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수업 커리큘럼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수업을 듣다 보니 이전 수업들에서 만든 것을 버리고?새로 시작하는 거 같은데 맞을까요??혹시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갑자기 새로 처음부터 시작하는 이유를 몰라서 혼란스럽니다^^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python3 manage.py showmigrations 에서 오류
# python3 manage.py showmigrations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anage.py", line 21, in <module> main() File "manage.py", line 17, in main execute_from_command_line(sys.argv)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__init__.py", line 401, in execute_from_command_line utility.execut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__init__.py", line 395, in execute self.fetch_command(subcommand).run_from_argv(self.argv)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base.py", line 328, in run_from_argv self.execute(*args, **cmd_options)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base.py", line 369, in execute output = self.handle(*args, **options)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commands/showmigrations.py", line 52, in handle return self.show_list(connection, options['app_label'])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commands/showmigrations.py", line 71, in show_list loader = MigrationLoader(connection, ignore_no_migrations=Tru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loader.py", line 49, in init self.build_graph()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loader.py", line 274, in build_graph raise exc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loader.py", line 248, in build_graph self.graph.validate_consistency()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graph.py", line 195, in validate_consistency [n.raise_error() for n in self.node_map.values() if isinstance(n, DummyNod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graph.py", line 195, in <listcomp> [n.raise_error() for n in self.node_map.values() if isinstance(n, DummyNod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graph.py", line 58, in raise_error raise NodeNotFoundError(self.error_message, self.key, origin=self.origin)django.db.migrations.exceptions.NodeNotFoundError: Migration accounts.0001_initial dependencies reference nonexistent parent node ('auth', '0012_alter_user_first_name_max_length')powershell에서 python3 manage.py showmigrations명령을 수행했을때 위와같은 오류가 뜨네요.. 뭐가 문제인걸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중소,스타트업에서는 코딩테스트 안 보는 곳도 있나요?
중소, 스트타업 채용공고 찾아봤는데 코딩테스트를 보는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는 거 같아서 무조건 보는 건 아닌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ction23. 04-06 Mongoose 활용편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MongoDB compass로 mongodb://localhost:27017로 접속시, 네임레졸루션으로 설정한 mydocker가 데이터베이스가 보이지 않습니다.어떻게 하면 MongoDB compass에서 mydocker를 볼 수 있게 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임레졸루션으로 설정한 mydocker>mongoose .connect("mongodb://my-database:27017/mydocker") .then(() => console.log("Connected!")) .catch(() => console.log("Connection Failed")); app.listen(4000, () => { console.log("Back-end API is Open Now"); }); CLI로 MongoDB id "ce236b58a149"로 접속하여 확인하여 보면 mydocker가 확이, Postman으로 확인하여도 POST GET가 잘 됩니다만, MongoDB compass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CLI로 mydocker 데이터베이스 확인>hyunminyu@HYUNMINnoAir class %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ce236b58a149 mongo:5 "docker-entrypoint.s…" 12 seconds ago Up 11 seconds 0.0.0.0:27017->27017/tcp backend-my-database-1 e3f0f648c4c3 backend-my-backend "docker-entrypoint.s…" 21 minutes ago Up 11 seconds 0.0.0.0:4000->4000/tcp backend-my-backend-1 hyunminyu@HYUNMINnoAir class % docker exec -it ce236b58a149 /bin/bash root@ce236b58a149:/# mongo MongoDB shell version v5.0.21 connecting to: mongodb://127.0.0.1:27017/?compressors=disabled&gssapiServiceName=mongodb Implicit session: session { "id" : UUID("181ced5f-7b45-4fd5-bb08-c90762778e68") } MongoDB server version: 5.0.21 ================ Warning: the "mongo" shell has been superseded by "mongosh", which delivers improved usability and compatibility.The "mongo" shell has been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n upcoming release. For installation instructions, see https://docs.mongodb.com/mongodb-shell/install/ ================ --- The server generated these startup warnings when booting: 2023-09-22T15:44:38.346+00:00: Using the XFS filesystem is strongly recommended with the WiredTiger storage engine. See http://dochub.mongodb.org/core/prodnotes-filesystem 2023-09-22T15:44:39.191+00:00: Access control is not enabled for the database. Read and write access to data and configuration is unrestricted --- > show databases admin 0.000GB config 0.000GB local 0.000GB mydocker 0.000GB > use mydocker switched to db mydocker > show collections boards한가지 의심스러운 점이 있습니다.docker-compose.yaml에서 아래의 27017:27017 포트포워딩을 주석처리하여 docker up을해도, MongoDB compass로 mongodb://localhost:27017로 접속이 되는점이 혹시 문제 원인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ports: - 27017:27017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강의10-8 관련 질문입니다.
