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7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영속성 계층과 E2E 테스트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의 안정성과 테스트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는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다.우빈님의 강의로 실용적인 테스팅 방식에 대해서 기반을 다졌습니다. 덕분에 면접 질문에서도 우빈님의 의견과 저의 의견이 합쳐져서 좋은 답변을 할 수 있었어요!취업 이후에도 여러가지 테스트 서적을 읽으면서 다른 관점도 많이 바라보고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영속성 계층에서의 테스트와 E2E 테스트 부분에서 해소되지 않은 고민이 있어서 조언을 얻고자 찾아왔습니다.먼저 영속성 테스트 관련 질문부터 드리고자 합니다.취업을 하기 전에 취준을 하는 상황에서는 H2 DB로만 해소 할 수 있는 상황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하지만 실무에 들어오니 생각보다 Native Function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버전 문제로 각 DB에 있는 연산자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일 (Dialect 이슈) 도 적지 않게 볼 수 있었습니다.이전에 답변 주신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408867/classicist-vs-mockist해당 내용처럼 저 또한 동일하게 영속성 계층에서의 테스트를 DB 관점에서 그냥 동작하겠거니 하고 안일하게 생각하여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케이스를 봤기에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아직까지는 제 경험에서는 Test Container를 사용하여 실 상황과 유사한 DB를 사용하는 것이 그나마 합리적인 방법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또 컨테이너가 뜨다보니 테스트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한 것도 단점으로 다가오기는 하더라구요.명확한 답은 없겠지만 우빈님은 위와 같은 비슷한 상황에서 어떤 방식을 택하고 계시는지 더 좋은 방법은 없을지하여 질문을 먼저 드리게 되었습니다.이어서, E2E 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비즈니스 계층에서의 통합 테스트가 작성이 되었다면 아직까지는 우빈님의 생각과 동일하게 프레젠테이션 영역에서는 통합 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요.하지만, 종종 테스트 관련 여러 서적이나 토론등을 보면 E2E 테스트는 중요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는 글이나 영상을 종종 찾아 볼 수 있었고, 무엇보다 저희 팀원분들중에서도 "E2E 테스트를 하는게 아니라면 프레젠테이션 레이어를 테스트 할 필요가 있어?"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다음과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러네.. 지금까지는 거의 문서화를 목적으로 작성을 했었는데, 문서화를 RestDocs, RestDocs to Swagger(OpenApi Spec) 를 하는게 아니라면 작성 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의문이 떠올랐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우빈님의 소견을 듣고 싶어서 긴 글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항상 좋은 강의 좋은 인사이트 제공 해주셔서 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builer 생성 방식 메서드 분리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강의를 보면 createProduct 를 통해서 builder 패턴 생성자 생성 방식을 공통메서드로 분리해주셨는데요. 이는 builder 패턴이 제공해주는 생성자 생성방식의 유연성을 함수로 분리함으로써 인해 제약을 주는 것이기도 한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에 각 Product마다 필요한 컬럼이 다르다면 createProduct 함수로 분리하는게 아닌 반복이 되지만 어쩔 수 없이 각각 builder() + 체이닝 방식으로 코드를 기술하셨을지, 아니면 필요한 함수 시그니처마다 함수를 분리하셨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Classicist VS. Mockist
우빈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남겨드립니다.제가 테스트할때는 repository부분의 쿼리메서드나 jpql로 작성한 코드들은 따로 테스트를 하지 않고 QueryDSL같은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때만 단위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비즈니스 레이어에 대해서는 위의 repository를 mocking하여 사용하고 컨트롤러 부분에서 통합테스트를 진행합니다.해당 부분에서 우빈님과 하는 방식이 다른것 같습니다. 우빈님은 비즈니스 레이어에서 통합테스트를 진행하고 Presentation 레이어에서 mocking을 이용한다고 하셨는데 혹시 제가 하는 방식에서 조언을 주실 수 있으실지 잘못된 방향성으로 가고 있는지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또한 우빈님께서 그렇게 진행하시는 이유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코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private String createNextProductNumber() { String latestProductNumber = productRepository.findLatestProductNumber(); if (latestProductNumber == null) { return "001"; } int latestProductNumberInt = Integer.parseInt(latestProductNumber); int nextProductNumberInt = latestProductNumberInt + 1; return String.format("%03d", nextProductNumberInt); } Integer.parseInt(latestProductNumber); 이 부분 처럼 값을 숫자로 바꿀때 latestProductNumber가 숫자인지 아닌지에 대한 검증은 안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public OrderResponse createOrder(OrderCreateRequest request,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ist<String> productNumbers = request.getProductNumbers(); List<Product> products = findProductsBy(productNumbers); deductStockQuantities(products);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registeredDateTime); Order savedOrder = orderRepository.save(order); return OrderResponse.of(savedOrder); } ... private static List<String> extractStockProductNumbers(List<Product> products) { return