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elasticbeanstalk에 배포
elasticbeanstalk에 배포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뜹니다. 강사님께서 올려주신 linux2 버전 소스들을 참고했습니다. dockerfile과 docker-compose.yml 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elasticbeanstalk가 docker-compose 파일을 토대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컨테이너를 생성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구글링을 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진도를 못나가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ㅠㅠㅠ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도커 yarn install
#0 10.10 error @graphql-tools/merge@9.0.0: The engine "node" is incompatible with this module. Expected version ">=16.0.0". Got "14.21.3"#0 10.10 error Found incompatible module.#0 10.10 info Visit https://yarnpkg.com/en/docs/cli/install for documentation about this command. ------Dockerfile:10--------------------8 | COPY ./yarn.lock /myfolder/9 | WORKDIR /myfolder/10 | >>> RUN yarn install11 |12 | COPY . /myfolder/--------------------ERROR: failed to solve: process "/bin/sh -c yarn install" did not complete successfully: exit code: 1ERROR: Service 'my-backend' failed to build : Build faileddocker-compse bulid 했을때 에러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카프카 컨슈머에서 본문과 같이 출력되는데,
/14523769<;B@C8:ED?A=>FKHLOGMNQRISJPTWZ^XUb_`]a\[YVd 소스코드 내에서 완전히 동일하게 따라했는데 왜 이렇게 나타나는지 혹시 아시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디폴트 아바타 이미지 url에서 404 에러가 뜹니다.
https://www.gravatar.com/avatar?d=mp&f=y 에서 404 에러가 뜨네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안녕하세요,선생님 강의를 보며 열심히 백엔드 공부중입니다.혹시 포트폴리오 과제같은 경우는 프론트엔드 코스도 봐야 하나요? 아니면 백엔드 커리큘럼 한에서 만들기가 가능할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Node.js를 처음 깔고 npm init을 해주는데 에러발생
제가 자바를 사용하다보니 node가 처음이라서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npm init에 대한 에러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Docker Compose Volumes - postman 조회 오류
"Docker Compose Volumes" 강의를 통해 local의 코드를 수정하면 docker 내 image가 nodemon으로인해 refresh되는 것을 cat 명령어로 파일을 열어 확인했습니다.그런데 코드를 변경 후 13:54에 나온것처럼 local의 콘솔창에 refresh에 대한 로그가 나타나지를 않으며,local에서 postman으로 확인할 때도 코드가 변경되지 않은 것처럼 작동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apply method가 자꾸 성공이 됩니다(Redis incre 적용전)
안녕하세요 .. 위 부분에서 apply메소드는 raceCondition으로 인하여 정합성이 어긋나야하는데왜 자꾸 assertEquals가 100으로 되며 성공하는걸까요.. apply에 Thead.sleep(10)을 넣어도 ExcutorService thread 개수를 1로 하여고아니면 requestCount 개수를 1000으로 늘려도 무조건 성공이 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wsl2를 사용하여 windows에 ubunto20.04설치
아직 프리캠프부분 수강중인데혹시 완전히 운영체제를 지우지 않고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이후 진도를 나가는데 있어 문제가 생기나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그럼 gradle에 redis: host: 와 port: 는 어떤 역할인 건가요?
다른 예제들을 보면spring: redis: host: localhost port: 6379이런식으로 셋팅해서 사용하던데왜 여기에는 이런게 필요가 없는 건가요?처음 접해봐서 모르겠씁니다ㅠㅠ..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강사님, ARM계열의 CPU 사용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 모르겠습니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 모르겠습니다.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 예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 안녕하세요 조훈님, 강의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를 너무 잘 듣고 CKA를 목표로 해당 강의도 수강하려는 학생입니다. 먼저 질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강의 소개에서 M1,M2 와 같은 ARM 계열의 CPU는 실습이 불가능하다고 하셨는데, 혹시 그 이유에 대해서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실습을 진행하면서 에러가 많이 발생해서 그에 대한 대처를 일일이 하기 힘들다 같은 이유일까요..? 아니면 쿠버네티스가 arm 계열의 cpu에선 잘 작동하지 않는것이 이유일까요..?제가 노트북을 맥북으로 구매를 하려고해서요.. 앞으로 계속해서 개발쪽에서 일하면서 쿠버네티스를 계속 접할 것 같은데, 혹시 후자의 이유라면 고민을 더 해야할 것 같아서요ㅠㅠ 답변 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강의 자료는 없을까요?
