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0
0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FrontControllerServletV2의 service 메소드를 보면 마지막 두 줄에
MyView view = controller.process(request, response);
view.render(request, response);
첫번째 줄에는 viewpath만 가지고 있는 객체라고 생각이 되는데
두번째 줄에서 render의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request, response 두가지는 어디서 나온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 하기론 예를들어 회원 저장시 FrontControllerServletV2가 requestURI변수에 "/front-controller/v2/members/save" 를 받아오고 controller는 controllerMap.get(requestURI)로 인해 MemberSaveControllerV2객체를 담습니다.
MemberSaveControllerV2가 오버라이딩한 process는
@Override
public MyView process(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ring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int age = Integer.parseInt(request.getParameter("age"));
Member member = new Member(username, age);
memberRepository.save(member);
request.setAttribute("member", member);
return new MyView("/WEB-INF/views/save-result.jsp");
}
저장로직을 실행한 후 request.setAttribute를 통해 (명칭이 기억안납니다) 저장한 후 "/WEB-INF/views/save-result.jsp"를 viewpath로 갖는 MyView객체를 반환하고 이 객체가 FrontControllerServletV2의 view변수에 저장되는데 request와 response는 전달 받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render메소드를 실행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j41212님.
FrontControllerServletV2의 service
메소드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부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해당 메소드에서 request
와 response
객체는 Java Servlet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Servlet API가 제공하는 요청 객체와 응답 객체입니다. 이 객체들은 웹 컨테이너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Servlet의 service
메소드에 전달됩니다.
제공해주신 코드를 보면:
MyView view = controller.process(request, response);
view.render(request, response);
controller.process(request, response)
: 여기서 request
와 response
는 Servlet 컨테이너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생성한 객체들로, process
메소드에 전달됩니다. 이 메소드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를 포함하는 MyView
객체를 반환합니다.
view.render(request, response)
: MyView
객체의 render
메소드는 JSP 페이지로 포워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request
와 response
객체를 다시 전달함으로써 JSP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request.setAttribute
를 통해 설정된 속성들은 JSP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그대로 전달됩니다.
즉, request
와 response
객체는 원래 서블릿 API의 일부로 처음부터 생성된 객체이며, 서블릿의 라이프사이클 동안 유지됩니다. 이러한 객체들은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render
메소드에서 JSP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아래 링크는 관련된 개념들을 잘 설명한 게시물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