products.stream() .filter(product -> ProductType.containsStockType(product.getType())) .map(Product::getProductNumber) .collect(Collectors.toList()); } private Map<String, Stock> createStockMapBy(List<String> stockProductNumbers) { List<Stock> stocks = stock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stockProductNumbers); return stocks.stream() .collect(Collectors.toMap(Stock::getProductNumber, s -> s)); } private static Map<String, Long> createCountingMapBy(List<String> stockProductNumbers) { return stockProductNumbers.stream() .collect(Collectors.groupingBy(p -> p, Collectors.counting())); } 위 상황처럼 createOrder()메서드가 아래 private 메서드를 모두 호출 하므로 createOrder() 메서드만 테스트하고 나머지 메서드는 테스트를 안 해도 되는건가요?질문의 요지는 private이냐 아니야가 아니라 특정 메서드에서 다른 메서드를 모두 호출한다면 특정 메서드만 테스트를 해도 되는지 아니면 각각의 메서드도 테스트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 반환값 질문
프론트랑 협업 하실 때, 서비스 로직을 먼저 만드는게 아닌 반환값을 먼저 준다고 하셨는데(?) 예를 들어 어떻게 주시는지 궁금합니다. 하드코딩으로 그냥 데이터를 임의로 입력해주시는건지 예시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컨트롤러, 서비스, 레포지토리에서 어떤식으로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DTO -> 엔티티, 엔티티 -> DTO 과정에서의 빌더 패턴과 정적 팩토리 메서드 사용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DTO -> 엔티티, 엔티티 -> DTO 과정에서의 빌더 패턴과 정적 팩토리 사용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를 했는데 제가 정리한 방식이 타당한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DTO -> 엔티티엔티티의 생성자에 빌더 패턴을 적용합니다.외부에서 엔티티를 생성하려면 빌더 패턴을 사용하여 엔티티를 생성합니다. 예를들어 서비스 레이어에서 엔티티의 빌더 패턴을 사용하여 DTO를 엔티티로 변환하는 작업을 가집니다.엔티티쪽에서 DTO를 엔티티로 변환하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가지지 않는 이유 변화가 심한 DTO에 엔티티가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객체 생성에 빌더 패턴만 적용했습니다. 엔티티 -> DTODTO쪽에서 생성자에 빌더 패턴을 적용합니다.또한 엔티티 -> DTO로 변환하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만드는데 이때 DTO 객체 생성은 DTO쪽에서 정의한 빌더 패턴을 적용합니다.DTO는 엔티티에 의존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빌더 패턴도 사용하고 정적 팩토리 메서드도 사용하여 DTO 객체를 생성했습니다.이 둘을 같이 사용할 경우 빌더 패턴과 정적 팩토리 메서드 장점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2가지 모두 사용하여 DTO 객체를 생성하도록 했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ervice dto를 만드는 대신 도메인 객체를 생성하는 전략은 별로인가요?
안녕하세요. PresentationLayer 테스트(2) 마지막 부분에 service layer용 dto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presentation layer와 분리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렇다면 presentation Dto -> service Dto -> domain으로 변경이 이루어질 것 같은데요..혹시 컨트롤러에서 바로 도메인 객체로 바꿔서 presantatio Dto -> domain 구조로 바꾸는 것은 좋지 않은 아키텍처일까요 ???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 43분 35초쯤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OrderResponse에서 of 메서드 부분에 빌더 패턴과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같이 쓰는걸로 이해를 했습니다. 저는 빌더 패턴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것과 정적 팩토리 메서드로 객체를 생성하는게 결이 약간 다른(?) 느낌으로 이해를 해서 이렇게 같이 써도 상관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yml 프로파일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spring: profiles: default: local datasource: url: jdbc:h2:mem:~/cafeKioskApplication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sername: sa password: jpa: hibernate: ddl-auto: none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 (2.5~) Hibernate 초기화 이후 data.sql 실행 h2: console: enabled: true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test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sql: init: mode: never 아래와 같이 default: local로 설정하면 on-profile: local로 부분이 실행된다는 걸까요?spring: profiles: default: local ...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 하나의 파일에 local 관련 yml, test관련 yml을 작성하면 yml 파일이 굉장히 비대해질꺼 같은데 실무에서도 하나의 yml에 전부 집어넣는지 아니면 yml을 분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부분은 구분 지을려고 그냥 넣은건가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도메인 레이어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우빈님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도메인 레이어에 Repository를 넣으셨는데 도메인과 Repository를 같이 두신 이유가 있으신가요?현재 도메인 모델과 Jpa Entity를 동일하게 가져가고 있는데 이로인해서 겪으신 문제는 없으신가요? 엄격한 DDD를 위해서라면 도메인 모델을 JPA 엔티티로 쓰는 것이 아니라 JPA 엔티티에 Convert 메서드를 만들어서 처리하고 있더라구요. 이에 대한 우빈님의 생각이 듣고 싶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 2분 40초 부분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강의 2분 40초쯤에 "개발하면서 고민했던거를 테스트 코드에 녹여낸다." 이 부분에 대해 궁금증이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통해서(예외 케이스도 짯다면) 다양한 케이스들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에 녹여낼 수 있다.구현 로직을 테스트 코드로 테스트 하면서 살펴 볼 수 있기에 구현 로직에 대해 고민 했던 부분도 담아낼 수 있다.이렇게 이해를 했는데 맞게 이해를 한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코드 순서 질문
