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안녕하세요 이것이 내부호출 예제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인증 번호 확인@Transactionalpublic void confirmAuthenticationInfo(AuthenticationRequest.Confirm request){MemberCertificationHistory history = findById... // 엔티티 조회...validateExpiration(history);...}// 만료 일시 검증@Transactionalprivate void validateExpiration(MemberCertificationHistory history){if(history.isExpired()){processExpiration(history); // 만료 처리 . 트랜잭션 분리throw new ServerException("만료됨"...);}}// 인증 정보 만료 처리@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private void processExpiration(MemberCertificationHistory history){history.getMemberCertificationInfo().processExpiration();memberCertHisRepository.save(history); // 엔티티 저장}안녕하세요 위 코드에서 궁금한점이 있는데 내부호출에 관한 내용인지 질문드립니다.간단하게 confirmAuthentication() , validateExpiration() , processExpiration() 3가지 메서드가 있는상황이구, 차례로 호출하며 validateExpiration()에서 throw를 던지는 상황입니다. 문제는validateExpiration()를 내부에서 트랜잭션이 분리 처리(REQUIRES_NEW)되어 있는 processExpiration()를 타게되고, processExpiration()는 분리된 트랜잭션이니 .save()를 통해 저장이되고, 다시 validateExpiration()으로 돌아와 throw를 처리하게 되어 processExpiration()에서 저장된것은 롤백되지 않을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그런데 로그를보니 insert쿼리도 나가지 않고, 따로 롤백에 관한 내용도 찍히지 않았습니다.따라서 내부호출이 된건가 생각을해보니 제가 아는 내부호출이라는 문제는동일한 클래스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은 메서드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된 메서드 호출시 내부 호출이 발생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위 예제에선 이미 최상위 메서드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상태인데 따로 생성된 트랜잭션이 실행되지 않아서 혹시 이건 내부호출 문제가 맞는것인지, 아니면 다른 제가 간과한것이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 DB2편 강의 듣는 JPAQueryFactory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알려주신대로 그리고 강의파일에 있는대로 buil.gradle파이 ㄹ옵션도 따라했는데 에러가 발생합니다방법을 알려주세요 매번 강의를 들을 때마다 강의보다 설정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힘듭니다 도와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aveAll() 내부에 save()도 내부호출인 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그 트랜잭션 전파에 대해서 공부하다가 궁금증이 생겼는데JpaRepository의 구현체인 SimpleJpaRepository에서 saveAll() 메서드도 내부에서 save()메서드를 호출하잖아요?그러면 이때 호출되는 save()메서드도 내부호출이니까 @Transactional이 적용이 안되는 건가요?풀어서 말하자면saveAll()이 호출될때 @Transactional로 트랜잭션이 시작됨saveAll() 내부에서 save() 메서드를 호출하지만 내부호출이므로 트랜잭션 전파가 아닌 그냥 save()메서드가 호출됨결과적으로는 트랜잭션이 saveAll() 호출시 하나만 시작되고 save()들은 내부호출이므로 트랜잭션 전파를 받는것이아닌 saveAll()이 호출될때 시작된 트랜잭션을 따름위와 같이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ueryDSL 소개2 해결 강의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내용중에 "조인에 대해서도 당연히 지원한다." 라고 되어있는 ppt 내용중에서,이렇게 join을 사용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있는 join이 left join이랑 다른 것이고 inner join이랑 다른 개념인건가요? “기능 살펴보기” 부분에도 그냥 join도 있고 innerjoin도 있고, left join도 있던데 그냥 join은 무슨 의미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 소개 강의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1)“JPA와 상속 - 조회” 부분에서,개발자는Album album = jpa.find(Album.class, albumId);JPA는 SELECT I.*, A.* FROM ITEM I JOIN ALBUM A ON I.ITEM_ID = A.ITEM_ID이렇게 처리해준다고 하는데, Album를 찾는거면 from album에 join이 item이 되어야 하는게 아닌건가요? 2)“지연로딩” 부분에서,실제로 team의 속성인 getName()을 사용할 때 생성되는 쿼리가 select * from team이 아니라,select * from team where member_id = ~~ 이런 쿼리가 날라가는게 맞지 않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프로젝트 구조 설명2 - 설정 강의듣고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해당 강의에서 ItemServiceApplication 코드를 보면, @Import(MemoryConfig.class)이렇게 MemoryConfig라는 빈 설정 클래스를 따로 만들고 Import를 해주었는데, 만약 import를 하지 않는다면 빈 생성이 안되는건가요? MemoryConfig 클래스에 @Configuration만 달아두면 되는 거 아니었나요? 그리고, ItemServiceApplication 코드에 TestDataInit 클래스 빈을 수동으로 추가했는데, 해당 코드가 ItemServiceApplication에 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해당 코드도 Config 클래스를 따로 만들면 되지 않았나 싶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 부트 3.0 버전 프로젝트 초기 설정
