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라우터와 게이트웨이의 차이
안녕하세요 강사님지금 네트워크 영상 기초 강의들을 계속해서 보고있습니다보던 중에 라우터가 데이터 패킷 전달을 위해 최적의 경로 설정을 해주는 L3 스위치라고 들었습니다그리고 게이트웨이도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택배기사 같은 역할을 하며 라우팅을 한다고 들었는데요,이 둘의 정확한 차이점을 혹시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라우터가 아니여도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한 이유가 뭔가요?
CMD창에 ipconfig를 작성하면 제 노트북도 서브넷 마스크가 존재하는데요. 라우터라면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를 통해 적절하게 포워딩해야 하기에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하지만 제 컴퓨터는 라우터가 아님에도 가지고 있는 이유가 궁금했습니다.검색해보니 서브넷 안에서 요청이 오갈때는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이 때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이 경우 저의 IP와 서브넷 마스크는 존재하지만 목적지에 대한 IP만 존재할 뿐 이에 대한 서브넷 마스크는 존재하지 않는데 어떻게 같은 서브넷에 있는 호스트임을 판단하는지 모르겠습니다.질문을 요약하면서브넷 마스크를 라우터가 아님에도 갖고 있는 이유는 서브넷 통신을 하기 위함인 것이 맞나요?만약 서브넷 통신임을 라우터가 아닌 출발 호스트가 판단하는 것이 맞다면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는 모르는데 어떻게 같은 네트워크임을 판단하나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강의 자료 제공 여부 문의
안녕하세요, 큰 마음 먹고 네트워크 시리즈를 수강신청하고 들을려고합니다강의소개에 보면 시각 자료를 제공해준다고 되어있는데요, 강의자료를 PDF 등의 형태로 제공을 해주시나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서버에서 소켓 생성 시 port
안녕하세요 강사님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기하는 소켓을 생성하고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위한 소켓을 따로 생성 하는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요,그렇다면 이렇게 생성된 소켓은 연결 대기 소켓과 port가 동일한가요 다른가요?다르다면, 응답에 생성된 소켓의 port를 전달하고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port로 통신하게 되는걸까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문제해결_패킷트레이서
문제해결 파일 다운받아서 학습하고 잇는데 일부 라우터에서 자꾸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제가 잘못 건드려서 일까요? 아니면 뭐가 문제일까요?ㅜㅜ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pdf 관련 문의
알 pdf로 편집하면서 따로 메모하면서 정리하면서 보고싶은데 비밀번호가 걸려있네요. pdf를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TTP 1.1이상에서는 어떻게 TCP 연결을 유지하나요?
HTTP의 특징이 Stateless라고 하셨습니다.그런데 HTTP 1.1이상 부터는 한 번 TCP 연결을 한 뒤 여러번의 요청을 보낼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TCP의 시퀀스와 ACK 번호는 HTTP 요청 마다 계속 커지는 것인가요??즉 www.naver.com에 접속을 할 때 한 번의 TCP 연결 이후에 www.naver.com/blog 이렇게 한다면 ack 번호와 시퀀스 넘버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전송 속도를 bit단위로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사님 넓고 얕게 컴공 전공자 되기 강의부터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오늘 강의로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 100Mbps가 왜 초당 100MB를 받지 못하는지, 이유가 바이트가 아닌 비트였단걸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조금 쌩뚱맞은 질문일 수 있는데,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강의에서 byte를 최소 데이터 관리 단위로 설명해주셔서 데이터 용량 관련 == byte로 외우고 있습니다.헌데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 단위는 왜 byte가 아닌 bit로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4 bit가 되는 이유
3:332 진법 계산에서 2 bit가 아니라 4 bit가 나오는지 이해가 잘 안 갑니다. 설명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버퍼 크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는 도중에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다른 건 아니라, 아직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지만 교수님의 수업 내용에서 버퍼 크기가 정해져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제가 이해하기로는 만약 100의 크기의 유튜브 영상이 있고 버퍼가 한 번에 6의 크기를 처리할 수 있다면 (버퍼는 6만큼 데이터가 채워져야 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6 단위로 96만큼 데이터를 처리하고 4라는 데이터가 남았다면 이는 이제 6으로 채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더 이상 채워줄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소실되는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양질의 강의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3 인터넷 통신 과정에서 개념이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비전공자에게 이렇게 재밋게 네트워크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를 듣는 와중에 기억이 섞여서 헷갈리는 부분이 생겨 질문을 남겨봅니다. 에펠탑을 택배로 보내야 한다고 할 때프로세스가 저장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자신이 허용 가능한 버퍼에 읽어옵니다.그리고 그걸 Socket에 송신 합니다.Socket 내부 Buffer에 보관하고 있으면TCP가 해당 Buffer를 MSS 크기로 자르고IP 계층에 넘겨줍니다. IP 헤더를 추가하고 L2 계층에 넘깁니다. L2 계층인 이더넷에 넘기면 Frame 단위로 포장해서 이제 랜던을 타고 L2 스위칭이 되서 인터넷으로 가는걸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받는 수신 입장에서 Frame을 받고 하나씩 해체하면서헤더정보를 보고 필요한 프로세스에 전달을 합니다. 이렇게 이해를 했습니다.그런데 여기서 개념이 헷갈리는게L2 스위치까지는 프레임으로 움직이는건 이해를 했는데게이트 웨이를 통해서 인터넷으로 갈때여기서도 프레임으로 움직이나요 ?L3 라우터니까 패킷단위로 움직이나요 ?도착할때는 다시 프레임으로 감싸서 들어가는건지아니면 프레임인 상태에서 L3 라우터에서 이동이 되는데TTL이 감소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ocket I/O 질문이 있습니다.
