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데이터 페칭 로직의 분리 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하나의 페이지에서 두 개 이상의 데이터를 불러와야 할 때, 리액트에서 그래왔듯이 자연스럽게 데이터를 페칭하는 api 로직을 services/api 폴더로 분리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요, 강의에서는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를 페칭하여 렌더링하는 전체 로직을 각각의 컴포넌트로 분리하는 것을 보고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기준으로 관심사를 분리할지, 기능을 중심으로 분리할지는 선호의 영역인가요? 아니면 어떤 사전 렌더링의 특수성으로 데이터 페칭 로직은 따로 분할하지 않는 것인가요? 그러면서 동시에 각각의 컴포넌트(AllBooks, RecoBooks)를 별도의 components 폴더로 분리하지 않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곧 넥스트를 사용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는데 폴더 구조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ㅠㅠ 팀원들이 모두 넥스트는 처음이라 아직 이렇다 할 기준이 없어서요.정답이 있는 문제는 아니겠지만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인터셉팅 라우팅 폴더 위치 경로 지정 관련 질문
우선 인터셉팅 라우팅을 버튼, 링크 등을 통해 이동 시 인터셉트된 page를 렌더링하고 새로고침이나 주소창을 통해 이동했을 때 정상(?)적인 page를 렌더링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인터셉팅 라우팅 폴더를 만들어야 할 위치가 궁금해서 /test1/test2 에서 Link태그를 통해 /test1 으로 이동할 때 새로고침 시 표시 되는 test1과 intercepted test1을 구분하는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test1" 폴더 위치를 바꿔보면서 어떻게 동작하는 지 확인해보는 과정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이 폴더구조로 해야 작동하고, 이 폴더 구조는 작동이 안되는게 이해가 안됩니다.뭔가 (.), (..), (..)(..) 이런식으로 경로 지정이 가능하면 인터셉팅 라우팅 폴더는 어디 있든 상관없어도 될 것 같았는데... 아래 폴더구조가 작동을 안되니 디게 혼란스럽네요 ㅠㅠ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supabse 연결 불가
npx prisma db push명령어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P1001: Can't reach database server at aws-0-ap-northeast-2.pooler.supabase.com:`5432`.env 파일 루트 경로에 생성DATABASE_URL, DIRECT_URL 오타 없이 알맞게 입력위의 두 조건 모두 만족하고 있는데,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걸까요? 추가로,가이드에 따라 supabase에서 생성한 db가현재 활성화 상태이거나 running상태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풀스택 완성] Supabase로 웹사이트 3개 클론하기 (Next.js 14)
searchMovies에서 hasNextPage가 필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로펀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useInfiniteQuery에서 반환하는 hasNextPage를 이용해 fetchNextPage를 하는데 searchMovies에서 작성한 const hasNextPage = count > page * pageSize 는 사용하지 않는 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data?.pages ?.map((page) => page.data) ?.flat() ?.map((movie) => ( <MovieCard key={movie.id} movie={movie} />))}에서도 searchMovies 에서 반환하는 page, pageSize, hasNextPage를 제외하고 data만 쓰시길래 작성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useInfiniteQuery에서 반환하는 hasNextPage와는 다른 건가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레포가 여러개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도중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 대해 여쭤볼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다름이아니라, 3개의 Next 앱을 같은 도메인 아래 뒤에 주소들로만 구분해서 하나로 묶는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그렇다면 결국 레포지토리가 3개인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23-05의 hoc적용시의 렌더링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강의를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들으면 이해가 잘되지만, 혼자 코드할때에는 실수나 어림 짐작으로 적용했던 부분이 잘 작동되지 않는데, 이런 저런 시도로도 잘못한 부분을 이해하기 어려워 질문드립니다. 23강의 질문입니다. high-order-function을 진행하면서 hoc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경우 렌더링에 대해 질문을 남깁니다. 특히 쿼리에 이름을 주어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3-3에서 login-success를 확인하는 쿼리를 제가 짰는데 쿼리에 이름을 주었습니다. 23-3의 login-success화면에서는 오류가 없어서, 해당 코드를 복붙하여 hoc부분에도 적용하였는데 초기 렌더링시에 데이터를 받아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새로 고침을 해야 데이터가 받아와져서 나타납니다.순서를 붙여 1~4번까지 차례로 진행하였습니다. 23-3 코드의 정상 렌더링 (쿼리 네임을 주어도 정상 렌더링) loginCheck와 mypage로 구분되지 않는 코드에서 graphql에 query를 보내면서 이름을 주었습니다. (hoc가 아닌 전체 로직이 한꺼번에 구성되는 경우 쿼리에 이름을 주는 경우에도 --->정상 렌더링 되었어요. )해당 부분의 쿼리는 아래와 같으며 JWT로서 데이터를 받아와 사용자명이 렌더링 되었습니다.