products.service.ts// 2-2) 상품태그 등록 const tagNames = productTags.map((el) => el.replace('#', '')); const prevTags = await this.productsTagsService.findByNames({ tagNames }); const temp = []; tagNames.forEach((el) => { const isExists = prevTags.find((prevEl) => el === prevEl.name); if (!isExists) temp.push({ name: el }); }); const newTags = await this.productsTagsService.bulkInsert({ names: temp }); const tags = [...prevTags, ...newTags.identifiers]; productsTags.service.tsconst newTags = await this.productsTagsService.bulkInsert({ names: temp }); const tags = [...prevTags, ...newTags.identifiers]; products.service.ts 에서const tags = [...prevTags, ...newTags.identifiers];의 결과로 주석으로 {id: "전자제품ID", {id: "컴퓨터ID}, {id: "영등포ID"}}이렇게 적어주셨는데 ...newTags.identifiers는 결과가 저렇게 id로 들어가는게 이해되는데 ...prevTags는 왜 id로 들어가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prevTags는 키가 id랑 name 두개 있는 객체인데 왜 저렇게 들어가는걸까요 ?? spread 연산자를 사용해서일까요 주석의 예시대로라면{id: "전자제품ID", name: "전자제품"}, {id: "컴퓨터ID"}, {id: "영등포ID"}}이런식으로 들어가야 하는거 아닌가요??감사합니다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개정 버전은 언제 업로드 예정이실까요?
우선 수업 재미나게 잘 듣고 있습니다.공지에서 개정 버전을 새로 업로드 하신다는 글을 봤는데 언제 업로드 예정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시작하는 백엔드 - 스프링, 도커, AWS
IP주소:8080/h2-console 을 했을때 404 에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인바운드 규칙도 규가해줬는데 IP주소:8080/h2-console 을 누르면 404 에러가 발생하는데 왜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A.11.018. kDbench 실행 오류 질문입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6. ARM 계열의 m1 , m2 계열은 VirtualBox를 통한 구성이 원할하지 않고, 실습 환경의 다변화는 추후 대처하기 어려워서 현재 과정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15529) [질문 하기]안녕하세요? 먼저 좋은 강의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해보려고 현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중입니다. ESXi 호스트와 Synology NAS로 인프라를 구성중입니다.Ubuntu 20.04.6 LTS / Kubernetes 1.26.1 / Containerd 1.6.22 / Calico 3.24.3 버전을 사용중입니다. kbanch 명령어를 시행하면 퍼미션 문제가 있어 sudo로 진행하려고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치니 오류가 발생합니다. I$ sudo kdbench managed-nfs-storageE0921 23:38:12.683467 153026 memcache.go:238]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localhost:8080/api?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E0921 23:38:12.683708 153026 memcache.go:238]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localhost:8080/api?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E0921 23:38:12.684940 153026 memcache.go:238]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localhost:8080/api?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E0921 23:38:12.686207 153026 memcache.go:238]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localhost:8080/api?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E0921 23:38:12.687548 153026 memcache.go:238]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localhost:8080/api?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The connection to the server localhost:8080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물론 현재 API 서버 호출은 잘 되는 상태인데 갑자기 왜 로컬 호스트에 8080을 호출하면서 안된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도움 간절히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톰캣 컨테이너 삭제해도 계속 파드가 재생성 됩니다.
GKE 클러스터에서 --replicas 옵션으로 컨테이너를 배포하면 ReplicaSet의 관리를 받나요? kubectl create deploy --image=consol/tomcat-7.0 --replicas=5 위 명령으로 컨테이너를 배포하였는데요. 배포된 컨테이너를 삭제하려고 delete 명령어를 수행했는데, 계속 파드가 재생성되네요.. describe 명령어로 확인해보니깐 ReplicaSet으로 컨트롤 되고 있어서 삭제가 되도 다시 파드를 재생성하는거 같은데,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Jenkins 빌드 중 발생한 오류
