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인프런 내 깜짝 선물 출현 중🎁

[인프런 워밍업 클럽 3기] PM/PO 2주차 발자국

image

  1. 학습 내용

-고객 리서치를 하는 이유는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임.

-의사결정을 위한 리서치 설계

1) '해야 할 의사결정' 정의하기

2) '알아야 하는데 모르는 것' 정의하기

3) 적합한 리서치 방법 계획하기

4) 리서치 수행 계획 구체화하기

 

-심층 인터뷰의 용도

1) 고객의 문제 확인 등

2) 다양한 상황에 활용(기회 발견, 가설 확인, 문제나 니즈 확인)

-심층 인터뷰의 한계

1) 기억에 의존하여 얘기하므로 오랜 시간이 지날수록 틀린 이야기를 할 가능성 높음

2) 솔직하게 이야기하지 않을 가능성 있음

-인터뷰 인원

10명에서 시작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충분한 지식을 획득했다고 판단되면 인터뷰 마치기

-인터뷰 설계

1) 사업 질문-> 리서치 질문-> 인터뷰 질문 순으로 만들기

2) 구체적인 상황, 경험, 행동 질문

3) 멘탈모델 파악하기

-인터뷰 가이드 만들기

 

-사용성 테스트 하는 방법

1) 성공적인 프로덕트의 조건: Valuable, Usable, Feasible, Viable

2) 유저가 사용, 이해, 기능을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

-사용성 테스트 시기

1) 새로운 제품이나 기능을 만들 때, 앱 리디자인, 기존 기능 개선 시

2) 엔지니어들이 작업하기 전

-사용성 테스트 인원

5명 정도면 충분, 여러 유저 그룹이 있는 경우 더 많은 인원 필요

-사용성 테스트 방법

1) 태스크와 질문을 섞기

2) 오프라인, 원격, Unmoderated Test 등이 가능

3) 녹화

 

-PM의 데이터 활용

1) 현황 파악하기

2) 패턴 찾아보기

3) 미래 예측하기

-크게 볼 때 아래와 같음

1) 지표를 이용해 우리 사업의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기

2) 데이터를 깊이 들여다 봐서 인사이트 찾기

3) 실행하기 전에 타당성을 미리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세우기

4) 실행한 후, 결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5) 상관관계 찾아내기

 

-PM의 데이터 역량 쌓기

1) 데이터 축적 관련 역량: 어떤 데이터를 축적할 것인지 정의하고, 그 데이터를 어떤 형태, 어떤 이름으로 축적할지 정의하기

2) 데이터 활용 역량: 어떤 의사결정이 필요한지 정의, 의사결정을 잘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정의,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기록하면 좋을지 나중에 분석하는 상황을 상상-> 지표 이해하기, 데이터 분석 역량, 툴 사용 역량

 

  1. 회고

PM으로서 고객과 데이터에 대해 어떻게 전문성을 쌓아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한 주였다. 고객 리서치를 하는 목적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함이므로 이 부분을 유념해서 전체 고객 리서치를 진행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사업 질문-> 리서치 질문-> 인터뷰 질문 순으로 설계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는데 단계별로 질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PM으로서 데이터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많이 이야기를 들어왔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게 되어 좋았다. SQL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았고, PM의 역할이 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신기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