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9
답변 2
1
안녕하세요, lch9502 님!
네, 맞습니다. mock으로 사용되었는지 stub으로 사용되었는지를 보려면 검증부까지 확인해야 하는데요. stub으로 만들어진 객체를 검증부에서 호출 여부, 횟수 등의 행위 검증을 하게 되면 mock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설명을 하다 예시를 간단하게 이야기 하다보니 설명이 충분하지 못했네요. 이 부분은 강의 설명란에 추가 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lch9502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Stub과 Mock의 개념 차이에 대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주제는 실제로 많은 개발자분들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지요.
Stub과 Mock은 모두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더블입니다. 둘의 주된 차이는 검증하는 대상에 있습니다.
Stub: Stub은 주로 ‘상태 검증’에 사용됩니다. 특정 메서드가 호출될 때 미리 지정된 값을 반환하도록 설정하여, 결과 값 자체를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강의에서 언급된 “when 해서 sendMail 했을 때 어떤 값을 리턴함”은 Stub로써 의미가 있습니다. Stub은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죠.
Mock: 반면에 Mock은 ‘행위 검증’에 치중합니다. 이는 메서드가 실제로 호출되었는지 여부, 호출된 횟수 등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Martin Fowler의 글에서 언급되었듯이, Mock은 테스트에서 특정 동작이 실행되는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예시에서 “when 해서 sendMail 했을 때 어떤 값을 리턴함”이라는 맥락은 Stub의 사용 예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메서드 호출의 빈도나 특정 동작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려는 상황에서는 Mock이 올바르게 활용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원하시면 다음의 게시글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에서 비슷한 질문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대한 답변이 상세하게 제공되어 있으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