교재로 공부를 진행하던 중 젠킨스 빌드가 안되는 오류가 발생하였는데 뭐가 문제인가요?도커가 없다는 오류 같아서 확인해보니 도커는 있습니다.교재 p344 페이지입니다.Started by user admin Running as SYSTEM Agent default-qb8pr is provisioned from template default ---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labels: jenkins/label-digest: "6ba93233d22ff0212c5c877dbc5afb06b7d3aafc" jenkins/jenkins-jenkins-slave: "true" jenkins/label: "jenkins-jenkins-slavex" name: "default-qb8pr" spec: containers: - args: - "********" - "default-qb8pr" env: - name: "JENKINS_SECRET" value: "********" - name: "JENKINS_TUNNEL" value: "jenkins-agent:50000" - name: "JENKINS_AGENT_NAME" value: "default-qb8pr" - name: "JENKINS_NAME" value: "default-qb8pr" - name: "JENKINS_AGENT_WORKDIR" value: "/home/jenkins" - name: "JENKINS_URL" value: "http://192.168.1.11" image: "jenkins/inbound-agent:4.3-4" imagePullPolicy: "IfNotPresent" name: "jnlp" resources: limits: memory: "512Mi" cpu: "512m" requests: memory: "512Mi" cpu: "512m" tty: false volumeMounts: - mountPath: "/usr/bin/kubectl" name: "volume-0" readOnly: false - mountPath: "/bin/docker" name: "volume-1" readOnly: false - mountPath: "/var/run/docker.sock" name: "volume-2" readOnly: false - mountPath: "/home/jenkins" name: "workspace-volume" readOnly: false workingDir: "/home/jenkins" hostNetwork: false nodeSelector: kubernetes.io/os: "linux" restartPolicy: "Never" securityContext: runAsGroup: 993 runAsUser: 1000 serviceAccount: "jenkins" volumes: - hostPath: path: "/usr/bin/kubectl" name: "volume-0" - hostPath: path: "/var/run/docker.sock" name: "volume-2" - hostPath: path: "/bin/docker" name: "volume-1" - emptyDir: medium: "" name: "workspace-volume" Building remotely on default-qb8pr (jenkins-jenkins-slave) in workspace /home/jenkins/workspace/dpy-fs-dir-prod The recommended git tool is: NONE No credentials specified Cloning the remote Git repository Cloning repository https://github.com/iac-source/echo-ip > git init /home/jenkins/workspace/dpy-fs-dir-prod # timeout=10 Fetching upstream changes from https://github.com/iac-source/echo-ip > git --version # timeout=10 > git --version # 'git version 2.20.1' > git fetch --tags --force --progress -- https://github.com/iac-source/echo-ip +refs/heads/*:refs/remotes/origin/* # timeout=10 > git config remote.origin.url https://github.com/iac-source/echo-ip # timeout=10 > git config --add remote.origin.fetch +refs/heads/*:refs/remotes/origin/* # timeout=10 Avoid second fetch > git rev-parse refs/remotes/origin/main^{commit} # timeout=10 Checking out Revision 5ed2bf9132d6fabf9481ea8f90b1bdddd74490fe (refs/remotes/origin/main) > git config core.sparsecheckout # timeout=10 > git checkout -f 5ed2bf9132d6fabf9481ea8f90b1bdddd74490fe # timeout=10 Commit message: "Update README.md" First time build. Skipping changelog. [dpy-fs-dir-prod] $ /bin/sh -xe /tmp/jenkins2525911456150578809.sh + docker build -t 192.168.1.10:8443/echo-ip . /bin/docker: 2: .: Can't open /etc/sysconfig/docker Build step 'Execute shell' marked build as failure Finished: FAILURE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웹스톰 사용자인데 cookie를 출력해보면
console.log(req.headers.cookie); Webstorm-55941cca=39281e1b-d7ae; refreshToken=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zdWIiOiI4ZDM2YTc4Yy1mOWFiLTQ1NjgtODg0NS03MWUzOTQ0ODE1ZjMiLCJpYXQiOjE2OTUyMTI1NzYsImV4cCI6MTY5NjQyMjE3Nn0.8M9UkwgQXS7dGYpq3rxHnSF9TmoEnliY_wbZuhacqL0 이런식으로 출력이 되서 처음에 refreshToken 설정할때 Webstorm-55941cca=39281e1b-d7ae; 이 부분을 없에는 방법이 있을까요? 계속 replace("Webstorm-55941cca=39281e1b-d7ae; refreshToken=','') 이런식으로 없애야 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섹션23 도커부분 건너띄고, 섹션24 먼저 들어도 될까요?