itemservice-db 파일에 gradle 에 들어가서 no jdk -> jdk 17 gradle jvm -> java_home 17.0.12프로젝트 설정 build.gradleplugins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5'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id 'java'} 혹시 3.0 버전으로 설정 되어 있는 파일 다운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 테스트 코드 작성에서 .containsExactly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섹션 4 강의를 보다보니 의문점이 생겨서요 Repository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test() 메서드에 .containsExactly를 사용하고있습니다.강사님께서 내용과 순서가 모두 맞아야 한다고 설명하시더라고요. 메모리에서의 테스트나 DB를 조회할 때 순서를 보장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만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서 사용한것인지 아니면 실제로도 이런식으로 테스트 하는지 궁금합니다.관련한 질문들을 확인했으나 만족할만한 답변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부트 구동에러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ResourceLocalTransactionCoordinatorImpl
실습소스를 스프링부트 3버전에서 진행중입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가 스프링부트 구동중에 발생하는데요.서버구동은 잘 진행되나 Exception로그가 출력됩니다. 테스트는 잘 통과됩니다.java.lang.Exception: exception just for purpose of providing stack trace at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ResourceLocalTransactionCoordinatorImpl$TransactionDriverControlImpl.markRollbackOnly(JdbcResourceLocalTransactionCoordinatorImpl.java:309) ~[hibernate-core-6.6.5.Final.jar:6.6.5.Final] at org.hibernate.internal.AbstractSharedSessionContract.buildNamedQuery(AbstractSharedSessionContract.java:1141) ~[hibernate-core-6.6.5.Final.jar:6.6.5.Final] at org.hibernate.internal.AbstractSharedSessionContract.createNamedQuery(AbstractSharedSessionContract.java:1019) ~[hibernate-core-6.6.5.Final.jar:6.6.5.Final] at org.hibernate.internal.AbstractSharedSessionContract.createNamedQuery(AbstractSharedSessionContract.java:143) ~[hibernate-core-6.6.5.Final.jar:6.6.5.Final]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na:na] at org.springframework.orm.jpa.ExtendedEntityManagerCreator$ExtendedEntityManagerInvocationHandler.invoke(ExtendedEntityManagerCreator.java:364) ~[spring-orm-6.2.2.jar:6.2.2] at jdk.proxy3/jdk.proxy3.$Proxy117.createNamedQuery(Unknown Source)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NamedQuery.hasNamedQuery(NamedQuery.java:114) ~[spring-data-jpa-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JpaQueryLookupStrategy$DeclaredQueryLookupStrategy.getCountQuery(JpaQueryLookupStrategy.java:208) ~[spring-data-jpa-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JpaQueryLookupStrategy$DeclaredQueryLookupStrategy.resolveQuery(JpaQueryLookupStrategy.java:175) ~[spring-data-jpa-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JpaQueryLookupStrategy$CreateIfNotFoundQueryLookupStrategy.resolveQuery(JpaQueryLookupStrategy.java:256) ~[spring-data-jpa-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JpaQueryLookupStrategy$AbstractQueryLookupStrategy.resolveQuery(JpaQueryLookupStrategy.java:99) ~[spring-data-jpa-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lookupQuery(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java:116) ~[spring-data-commons-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mapMethodsToQuery(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java:104) ~[spring-data-commons-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lambda$new$0(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java:92) ~[spring-data-commons-3.4.2.jar:3.4.2] at