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fetchUserLoggedIn{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23-5부분에 hoc를 이용하여 loginCheck를 분리한 경우(이 부분은 1번의 (23-3의 코드를 복붙하여 mypage와 logincheck로 분리하였습니다. 오류가 없어서 굳이 수정하지 않아도될것 같아 그냥 두었던 부분입니다) 그런데 사용자명을 받아오지 못한채로 화면이 렌더링이 되었습니다. (graphql이 실패한 것으론 나타납니다. 네트워크를 보면 쿼리를 보내면서 토큰을 첨부하지 못해서 bearer뒷 부분이 없었습니다.) 다만 새로고침을 하면 정상 렌더링이 됩니다. MyPage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 gql, useQuery } from "@apollo/client"; import type { IQuery } from "../../../src/commons/types/generated/types"; import { loginCheck } from "../../../src/components/commons/hocs/loginCheck"; 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fetchUserLoggedIn{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function MyPage() { const { data } = useQuery<Pick<IQuery, "fetchUserLoggedIn">>(FETCH_USER_LOGGED_IN); return <>{data?.fetchUserLoggedIn.name}님, 환영합니다.</>; } export default loginCheck(MyPage); loginCheck는 아래와 같습니다.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export const loginCheck = (컴포넌트: any) => (프롭스: any) => { const router = useRouter(); useEffect(() => { if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 null) { alert("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void router.push("/section23/23-05-login-check-hoc"); } }, []); //if return <컴포넌트 {...프롭스} />; }; hoc를 이용하여 loginCheck를 분리한 경우에 작동원리에 대해 여러가지 검색을 하고, 그 결과를 참조하여 loginCheck에서 accessToken을 받아오고, 만약에 토큰이 없으면 myPage를 렌더링하지 않도록 설정했더니 쿼리네임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렌더링이 되었습니다.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export const loginCheck = (컴포넌트: any) => (프롭스: any) =>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accessToken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useEffect(() => { if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 null) { alert("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void router.push("/section23/23-05-login-check-hoc"); } }, []); if(accessToken == null ) return null; return <컴포넌트 {...프롭스} />; }; 그리고 더불어, 원두님이 하신것처럼 이름이 없는 쿼리로 설정하였을 때는 loginCheck에 토큰 관련 설정을 넣지 않아도 페이지는 정상 렌더링 되었습니다. (이 부분은 수업에서 진행하신 것입니다)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인공지능 모델들은 쿼리에 이름이 있는 경우는 cash에 내용을 참조하여 Header에 토큰이 없는 상태의 설정대로 query를 보내고 받아온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원두님처럼 쿼리명을 주지 않으면 무명쿼리로서 새로 토큰을 붙이고 쿼리를 보내는 과정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제가 항상 토큰을 지우고 새로 고침한후에 로그인 부분을 확인하므로 기존의 쿼리를 받은 기록이 캐시에 남아서 영향을 미칠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hoc가 아닌 기존의 23-3은 잘 작동했으니, 이 부분의 통신에 대해서 어떤 부분인가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후 hoc함수를 사용할때에도 유의해야 할것 같아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해 조언해 주시면 추가적으로 검색을 통해 이해고자 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onClickCapture 부분 질문이 있습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PostArticle({ children, post }: Props)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onClick = () => { console.log(1); router.push(`/${post.User.id}/status/${post.postId}}`); }; return ( <article className={style.post} onClickCapture={onClick}> {children} </article> ); }이 부분에서 onClickCapture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캡쳐링 단계에서 onClickCapture의 클릭함수가 실행된다면자식인 <Link> 영역을 눌러도 <article>의 onClickCapture가 캡쳐링 단계에서 먼저 동작하여 <Link> 태그의 href 경로가 아닌 router.push()로 동작 해야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그러나 실제 <Link>태그를 클릭하면 콘솔에 1이 찍히지만 router.push() 경로가 아닌 <Link>태그의 href경로로 이동하더군요.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댓글 달기, 재게시 useMutation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댓글, 재게시 기능 개발시 onSuccess 메서드 사용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로직은 비슷해서 재게시 로직 첨부했습니다!!