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onstela10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물리 트랜잭션과 논리 트랙잭션

작성

·

33

1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

[질문 내용]
물리 트랜잭션과 논리 트랜잭션 중 물리 트랜잭션 만이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커밋과 롤백 같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아래와 같은 코드가 존재할 때, 트랜잭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 지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 AuthPacade 클래스의 메서드 
public void withdraw(final long userId, final String code) {
    User user = userFinder.getUser(userId);
    externalService.revoke(user.getPlatform(), code, user.getSerialId());
    authService.deleteUser(user);
}

위의 코드는 userFinder.getUser() 메서드에서 @Transactional 이 걸려있고 authService.deleteUser() 메서드에서 @Transactional 이 걸려있는 상태입니다. 두 함수 모두 외부 호출이며 externalService.revoke 역시 외부 호출이지만 @Transactional이 적용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이 경우에는 userFinder.getUser() 을 실행할 때, 하나의 물리 트랜잭션이 실행되어 종료(커밋)된 후 revoke()를 수행한 후에 다시 authService.deleteUser() 를 실행하면서 또 다른 물리 트랜잭션이 실행되는 것으로 저는 이해했습니다.
즉, externalService.revoke() 메서드를 호출할 때는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고 그 외의 다른 2개의 메서드에는 서로 다른 물리 트랜잭션이 적용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공부를 해보니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은 트랜잭션 범위에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달아서 배운 바를 토대로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중인데, 맞는 지 궁금합니다.. 특히,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 지도 함께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1

김영한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영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constela10님

생각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userFinder.getUser() 에는 @Transactional이 적용되어 메서드 진입 시 트랜잭션이 시작되고, 메서드가 반환되는 시점에 트랜잭션이 커밋 됩니다.

  • externalService.revoke() 는 @Transactional이 없으므로 트랜잭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이 시점에는 이미 userFinder.getUser()의 트랜잭션이 종료된 상태입니다.

  • authService.deleteUser() 에는 @Transactional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새로운 트랜잭션이 시작되고, 해당 메서드 실행 후에 다시 트랜잭션이 커밋됩니다.

실무에서는 DB 변경이 필요한 최소 범위만 @Transactional로 감싸고, 나머지(외부 네트워크 호출 등)는 트랜잭션 밖에서 처리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다만 이것도 항상 정답은 아니고, 고민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외부 호출이 실패했을 때, 트랜잭션을 롤백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라면 트랜잭션 범위를 유지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물론 이 경우 트랜잭션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onstela10님께서 질문하신 물리 트랜잭션과 논리 트랜잭션에 대한 내용은 많은 개발자들이 혼란스러워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트랜잭션 관리에서 중요한 점은 트랜잭션 경계 안에 어떤 작업이 포함되고, 어떤 작업이 그 경계 밖에서 수행되는지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입니다.

질문하신 코드에 관해 설명드리자면:

  1. 물리 트랜잭션과 논리 트랜잭션:

    • userFinder.getUser()authService.deleteUser()가 각각의 물리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종료(커밋 또는 롤백)한다고 이해하신 것이 맞습니다. 물리 트랜잭션은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며, 이때 커밋과 롤백이 수행됩니다.
  2. 외부 호출의 경우:

    • externalService.revoke()의 경우,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트랜잭션의 경계 외부에서 실행됩니다. 이는 외부 네트워크 호출의 실패나 지연이 데이터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에서입니다.
  3. 실무에서는:

    • 외부 서비스와의 통신은 대개 트랜잭션 경계 밖에서 수행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랜잭션 경계를 최소화하여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통신의 불확실성을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성공이나 실패와 연결시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피합니다.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이나 비슷한 사례를 알고 싶으시면, 김영한님의 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강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학습하신 내용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자 하는 constela10님의 노력에 응원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