java.base/java.util.Optional.map(Optional.java:260)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init>(QueryExecutorMethodInterceptor.java:92) ~[spring-data-commons-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RepositoryFactorySupport.getRepository(RepositoryFactorySupport.java:440) ~[spring-data-commons-3.4.2.jar:3.4.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RepositoryFactoryBeanSuppo ... 생략어떤 부분에서 에러가 난 것인지 스택트레이스만 보고서 파악하기 어렵네요. AI인턴 도와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부트3 버전으로 실습소스를 구동
안녕하세요. 스프링부트3 버전으로 실습소스를 구동하려고 합니다.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dXaF4sqO4De0_A3ECZT155dTUjH4--mn?usp=sharing(위 경로에서 프로젝트 소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동결과 에러 로그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itemservice.config.MyBatisConfig required a bean of type 'hello.itemservice.repository.mybatis.ItemMapper' that could not be found.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스프링버전 2일 때는 잘 구동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도움 부탁드립니다ㅠㅠ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멀티 스레드 트랜잭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를 보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며성장 하고 있습니다.관련된 내용을 찾아 보다가 인사이트를 얻기 어려워조언을 얻고자 질문을 남깁니다. 테스트에 트랜잭션이 걸려있고, ExecutorService submit을 통해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 할때 PessimisticLockingFailureException예외가 발생 합니다.테스트 트랜잭션이 락을 가지고 있고 커밋 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 한다고 하는데멀티 스레드는 트랜잭션 전파와 연관이 없기 때문에별도의 물리 트랜잭션이라고 생각 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왜 이런 예외가 발생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힌트라도 알려 주시면 감사합니다@Transactional @DisplayName("멀티 스레드에서 모임을 저장 한다.") @Test void saveEventWhenMultiThread()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given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2); int taskCount = 3; CountDownLatch countDownLatch = new CountDownLatch(taskCount); //when //then for(int i = 0; i < taskCount; i++) { int testNum = i; executorService.execute(() -> { try { eventRepository.save(createEvent("멀티 테스트" + testNum , "테스트 모임", 30)); } finally { countDownLatch.countDown(); } }); } countDownLatch.await(); executorService.shutdown(); } Exception in thread "pool-2-thread-2" Exception in thread "pool-2-thread-1" org.springframework.dao.PessimisticLockingFailureException:
-
미해결실전! Querydsl
h2db와 QueryDSL사용시 preparedStatement의 한글깨짐
영한님 강의에서 where절에 들어가는 모든 구분은 전부영어입니다.ex) where(member.username.eq("member1")) 근데 저는 한글데이터를 넣고 where을 해보니 원하는 결과가 조회되지않았고 다음과같은 로그가 출력됩니다. org.hibernate.orm.jdbc.bind : binding parameter (1:VARCHAR) <- [%2프%]/**/prep5.setString(1, "%2\u1111\u1173%"); '2프'라는 글자를 where절에 넣어서 조회하려하고 hibernate에서는 실제로 %2프% 라는 원하는 결과를 바인딩 해줬습니다. 하지만 h2db의 로그에서는 2는 제대로지만 프가 ㅍ과 ㅡ를 분리하여 유니코드로 치환된 상태로 바인딩이 되서 분명 데이터가 있음에도 아무데이터도 조회되지않습니다. h2db에서 prepareStatement에 한글을 바인딩할때 깨지는현상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게시판 mybatis 적용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mybatis를 체득하고 싶어서 게시판 프로젝트를 한번 해보려고 했는데 잘 안되네요https://drive.google.com/file/d/1ku2NtUWjeSi1OJ2Z7SLsuqqG7Y471BHv/view?usp=sharing파일은 여기있습니다.