강의 자료는 없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다대다 관계에서 productTags의 타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이되고 있습니다. (myERD프로젝트하는데 거의 일주일 걸린것 같습니다 ㅎㅎ)섹션29 10-8 다대다 api설계에서 productTags에 대한 질문드립니다.아래와 같이 tags을 productTags에 넣어서 리턴을 해주는 상황입니다.그런데 여기서 ...prevTags와 ...newTags.identifiers의 타입이 서로 다른것 같아서 다음과같이 콘솔로 찍어 보았습니다. 배열요소의 3번째까지가 ...prevTags에 담긴 값인데 저렇게 리턴하면 타입관련에러나 DB에 저장이나 서로 연결이 안될줄 알았는데 강의와 같이 잘 작동하였습니다.그래서 아래와 같이 productTags의 타입인 ProductTag[]도 확인해보았는데도 잘 이해가 안갑니다제생각에는 prevTags에서 id만 뽑아낸 객체배열을 새로 정의한 다음에 스프레드시켜서 넣어주어야 할것같은데, 해보니 둘 다 결과는 같네요... 제가 어떤 걸 놓치고 있는 걸까요?사족 : 그런데 이 문제를 생각하는 도중에 힌트를 얻어서 update에서 에러나는 숙제를 해결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http 통신 과제 연습
http 과제 연습 graphql-API 문제에 https://practice.codebootcamp.co.kr/graphql 이 안들어가지는데 어디서 해야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typeORM Many to one 관계설정
안녕하세요 typeORM 관계설정 중에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공식문서에 나온 코드를 보면 ManyToOne 데코레이터 안에 두 가지 인자가 있는데 앞에 있는건 강의에서도 작성하지만 두번 째인자는 생략이 가능한 것 같네요.. 혹시 두번 째 인자는 OneToMany를 작성할 때도 생략이 가능한가요?그리고 혹시 OneToMany로 받아오는 배열을 배열말고 count해서 숫자로 칼럼에 넣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힌트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Entity() export class Photo {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Column() url: string @ManyToOne(() => User, (user) => user.photos) user: User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Ubuntu 듀얼부팅
안녕하세요 windows 사용자인데 램 24기가라서 듀얼부팅 메뉴얼대로 우분투 설치했습니다 (재부팅하는데 os 윈도우로 할거냐 우분투로 할거냐 선택창이 안떠서 엄청 헤매다가 유투브 찾아보고 결국 해결했네요 ㅠㅠ) 수업자료에 있는 20.04.4 LTS 버전은 안보여서 비슷한 버전으로 20.04.6 LTS로 설치했는데 문제 없겠죠? 그리고 파티션 할당할 때 c드라이브 용량을 최대한 줄여본다 해서 40기가 정도 우분투 환경에 할당해줬는데 충분할까요?빠른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Could not find a required file. 에러
빌드는 잘 된 것 같은데 실행시 오류가 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ec2 도커 pgadmin 배포 에러
안녕하세요 aws ec2 배포중 docker-compose up 시 동일 에러가 계속 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ㅠㅠ...env 파일 따로 루트폴더에 생성해서 아이디 패스워드 작성해주었습니다오류메세지.envdocker-compose.yml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useSWR 자동완성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섹션 8에 유저페이지 생성하기 부분을 진행 하던 중 useSWR을 입력 시 툴팁으로 useSWR에 대한 추론이 나오시는데 저는 나오지를 않습니다ㅠㅠ.. useSWRConfig 말고는 나오지 않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라이브러리는 제대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k get svc 명령을 통해 container port를 확인할 수 있나요?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안녕하세요. 4.3과 4.4를 실습하면서 nodeport를 기반으로 loadbalancer가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k get svc lb-nginx -o wide 명령을 통해 정보를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SELECTORlb-nginx LoadBalancer 10.96.88.133 192.168.2.11 1000:30001/TCP 105s app=deploy-nginxNodePort 가 30001로LoadBalancer Port가 1000으로 확인은 되는데요.컨테이너의 target port는 조회가 안되는 듯 합니다. 이는 -o yaml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외에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