좋아요 기능과 마찬가지로 optimistic update 방식으로 보다 빠른 UI 변경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강의를 수강하다가 onMutate, onSuccess 메서드에서 optimistic update 방식이 혼재 되있어 댓글, 재게시 기능들은 onSuccess 함수에 invalidateQueries 메서드를 활용해 쿼리 상태를 최신으로 다시 가져오는 방식은 괜찮지 않을까, 또 제로초님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점이 들어 질문 드립니다!! async onSuccess(response) { const newPost = await response.json(); setContent(""); setPreview([]); const queryCache = queryClient.getQueryCache(); const queryKeys = queryCache.getAll().map((cache) => cache.queryKey); queryKeys.forEach((queryKey) => { if (queryKey[0] === "posts") { const value: Post | InfiniteData<Post[]> | undefined = queryClient.getQueryData(queryKey); if (value && "pages" in value) { const obj = value.pages .flat() .find((v) => v.postId === parent?.postId); if (obj) { // 존재는 하는지 const pageIndex = value.pages.findIndex((page) => page.includes(obj) ); const index = value.pages[pageIndex].findIndex( (v) => v.postId === parent?.postId ); const shallow = { ...value }; value.pages = { ...value.pages }; value.pages[pageIndex] = [...value.pages[pageIndex]]; shallow.pages[pageIndex][index] = { ...shallow.pages[pageIndex][index], Comments: [{ userId: me?.user?.email as string }], _count: { ...shallow.pages[pageIndex][index]._count, Comments: shallow.pages[pageIndex][index]._count.Comments + 1, }, }; shallow.pages[0].unshift(newPost); // 새 답글 추가 queryClient.setQueryData(queryKey, shallow); } } else if (value) { // 싱글 포스트인 경우 if (value.postId === parent?.postId) { const shallow = { ...value, Comments: [{ userId: me?.user?.email as string }], _count: { ...value._count, Comments: value._count.Comments + 1, }, }; queryClient.setQueryData(queryKey, shallow); } } } }); await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trends"], }); // or async onSuccess() { console.log(queryClient.getQueryCache().getAll()); await Promise.all([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posts", String(post?.postId)],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posts", String(post?.postId), "comments"], }), ]); },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숙제 5번인데
"use client"; import styles from "./styles.module.css"; import Image from "next/image"; const IMAGE_SRC = { profileImage: { src: ("/assets/profile_image.png"), alt: "프로필이미지", }, linkImage: { src: ("/assets/link.png"), alt: "링크아이콘", }, locationImage: { src: ("/assets/location.png"), alt: "위치아이콘", }, cheongsanImage: { src: ("/assets/cheongsan.png"), alt: "청산사진", }, neotubeImage: { src: ("/assets/neotube.png"), alt: "너튜브사진", }, badImage: { src: ("/assets/bad.png"), alt: "싫어요", }, goodImage: { src: ("/assets/good.png"), alt: "좋아요", }, hamberger: { src: ("/assets/hamberger.png"), alt: "목록아이콘", }, pencil: { src: ("/assets/pencil.png"), alt: "수정아이콘", }, } as const;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sDetailPage() { return ( <div className={styles.detailLayout}> <div className={styles.detailBody}> <div className={styles.detailFrame}> <div className={styles.detailSubject}> 살어리 살어리랏다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멀위랑 ᄃᆞ래랑 먹고 쳥산(靑山)애 살어리랏다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div> <div className={styles.detailMetadataContainer}> <div className={styles.detailMetadataProfile}> <Image src={IMAGE_SRC.profileImage.src} alt={IMAGE_SRC.profileImage.alt} width={100} height={100} /> <div>홍길동</div> </div> <div className={styles.detailMetadataDate}>2024.11.11</div> </div> <div className={styles.enrollBorder}></div> <div className={styles.detailMetadataIconContainer}> <Image src={IMAGE_SRC.linkImage.src} alt={IMAGE_SRC.linkImage.alt} width={100} height={100} /> <Image src={IMAGE_SRC.locationImage.src} alt={IMAGE_SRC.locationImage.alt} width={100} height={100} /> </div> <div className={styles.detailContentContainer}> <Image src={IMAGE_SRC.cheongsanImage.src} alt={IMAGE_SRC.cheongsanImage.alt} className={styles.detailContentImage} width={100} height={100} /> <div className={styles.detailContentText}> <div>살겠노라 살겠노라. 청산에 살겠노라.</div> <div>머루랑 다래를 먹고 청산에 살겠노라.</div> <div>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야.