강의보고 따라하긴 했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를 못한건가 싶습니다제가 생각하는 (공부해서 알게 된) 순서는 이렇습니다client의 request요청 - JSON배열로{ "id": 1, "title": "게시글 제목", "content": "게시글 내용" } 이렇게 온다고 가정 Controller에서 request를 @RequestBody 받고 service로 전송Service에서 dto를 param으로 변환하고 param을 mapper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로 감싸기Mapper 인터페이스에서 전달받은 메서드 이름과 id가 같은 mapper.xml로 보내서 CRUD 실행service Mapper.saveBoard(param)으로 → client에 넘겨줄 responseDto로 param을 보냄create table member( id big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board_writer varchar(20) not null, board_passwd varchar(20) not null ); create table board( id big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writer_id bigint not null, title varchar(50) not null, board_contents text not null, board_count int default 0, 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 constraint fk_board foreign key(writer_id) references member(id) on delete cascade ); 테이블은 이렇고클라이언트 실행하면 오류가 납니다;org.apache.ibatis.binding.BindingException: Invalid bound statement (not found): Jay.Board.repository.mybatis.BoardMapper.saveBoard at org.apache.ibatis.binding.MapperMethod$SqlCommand.<init>(MapperMethod.java:229) ~[mybatis-3.5.14.jar:3.5.14] at org.apache.ibatis.binding.MapperMethod.<init>(MapperMethod.java:53) ~[mybatis-3.5.14.jar:3.5.14] at org.apache.ibatis.binding.MapperProxy.lambda$cachedInvoker$0(MapperProxy.java:96) ~[mybatis-3.5.14.jar:3.5.14]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ConcurrentHashMap.computeIfAbsent(ConcurrentHashMap.java:1708) ~[na:na] at org.apache.ibatis.util.MapUtil.computeIfAbsent(MapUtil.java:36) ~[mybatis-3.5.14.jar:3.5.14] at org.apache.ibatis.binding.MapperProxy.cachedInvoker(MapperProxy.java:94) ~[mybatis-3.5.14.jar:3.5.14] at org.apache.ibatis.binding.MapperProxy.invoke(MapperProxy.java:86) ~[mybatis-3.5.14.jar:3.5.14] at jdk.proxy2/jdk.proxy2.$Proxy63.saveBoard(Unknown Source) ~[na:na] at Jay.Board.service.BoardService.saveBoard(BoardService.java:27) ~[main/:na] at Jay.Board.controller.HomeController.saveBoard(HomeController.java:37) ~[main/: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irectMethodHandleAccessor.invoke(DirectMethodHandleAccessor.java:10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na:na] a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InvocableHandlerMethod.doInvoke(InvocableHandlerMethod.java:257) ~[spring-web-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InvocableHandlerMethod.invokeForRequest(InvocableHandlerMethod.java:190) ~[spring-web-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ServletInvocableHandlerMethod.invokeAndHandle(ServletInvocableHandlerMethod.java:118)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RequestMappingHandlerAdapter.invokeHandlerMethod(RequestMappingHandlerAdapter.java:986)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RequestMappingHandlerAdapter.handleInternal(RequestMappingHandlerAdapter.java:891)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bstractHandlerMethodAdapter.handle(AbstractHandlerMethodAdapter.java:87)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Dispatch(DispatcherServlet.java:1088)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Service(DispatcherServlet.java:978)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processRequest(FrameworkServlet.java:1014) ~[spring-webmvc-6.2.2.jar:6.2.2]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doPost(FrameworkServlet.java:914) ~[spring-webmvc-6.2.2.jar:6.2.2] ..... 