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데브옵스 · 인프라

  • 해결 여부

    미해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때

24.06.26 01:40 작성 조회수 41

1

안녕하세요

강의 영상처럼 192.168.56.3x (nat방식)으로 master, worker1, worker2 노드로 클러스터를 만들고

거기에 wifi로 할당받은 ip를 사용중인 gpu 노드에 토큰을 입력하여 클러스터에 총4대의 노드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어낼 수 있나요?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네, 그럼요.

Master에 연결만 할 수 있으면 워커노드는 계속 늘려나갈 수 있습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4.06.26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임태우님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유사한 문제 해결 방식을 제공하는 기존 답변을 찾았습니다.

이미 게시된 질문 중 하나에서, 다수의 물리적 호스트(여기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관련된 내용은 각자의 마스터 노드, 워커 노드를 담당하는 물리적 컴퓨터들을 직접 연결하여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할 때 각 노드별로 고유의 IP 설정, 네트워크 연결, 그리고 클러스터 통합 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 디테일이 필요합니다.

질문에서 언급된 nat방식 (192.168.56.3x)으로 구성된 클러스터에 외부에서 wifi를 통해 할당받은 IP를 가진 GPU 노드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은 다음 대답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 관련 질문입니다.에서는 물리적 컴퓨터들을 직접 연결하여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설정을 논의합니다.

네트워크 구성, 특히 다른 네트워크 대역대를 가진 노드를 클러스터에 포함시키는 경우,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플러그인, 네트워크 정책, 엔드포인트 연결 및 라우팅 설정 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의 노드를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구체적 구현은 사용되는 네트워크 구성과 클러스터 설정에 의존적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