[※중요] 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TCP/IP 송·수신구조12:49초 때 설명해주신 내용인데 이해가 부족해서 질문을 남깁니다. 프로세스가 TCP/IP 통신을 하기 위해서 커널 프로그램중 TCP를 추상화하여 인터페이스 Socket과 IO를 합니다.프로세스가 보조 기억장치에서 이미지 a.bmp를 가져올때 프로세스가 OS에게 할당 받은 가상 메모리에 카피를 한다고 이해를 했습니다.그러면 Socket에게 Send 할때 Socket도 버퍼에 카피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카피를 한다는건 메모리에 기록을 한다는 말로 이해를 했는데그러면 소켓도 하나의 프로세스로 보고 메모리를 할당받은건가요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네트워크 관련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강의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만약 심화까지 강의를 모두 완료한다면 세부적인 지식을 어떤 책들로 채우면 좋을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CP 연결 이라는 착각 강의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L4 강의 중 TCP 연결 이라는 착각이라는 말을 하셨는데요, 강의를 다시 들어보아도 정확히 어떤 요지인지를 파악하기 어려워서 질문 남겨봅니다! 4 way handshake이 일어나지 않아도 연결은 끊긴 상태일수 있다는 의미인 것인지.. 구체적인 의미를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ARP 프로토콜 관련 질문입니다
보통 L2나 L3 스위치의 enable 모드에서 sh arp 나 sh mac address-table 명령어를 쳐보면그 스위치에 연결된 하드웨어의 ip, mac 주소, 연결된 interface 정보 등이 보이는데이런 하드웨어 관련 정보는 하드웨어를 연결하고 전원을 켜면 스위치 내부에서 자동으로 갱신이 되나요?자동으로 갱신이 되는 거라면 스위치에서 주기적으로 arp request를 보내는 것인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ocket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무엇인가요?
강의를 봐오면 socket에 대한 표현이 비슷하지만 약간 씩 다른것 같아서 제가 딱 한 문장으로 정의하기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ㅠㅠ..물론 설명해주신 내용이 다 맞고 같은 내용을 표현한 것이란 걸 알지만 딱 한 문장으로 정의한 socket에 대한 정의를 알고 싶습니다.유저 모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커널 모드 프로토콜을 추상화한 인터페이스라고 알고 있으면 될까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언급해주신 기타 과정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요?
로드맵으로 여러 과정 말씀해주셨는데 해당 과정들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비)정상종료 실제 패킷
선생님 4way-handshake를 통해 정상종료하는 이론적인 부분에 대해서 이해하였습니다하지만 실제로 3way-handshake를 통해 정상종료하는 과정을 wireshark를 통해 발견하였습니다위 사진과 같이 포트번호 별로 3way-terminate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조건에 의해 다음과 같은 종료를 하는지 궁금합니다.추가적으로 cmd나 powershell을 통해 ssh로 접속을 한 후 x버튼을 통해 종료를 하게되면 RST패킷을 던지고 비정상종료를 하게됩니다. mobaXterm이나 putty같은 툴을 통해 x버튼으로 종료를 하게되면 이 역시 3way-terminate를 하는 과정도 발견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쓸데없는 질문인 것 같지만 궁금합니다.ㅜ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데이터를 사용할때와 핫스팟으로 사용할때 라우터주소
핸드폰으로 Wi-Fi말고 데이터를 사용할때의 라우터 주소는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통신사에서 사용자 사용 위치 근처에 설치한 라우터의 주소인가요?핫스팟을 켜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사용할때, 연결된 기기의 라우터 주소도 1번 상황과 동일한가요?핸드폰은 연결된 기기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하는건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2스위치와 L3스위치에 대해 궁금합니다.
스위차란것이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고L2는 MAC주소를 기반으로, L3는 IP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선택하게 되는데 가장 큰 차이점이 라우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L3는 라우팅테이블도 참고하여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것이고 L2는 그냥 단순히 MAC 물리주소가 오고간 경로만 설정하는것일까요?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