이 이상은 제가 모르겠습니다….mapper.xml이 반환되지 않는게 문제 같은데 어느부분이 문제가 되서 이러는지 도통 알 수 없네요.. 오늘 이것만 6시간째 붙잡고 있습니다..프로그램 흐름의 순서와 그 각각 하는 일들이 어떤 일들이 펼쳐지는지를 이해하고 코딩을 하고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물리 트랜잭션과 논리 트랙잭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물리 트랜잭션과 논리 트랜잭션 중 물리 트랜잭션 만이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커밋과 롤백 같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이해했습니다.그렇다면 만약 아래와 같은 코드가 존재할 때, 트랜잭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 지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AuthPacade 클래스의 메서드 public void withdraw(final long userId, final String code) { User user = userFinder.getUser(userId); externalService.revoke(user.getPlatform(), code, user.getSerialId()); authService.deleteUser(user); }위의 코드는 userFinder.getUser() 메서드에서 @Transactional 이 걸려있고 authService.deleteUser() 메서드에서 @Transactional 이 걸려있는 상태입니다. 두 함수 모두 외부 호출이며 externalService.revoke 역시 외부 호출이지만 @Transactional이 적용되지 않는 상태입니다.그렇다면 이 경우에는 userFinder.getUser() 을 실행할 때, 하나의 물리 트랜잭션이 실행되어 종료(커밋)된 후 revoke()를 수행한 후에 다시 authService.deleteUser() 를 실행하면서 또 다른 물리 트랜잭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저는 이해했습니다.즉, externalService.revoke() 메서드를 호출할 때는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고 그 외의 다른 2개의 메서드에는 서로 다른 물리 트랜잭션이 적용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공부를 해보니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은 트랜잭션 범위에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아서 배운 바를 토대로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중인데, 맞는 지 궁금합니다.. 특히,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 지도 함께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이강의만 보고 구현은 가능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혹시 이강의를 보고 게시판하나 만들까하는데 MyBatis대신JPA를 써볼까 합니다...너무 방대한 걸 알지만 혹시 이 한시간짜리 섹션강의를 보고 간단한 게시판정도는 해볼 수 있을까요?저는 취준을 시작한 비전공자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를 잘 보고 있습니다.@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둘 다 상속을 이용한 proxy기법(CGLIB, AOP)을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만약 저가 MemberService라는 class에 @Service, @Transactional를 부여한 후 ComponentScan을 하면 MemberService의 프록시 객체가 빈으로써 생성되어 스프링 컨테이너에 반환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궁금한 것은 @Configuration과 @Transactional 이 둘이 각각 프록시를 생성하는 것인지 혹은 하나만 생성하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두 번째로 궁금한 것은 프록시는 싱글톤으로 관리가 될 텐데, 프록시가 아닌 target이 가르키는 실제 객체 MemberService는 매 request마다 객체가 새로 생성되어지는 것인지 혹은 최초로 서버가 로드할 때 한 번만 생성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Configuration으로 인하여 후자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한탄스럽네여
분명 다 똑같이 따라왔는데 JdbcTemplate - 이름 지정 파라미터3 에서 코드를 돌렸더니 작동을 안하네요... 이전강좌까지 다 잘됐는데 아..............................................혹시나해서완성코드 받아서 복붙해도 작동 안하네요 Ai답변이 딴소리 해주겠지만오류때문에 미칠 노릇이네요 풀이자꾸 꺾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ollback-only 설정 위치
평소 열심히 강의를 듣고 있는 일반적인 대학생입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대해 의문사항이 많아 직접 찾아보다가 강의와 다른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아직 부족한 학생인만큼 어느정도의 뇌피셜은 들어있습니다.. (물론 코드에 기반한) 질문은 가독성을 위해 음슴체를 사용한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결론트랜잭션 rollback-only 은 트랜잭션 status에 있으며 해당 사실 확인은 TransactionManager에 의해 밝혀진다. 