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새야.</div> <div>너보다 시름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우노라.</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 갈던 밭(사래) 갈던 밭 보았느냐. 물 아래(근처) 갈던 밭 보았느냐 </div> <div>이끼 묻은 쟁기를 가지고 물 아래 갈던 밭 보았느냐.</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이럭저럭 하여 낮일랑 지내 왔건만</div> <div>올 이도 갈 이도 없는 밤일랑 또 어찌 할 것인가.</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어디다 던지는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div> <div>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이 맞아서 우노라.</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살겠노라 살겠노라. 바다에 살겠노라.</div> <div>나문재, 굴, 조개를 먹고 바다에 살겠노라.</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에정지(미상) 가다가 듣노라.</div> <div> 사슴(탈 쓴 광대)이 솟대에 올라서 해금을 켜는 것을 듣노라. </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className={styles.textGap}></div> <div>가다 보니 배불룩한 술독에 독한 술을 빚는구나.</div> <div> 조롱박꽃 모양 누룩이 매워 (나를) 붙잡으니 내 어찌 하리이까.[1] </div> <div>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div> </div> <Image src={IMAGE_SRC.neotubeImage.src} alt={IMAGE_SRC.neotubeImage.alt} width={100} height={100} /> <div className={styles.detailContentGoodOrBad}> <div className={styles.detailGoodContainer}> <Image src={IMAGE_SRC.badImage.src} alt={IMAGE_SRC.badImage.alt} width={100} height={100} /> <div className={styles.detailBadText}>24</div> </div> <div className={styles.detailGoodContainer}> <Image src={IMAGE_SRC.goodImage.src} alt={IMAGE_SRC.goodImage.alt} width={100} height={100} /> <div className={styles.detailGoodText}>12</div> </div> </div> <div className={styles.detailButtonsContainer}> <button className={styles.detailButton}> <Image src={IMAGE_SRC.hamberger.src} alt={IMAGE_SRC.hamberger.alt} width={100} height={100} /> <div>목록으로</div> </button> <button className={styles.detailButton}> <Image src={IMAGE_SRC.pencil.src} alt={IMAGE_SRC.pencil.alt} width={100} height={100}/> <div>수정하기</div> </button> </div> </div> </div> </div> </div> ); } require 를 넣으면 왜 오류인지 require 어떤 기능인지 알 수 있을까요ㅕ?>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delete 버튼 이벤트관련 하여 질문드립니다.
선생님 서버액션을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안되는걸까요?굳이 버튼을 따로빼서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use client"; import { ReviewData } from "@/types"; import { deleteReview } from "@/actions/create-review-action"; export default function ReviewList({ id, content, author, createdAt, }: ReviewData) { const onClickHandler = async () => { await deleteReview({ id: id }); }; return ( <section> <span>{author}</span> <div>{content}</div> <p>{createdAt}</p> <button onClick={() => onClickHandler()}>삭제하기</button> </section> );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vercel 배포시 빌드 오류문제
src/app/(with-searchbar)/search/page.tsx Type error: Type 'Props' does not satisfy the constraint 'PageProps'. Types of property 'searchParams' are incompatible. Type '{ q?: string | undefined; }' is missing the following properties from type 'Promise<any>': then, catch, finally, [Symbol.toStringTag]vercel 명령어 사용시 build문제에서 에러가 생겼다고 하면서 위와 같은 타입 에러가 나오네요 ㅠ선생님께서 제공해주신 github에서 내용을 가져와 적용해보았으나 같은 에러가 나오게되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A-Z[19버전 반영]
react19에서는 react-beautiful-dnd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https://github.com/atlassian/react-beautiful-dnd/issues/2672react-beautiful-dnd is now deprecated #2672 Drag and Drop 기능 구현을 위한 다른 방법 설명이 필요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pgAdmin 질문
pgAdmin의 Post 데이터를 전부 삭제한 후 다시 기록하고 싶어서 Post 내부 데이터를 전부 선택/삭제(휴지통 버튼 클릭)한 후 PSQL Tools에 COMMIT을 입력하라고 정보가 있어서 실행에 옮겼는데 갑자기 9090페이지가 아예 안돌아가네요(로그인 안됨, API문서 접근불가 등등) ㅠㅠ 어떻게 방법없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여행 숙박 사이트 부분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여행 숙박 사이트 부분의 강의를 보고 싶은데 이 부분은 어디서부터 보면 되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선생님 리뷰 에디터의 input관련 질문드립니다.
