicy 클래스 앞에 둘다 @Component를 붙여서 OrderServiceImpl을 구현할때 생성자파라미터에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에서 이름을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로 바꾸어 주었고 아래도this.discountPolicy = rateDiscountPolicy;로 바꾸어주었는데도 위와 같이 에러가 나옵니다.
-
미해결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spring mvc project 안뜸...
우선,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독학하는 저에게 큰 도움이 되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강의를 보며 실습을 진행하던 도중, 여러가지 에러들이 있었지만, 구글링을 통해 해결하였습니다.근데 이건 도저히 해결이 안되네요...spring legacy project에서 MVC 프로젝트가 나타나지 않습니다.eclipse, java 둘다 재설치도 해보았고, spring tools도 재설치 해보았습니다. 재설치한 자바입니다.eclipse는 2025-03이고tomcat은 v8.5 입니다.
-
해결됨실무 환경 그대로 주문게시판 만들기 웹개발 기초 마스터
1.5 spring web 개발 환경 세팅 에러
안녕하세요:)현재까지 개발 툴들 설치하면서 겪었던 문제들은 구글링으로 해결이 되었었는데, 스프링 환경을 정해진 기준으로 하다보니 검색결과도 없어 진전이 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아래 에러 사항에 대한 적용 가능 방안에 대해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교재 상 7번에서 finish를 눌러 설치를 기다렸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ERROR] Failed to execute goal [32morg.apache.maven.plugins:maven-archetype-plugin:3.3.1:generate[m [1m(default-cli)[m on project [36mstandalone-pom[m: [1;31mThe desired archetype does not exist (com.nexacro.archetype:uiadapter-spring-sample-archetype:1.0.1-20220603.053230-4)[m -> [1m[Help 1][m아래 사항들을 시도해보았습니다.이클립스 워크스페이스 재설치xml url 접속 시 문제없이 접속됨이클립스 웹 개발 환경 설정은 처음이라ㅜ 또 어떤 것들을 시도해보거나 테스트해보면 될 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