따라서, rollback-only 표시가 동기화 매니저에 있다는 설명은 수정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강의제공 내용내부 롤백이 일어나면 Rollback-only 표시가 됨외부 커밋은 해당 표시를 보고 true라면 롤백해당 표시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있음 (08:18 쯤) 고민하다가 의문이 든 내용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쓰레드(요청)마다 적절한 트랜잭션을 찾아 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함 -> 트랜잭션의 상태를 관리하도록 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듦 (뇌피셜)트랜잭션 매니저를 보다보니 getTransaction을 호출하면 Status를 반환함 -> 가만 생각해보면 트랜잭션 commit rollback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데 상태관리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게 맞지 않을까? (rollback-only 표시도 트랜잭션 매니저가 하는게 맞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됨코드를 까보니 실제로 해당 메서드로 추정되는 메서드가 있음실제 코드JpaTransactionMangerprotected void doSetRollbackOnly(DefaultTransactionStatus status) { JpaTransactionObject txObject = (JpaTransactionObject)status.getTransaction(); if (status.isDebug()) { this.logger.debug("Se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 + txObject.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 + "] rollback-only"); } txObject.setRollbackOnly(); }위의 코드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인 것 같음 (뇌피셜, 이 코드가 동작하는 것이 아닌가)또한 아래와 같은 메서드도 존재함public void setRollbackOnly() { EntityTransaction tx = this.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getTransaction(); if (tx.isActive()) { tx.setRollbackOnly(); } if (this.hasConnectionHolder()) { this.getConnectionHolder().setRollbackOnly(); } } public boolean isRollbackOnly() { EntityTransaction tx = this.getEntityManagerHolder().getEntityManager().getTransaction(); return tx.getRollbackOnly(); }아마 전자가 실제로 TransactionManager가 활용하는 코드인 것 같음 (protected라서), 후자는 외부에서 임의로 rollback-only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인 것 같음 (EntityTransaction은 더 들어가보니 hibernate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클래스인 것 같음) DataSourceTransactionManager해당 매니저에도 비슷한 메서드가 존재함public void setRollbackOnly() { getConnectionHolder().setRollbackOnly(); } @Override public boolean isRollbackOnly() { return getConnectionHolder().isRollbackOnly(); } 런타임디버깅을 돌려보며 정확히 어떤 메서드가 동작하는 지 확인해봄. 아마도 aop로 프록시 객체가 사용되는 것 같은데 aop 부분은 아직 학습하지 않아서 모르겠음..AbstractPlatformTransactionManager -> datasourceTransactionManger의 doSetRollbackOnly 호출 위와 같은 코드를 보았을 때, rollback-only와 같은 트랜잭션의 상태는 트랜잭션 매니저에 의해 관리 되는 것 같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 테이블명들이 복수형일 때 자바 엔터티 클래스명을 단수로 써야 할지 복수로 써야 할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의 @Table(name = "orders") 이 부분 때문에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public class Order { . . .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는 테이블명이 orders로 복수형이 되는데, DB를 설계할 땐 테이블명들을 전부 단수형을 쓰든, 전부 복수형을 쓰든 하나로 전부 통일하는 게 낫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명을 전부 복수형으로 통일한다면, 자바 코드의 엔터티 클래스 이름은 단수로 하고, @Table을 통해 복수형으로 바꾸게 되나요? 아니면 이 경우 @Table을 일일이 적기 번거로우므로 자바 클래스 이름도 복수형으로 하나요? 즉 예를 들어@Table("items")public class Item {}이런 식으로 모든 엔터티 클래스에 @Table을 통해 복수형 이름을 지정하는지, 아니면 @Table 애노테이션을 안 쓰고public class Items {}이렇게 클래스 이름 자체를 복수형으로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Item 생성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QItem이 @Entity로 설정된 클래스 정보를 가져와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QItem이 생성되는 시점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인 것 같은데,그렇다면 혹시, 새로운 엔티티를 만들었다면 해당 엔티티로 동적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선 필히 애플리케이션을 한번 실행해주고 해야하는건가요??QItem을 생성하기 위한 이유로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하는 그런 동작이 뭐랄까 좀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드는데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