선생님 review-editor.tsx 파일에서 기존 리액트와는 다른게 onChange나 value useState를 활용하여 input의 상태값을 따로 설정 안하는데 이건 왜 안하는걸까요? search-bar에서는 그렇게 동작하도록 한거 같은데 무슨 차이인지 설명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여러 지식들이 이제 막 충돌하기 시작했습니다 ㅠㅠ
-
해결됨Supabase, Next 풀 스택 시작하기 (feat. 슈파베이스 OAuth, nextjs 14)
Direct connection / Transaction pooler / Session pooler 차이가 무엇인가요?
Supabase 가 업데이트 되면서, 강의 화면과 다른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Direct connection / Transaction pooler / Session pooler 차이가 무엇인가요?강의를 따라가기 위해 Transaction pooler 를 사용해서 연결은 하긴 했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Next.js 디버깅 방법 질문드립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 수업 내용 외의 질문 드립니다.강사님께서는 Next.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실 때 어떻게 디버깅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구글링을 통해서 vscode에서 launch.json 설정을 한다든가 하는 글은 봤는데 제가 설정을 잘못했는지 잘 동작하지 않기도 하고 Next.js 환경에서의 디버깅 설정에 대한 글이 많이 없더라구요.그래서 Next.js 이용 개발자들은 디버깅 툴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개발하는지, 강사님께서 디버깅을 하신다면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node.js 설치 질문
문제1 vcs내에 cmd에서는 node -v, npm -v의 버전이 잘 나오는데 bit bash 환경에서는 사진과 같이 오류가 나옵니다 어러번 node.js를 삭제하고 깔아봤는데 계속 이럽니다문제2git bash환경에서 오류가 떠 cmd에서 시도를 해보았습니다.명령프롬프트(cmd)에서는 node, npm, yarn의 버전이 잘 나오지만vsc내에 cmd에서는 나머지의 버전은 잘 나오지만 yarn의 버전이 나오질 않습니다.버전을 모두 확인 후 npx create-next-app를 해야하는데 앞의 문제들 때문에 그런지 npx create-next-app가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초반 세팅 과정 때문에 시간을 너무 잡아먹는 것 같아요 도와주세요 ㅠ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package.json의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의 차이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의 차이에 대해서 궁금한데요, 둘의 차이점은 앱 배포 시 포함이 되느냐 안되느냐의 차이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tanstack-query나, date-fns를 devDependencies에 설치하고 vercel에 배포를 하더라도 배포된 프로덕션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요, 이에 대한 챗 gpt의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Vercel의 배포 프로세스Vercel은 next build를 실행하여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필요한 의존성을 설치합니다. 이때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 모두가 설치됩니다.배포 환경에서도 devDependencies의 패키지가 포함될 수 있는 이유는 Next.js의 빌드 시점에 이 패키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예를 들어, @tanstack/react-query는 런타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인데, 이를 devDependencies에 넣어두었더라도 next build 과정에서 번들된 코드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Vercel에서 배포 후에도 런타임에 사용 가능합니다.React Query와 런타임 의존성@tanstack/react-query는 런타임에 작동해야 하는 의존성입니다. 따라서 빌드 결과물에 포함되며, devDependencies에 설치된 상태라도 번들링 과정에서 런타임에 필요한 모든 코드를 포함합니다.@tanstack/react-query-devtools는 개발 도구용이지만,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UI가 렌더링되지 않아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의 차이dependencies: 런타임에 반드시 필요한 의존성.devDependencies: 개발 및 빌드 단계에서만 필요한 의존성.Next.js에서는 빌드 과정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든, 런타임에 사용하는 패키지든 모두 번들링되기 때문에 devDependencies에 패키지가 있어도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Vercel이 에러 없이 작동하는 이유@tanstack/react-query는 devDependencies에 있지만, 빌드 과정에서 번들링되어 클라이언트 코드로 전달되었기 때문에 런타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프로덕션 환경에서 ReactQueryDevtools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상태라 에러가 뜨지 않습니다.답변이 잘 이해가 안되어서 그러는데 빌드 시점에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에 있는 모든 라이브러리가 설치되는건가요? 아니면 devDependencies에 있는 라이브러리라도 런타임 시점에 필요하다면 빌드 시에 설치가 되어 프로덕션 환경에 포함되는건가요?제가 이해한 바로는, devDependencies에 있는 라이브러리더라도, 런타임 환경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라면 알아서 분류하여 프로덕션 환경에 포함되도록 설치한다고 이해하였는데, 이렇게 된다면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 아닌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JS 파일이 IDE(Cursor)에서 출력되지 않아요...
사진과 같구요. Node.js, Code Runner 설치했습니다.오류 코드도 구글링해 봤는데 해결 방법을 못 찾겠어서 올려 봅니당...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