도커를 수강하지 않고 섹션 24,25 수강해도 될까요?도커 이후 수업에서는 도커를 사용해서 수업을 진행하나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클러스터 내 AP 서비스와 클러스터 외부 DB 간 연결 가능 여부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에서(jdbc 이용) 클러스터 외부의 DBMS(MySQL, 오라클 등등) 에 접근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그렇게 할려면 지금 강의 에서 구성한 방식 외에 추가로 어떤 구성이 필요한지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질문있습니다 회사에서 보안상의 이유와 라이센스 이유로 virtualbox 이용이 어려운데aws ec2 서버를 만들어서 강사님이 주신 실습 환경을 구축하려고 하는데어떻게 적용해야할까요? 코드는 아직 잘 몰라서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강사님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실패에 대한 처리를 폴링방식으로하면, 고객에게 바로바로 알릴 수 없지 않나요? 만약에 100개 쿠폰을 선착순으로 발급해야하는데,그 중에 51개 쨰에서 발급중 실패가 된다면? 제가 생각된 건 재처리재처리동안은 나머지 사용자는 대기하는가?실패에 대한 처리를 실패 테이블에 인서트나머지 쿠폰 발급그렇다면 발급된 총 쿠폰의 수는 100개 이지만 51번째 고객 처리는? 궁금합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현업에서는 컨테이너 어떤걸 가장 많이 쓰나요?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6. ARM 계열의 m1 , m2 계열은 VirtualBox를 통한 구성이 원할하지 않고, 실습 환경의 다변화는 추후 대처하기 어려워서 현재 과정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15529) [질문 하기]F사 강의 CI/CD 강의를 듣고 있는데..도커 를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쿠버네티스, v1.20부터 도커 지원 중단 그래도 도커를 많이 쓰는가요? 아니면containerd, CRI-O 둘 중에 어느 걸 많이 쓰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CORS 에러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Axios from 'axios'; class EpisodeList extends React.Component { state = { episodeList: [], }; componentDidMount() { const apiUrl = 'https://www.tvmaze.com/api'; const params = { q: 'mr-robot', embed: 'episodes', }; Axios.get(apiUrl, { params })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 }) .catch((error) => { console.error(error); }); } render() { const { episodeList } = this.state; return ( <div> <h1>EpisodeList</h1> {JSON.stringify(episodeList)} </div> ); } } export default EpisodeList;위 코드와 같이 실행하면 다음의 에러가 뜹니다.Access to XMLHttpRequest at 'https://www.tvmaze.com/api?q=mr-robot&embed=episodes' from localhost/:1 origin 'http://localhost:3000'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사이트의 api가 바뀌어서 url과 쿼리는 현재 작동하는 방식으로 바꾸었을 뿐 이외에는 동일하게 따라했는데, 이렇게 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참고로 다음을 실행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응답이 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http https://www.tvmaze.com/api q==mr-robot embed==episode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저는 피그마 들어가서 오른쪽에 code 가 없습니다.
어떻게 생성 시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Typeorm error: Table already exist
Entity를 변경하고 나서 서버 재 시동 시 Connection Error, Table {Table_name} already exist 에러가 발생하고, Entity와 상관없이 소스를 수정해도 여전히 동일한 에러가 발생합니다. 에러를 찾아봤는데도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해 질문 드립니다.[Nest] 1860 - 2023. 09. 14. 오후 10:13:42 ERROR [TypeOrmModule] Unable to connect to the database. Retrying (5)...QueryFailedError: Table 'tb_user_info' already exists 변경 전@Column() @Field(() => String) USR_USER_TYPE: boolean변경 후@Column() @Field(() => Boolean) USR_USER_TYPE: boolean 현재 Package는 아래와 같고요."@nestjs/typeorm": "^10.0.0", "typeorm": "^0.3.17" @Entity를 중복 선언하거나 소스가 두개이진 않습니다.(기존에도 똑같은 질문이 있어서 확인했습니다.) 다만 Table명을 다르게 하기 위해 아래처럼 했습니다.@Entity('TB_USER_INFO') @ObjectType() export class UserInfoEntity { ..... 이 에러를 찾아보니...@Entity({ name: 'TB_USER_INFO', schema: 'user_schema'}) 처럼 하라고 하는데....우선 제대로 된 해결법이 맞는지 궁금하고요.만약 맞다면 저기서 얘기하는 schema가 무엇을 말하는지 못찾았습니다.( 혹시 schema명이 database name이 아닌가 싶네요... 그렇게 했을때 별도로 다른 에러가 발생하진 않았거든요) 그리고 어떤 곳에선 synchronize를 false로 하고 직접 수정하는게 낫다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조금 이해가 안되긴 하지만..... 해결됐습니다.=============================================================이런저런 테스트를 하다가 Stack overflow에서 어떤 사람이 @Entity작성 시 이름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class명을 그대로 써서 해결됐다고 하길래 저도 그렇게 했더니 해결이 됐습니다. 최초 class명과 table명을 다르게 쓴 이유는 해당 entity클래스가 entity 라는걸 알아보기 쉽게 하려고 class에 entity라는 이름을 붙이고, table명에서는 entity를 쓰지 않았었습니다.지금도 그렇게 하는 것이 더 편하다 생각하는데... 우선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밖에 방법이 없네요;;;;; 혹시 테이블 명을 별도로 사용하고 에러가 나게 하지 않을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우분투 사용법
강의 듣다가 윈도우에서 우분투로 바꿨는데사용법이 익숙치 않아요터미널에서 bash 라는 창을 어떻게 켜는지도 모르고 , 단축키도 몰라요. 전체적으로 미숙해요.이런건 어디서 배워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