강의를 듣다 궁금한게 생겼습니다.보통 API 개발을 할 때, 컨트롤러단 부터 완성이 되고 나머지 서비스나 영속성 계층 로직이 완성 되는것 같은데 테스트 코드 순서를 어떻게 가져가시나요 ?강의에서는 영속성 -> 서비스 -> 컨트롤러 순으로 테스트가 진행 되는데 이 순서대로 하시나요 ?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pringBootTest 사용 이유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Persistence Layer에서 @Mock 대신 @SpringBootTest를 사용해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리소스가 더 사용되면서 테스트가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지 않나요?같은 이유로, Business Layer에서 @Mock과 @InjectionMocks으로 단위테스트를 진행하는 대신, @SpringBootTest로 통합테스트를 선호하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SpringBootTest를 사용해도 큰 단점은 없는걸까요?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실습 코드 커밋
커밋을 강의 중간에 계속 하던데 깃허브에는 커밋이 한개밖에 없네요 어떻게 알수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given - when - then 구조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Test void remove() {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Americano americano = new Americano(); cafeKiosk.add(americano); assertThat(cafeKiosk.getBeverages()).hasSize(1); cafeKiosk.remove(americano); assertThat(cafeKiosk.getBeverages()).isEmpty(); }저는 given은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이런식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when은 cafeKiosk.add(americano); 와 같이 실제 메서드를 사용하는 단계then은 assertThat(cafeKiosk.getBeverages()).isEmpty(); 와 같이 실제값과 기대값을 검증하는 단계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제가 given - when - then에 대해 위와 같이 이해를 했는데 맞게 이해를 한건지 궁금합니다.먼가 깔끔한(?) 코드는 given - when - then이 딱딱 나눠져야 하는건지 (객체 생성은 given 쪽에 몰아두고 메서드 사용은 when쪽에 몰아두고 검증은 then쪽에 몰아두는) 궁금합니다.하나의 단위 테스트에서도 given - when - then 의 흐름이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나요? 전체적인 하나의 흐름만 존재하는 건지 아니면 단위 테스트 내에서도 여러 흐름이 존재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UserEntity 메서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Entity 클래스에 있는 from 메서드는 static, toModel 메서드는 그렇지 않습니다. 둘의 차이와 from 메서드를 static 으로 설정한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url pattern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urlpatterns += static(settings.MEDIA_URL, document_root=settings.MEDIA_ROOT) 이런식으로 url패턴을 만들어주면 이렇게 (^media/(?P<path>.*)$)패턴이 생기는거 같고 그 다음 views.py에서 해당 url을 처리할 로직을 만들어야하는걸로 아는데.. 이 경우는 어째서 예외인가요?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CertificationServiceTest에서 MailSender 인터페이스가 아닌 FakeMailSender를 이용하는 것
현재 CertificationServiceTest를 할 때 MailSender를 주입받는 것이 아닌 FakeMailSender를 주입받아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MailSender를 만든 이유가 의존성을 역전시키기 위해서 만든 것인데 FakeMailSender를 사용하게 되면 의존성 역전 원칙이 적용된 것이 아니지 않나요???FakeMailSender는 mock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구현체이니까 MailSender를 사용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요??그냥 테스트 목적으로 필드 값들이 잘 전달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관이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MailSender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면 검증 부분에서 다운 캐스팅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은 건가요???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레이어드 아키텍처 개발에 대하여
섹션 6 진화하는 아키텍처의 3번째 강의인 핵사고날에 대한 사견 강의 중 8분 9초에 강사님께서 시스템이 명확할 때, 추상화가 너무 많이 되어있다면 쓸모없는 구역이라고 말씀하시고 Spring/JPA/RDB 이 3개를 쓸게 명확하다면 레이어드 아키텍처로 개발하라고 말씀하셨는데 그럼 기술 스택이 명확한 상황이라서 레이어드 아키텍처로 개발을 시작하게 된다면 전체적인 강의 통틀어서 말씀하셨던 의존성 역전, JPA에 종속적인 문제, 도메인 중점 개발 이런 것들이 필요 없어지게 되는걸까요?레이어드 아키텍처 개발이든 핵사고날 아키텍처로 개발을 하든 도메인을 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존성 역전으로 인한 추상화나 그로 인한 테스트 작성이 쓸모가 없어지게 되는걸까요?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BDDMockito의 when을 사용한 코드가 given 절에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섹션3 - 테스트추가하기: h2를 이용한 service 테스트 에서UserService의 create 를 테스트하기 위해 Mock으로 주입된 JavaMailSender의 send를 다음과 같이 given 절에 추가하셨습니다.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0-09-29-compare-mockito-bddmockito/에 따르면 BDDMockito는 given-when-then 구조의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를 진행할 때, 시나리오에 맞게 테스트가 읽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라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저는 해당 코드를 when 절에 추가하였는데, 다른 분들은 어떤 의견이신지 궁금합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