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인프런 내 깜짝 선물 출현 중🎁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PM/PO 2주 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PM/PO 2주 차 발자국

2주 차 학습 내용

  • 섹션 3. 고객에 대한 전문성 쌓기

    • 고객 전문가가 되기 위한 유일한 방법, 고객을 직접 만나기

      • 중간에 누군가를 끼지 않고 직접 고객을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고 관찰해야 한다.

    • 고객리서치 설계 접근법

      • 목적 설정이 중요하다.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목적.

    • PM이 고객을 파악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 1. 심층 인터뷰 하는 법

      • 고객의 '문제'를 파악하기에 좋은 리서치 방법

      • 의사결정의 근거로서 활용

    • PM이 고객을 파악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 2. 사용성테스트

      • 사용성 테스트는 언제하면 좋은지, 진행 방법

         

  • 섹션 4.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 쌓기

    • PM은 데이터를 활용해서 어떤 일들을 하나

      • 데이터를 비즈니스에 활용

    • PM으로서 데이터 역량을 어떻게 쌓을 수 있나

      • 의도를 갖고 데이터를 정의


2주 차 학습 회고

  • 스스로 칭찬하고 싶은 점

    • 출퇴근길에 강의를 열심히 수강한 점

  • 아쉬웠던 점 / 보완하고 싶은 점 / 다음 주에는 어떻게 학습할지

    • 아쉬웠던 점과 보완하고 싶은 점은 없고, 다음 주에도 열심히 💪🏻💪🏻💪🏻


2주 차 미션 해결 과정

  • 어떤 관점에서 접근했는지 /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무엇이었는지 /

    왜 그런 식으로 해결했는지 / 미션 해결에 대한 회고

    • 2주 차 미션은 “고객 조사 설계하기”였습니다. 제가 맡은 프로덕트의 고객 조사 계획을 세워보는 것이였는데요. 조사 주제를 설정하고, 어떤 사람들을 어떤 방법으로 조사할지, 어떤 질문을 할지 설계해 보고, 인터뷰 질문지까지 만드는 과정이었습니다.

       

    • 조사 주제 설정부터 조사 대상 선정, 조사 방법 선택, 그리고 질문지 작성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했습니다.

    • 제가 진행하는 프로덕트처럼 낯선 분야일수록, 단순 설문이나 지표 분석만으로는 사용자가 느끼는 심리적 장벽이나 잠재된 기대를 충분히 드러낼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심층 인터뷰 방식을 주된 리서치 수단으로 삼았습니다.

    • ‘사업 질문 → 리서치 질문 → 인터뷰 질문’으로 이어지는 가이드를 바탕으로 접근하니, 막막함 없이 논리를 체계적으로 잡아갈 수 있었고, 인터뷰 결과 역시 비즈니스 의사결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 또한, 모집 방법과 사전 질문을 통한 필터링 기법까지 배움으로써 원하는 타깃을 구체적으로 선정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전체 리서치 방향을 제가 의도한 대로 이끌어갈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