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ember.get 함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중 아래 부분에서 의문이 들어 질문 남깁니다.pstmt.setString(1, member.getMemberId()); pstmt.setInt(2, member.getMoney());. 이 부분에서 저희가 만든 member클래스에는 get 함수를 넣지 않았는 데 get 함수를 어떻게 쓸 수 있는 걸까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단위 테스트 구성 시 다른 오브젝트를 직접 구성해주는 과정의 용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중에 HelloControllerTest를 구현 중 HelloService를 직접 구성해주는 과정을 teststop이라고 부른 것인가요?강의 정말 유익하게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에 관한 질문 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커넥션과 관련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해당 강의에서 커넥션이 여러번 반복되어 나오는데커넥션 개념이 정리가 잘 되지 않습니다.애플리케이션 로직이 커넥션을 조회하면 DB 드라이버에서DB와 TCP/IP 커넥션 연결을 한다고 나옵니다.그 후 다다음 단계에서 커넥션이 생성 완료되었다고 나오는데커넥션을 연결하는 것과 커넥션이 생성되는 것이 모호하게 이해가 잘 되질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 후 DB드라이버는 커넥션을 반환한다고 나오는데 이것은 커넥션 객체를 말하는 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PPT에 오타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2강 커넥션 풀과 데이터 소스 챕터에서11 페이지의 상단에 이부분... 쓰레드 풀이 아니라 커넥션 풀 아닌가요?쓰레드 풀은 지금 내용이 아닌거 같아요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공통 예외처리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예외를 던질 때 cause 예외를 함께 넘기니까공통 예외처리하는 부분에서는 Exception으로 예외를 잡아서 로그를 남기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궁금한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ransactional은 수동커밋으로 변경되나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이체중 예외발생 로그
[질문 내용]테스트를 돌렸을때 이런 깨지는현상은 어떻게 변경할수있을까요? 세팅에서 UTF-8로 변경해보았지만 변경이 안되네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진행과정중 로그 표시
김영한 선생님과는 다르게 너무 로그가 간단하게 나오고 좌측에 Test Results도 열어봐도 아무것도 없다고 나옵니다 왜그럴까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8분쯤 나오는 첫번째테스트 오류
[질문 내용]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유를 모르겠네요 ㅠㅠ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web.xml -> dispatcherServlet 질문
안녕하세요.강의에서 조금 벗어난 주제일 수도 있는데, 기존 레거시 프로젝트를 스프링부트로 전환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web.xml의 .do를 spring boot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너무너무 궁금합니다.현재 아래와 같이 변경해 봤는데 전혀 작동을 안 합니다 ㅠㅠ @Configuration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ervletConfig { private final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dispatcherServlet.setThreadContextInheritable(true); } @Bean public ServletRegistrationBean<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Registration() { ServletRegistrationBean<DispatcherServlet> registration = new ServletRegistrationBean<>(dispatcherServlet, "/", "*.do"); registration.setLoadOnStartup(-1); registration.setName(DispatcherServletAutoConfiguration.DEFAULT_DISPATCHER_SERVLET_REGISTRATION_BEAN_NAME); return registration; } @Bean public DispatcherServletPath dispatcherServletPath() { return () -> "/"; } } spring 4 버전의 web.xml 에서 url-mapping을 / , *.do 로 설정 해 놨는데, 프로젝트에서 @RequestMapping을 사용할땐 .do를 따로 적지 않아도 .do 요청을 알아서 매핑해 주던데, 이 부분도 정확히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ex) login.do --> @RequestMapping("/login").do 설정을 2주째 보고 있는데 진척이 없네요 .....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ransactional 위치와 적용에 대하여
[질문 내용] @Transactional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bizLogic(fromId, toId, money); } public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안녕하세요. 강의 코드와 같이 accountTransfer을 실행했을때 트랜잭션이 잘 작동되어 오류가 발생했을때 롤백이 실행됩니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이 코드 또한 그렇습니다.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bizLogic(fromId, toId, money); } @Transactional public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하지만 이 코드에서 accountTransfer을 실행했을때 트랜잭션이 작동하지 않습니다.이유가 무엇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능과 스프링 빈의 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렌잭션 AOP를 사용하면 스프링 부트에서 관련된 로직을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는 설명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개발자들이 직접 컴포넌트 스캔이나 @Controller 와 같은 애너테이션을 사용해서 등록하는 빈들과 별개로 트렌젝션과 같은 부가 가능또한 빈으로서 관리가 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인 걸까요? 어떻게 보면 당연히 등록되어야지! 라는 생각도 들지만, 스프링 빈으로 등록이 되어야하는 객체에 기준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예상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1. 개발자가 서비스 로직을 만들기 위해 개발되는 모든 것은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여 싱글톤으로 용이하게 관리하며 자동의존 주입을 받는다. 2. 데이터 접근 기술이나 트랜잭션 같이 스프링에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것을 사용하려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서 사용해야한다. 2-1. 다만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기능적인 기술은 스프링 부트를 사용시 자동으로 등록해준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log에 빨간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log에 빨간줄이 그어지고 test를 돌려도 log 기록이 남지 않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ybatis에서 Connection의 생명주기 및 Pooling Proxy객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목과 같습니다.Mybatis에서의 Connection 생명주기와커넥션풀을 연동했을때의 Connection 생명주기가 궁금합니다.Mybatis에서 커넥션풀을 적용한다고 가정합니다.만약 하나의 기능 즉, 하나의 쓰레드 단위로 쿼리를 호출하는 매퍼 메소드를 4번 호출한다면 이때 커넥션은 Mapper를 통해 호출하는 DAO 메소드 단위로 Pool에서 4번 꺼내는것인지?만약 그렇다면, 4번 꺼내는 객체들이 앞서 배운 내용처럼 처음 Pool에서 꺼내서 사용하고 반환한 동일한 Connection 객체를 다시 꺼내어 재사용 하는건지 궁금합니다!또한 Transcation Rollback 되는것도 동일한 Connection, 동일한 Session에 의한것과 연관성이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제가 이해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커넥션풀을 사용하면 커넥션풀에 각각 다른 커넥션이 생성됨(10개)하나의 커넥션당 하나의 세션이 생성되며, 커넥션의 생명주기에 종속되어 있다.세션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을 관리한다.커넥션 풀을 사용하면 하나의 스레드내에 각각의 쿼리에 대한 작업 단위가 동일한 커넥션을 반환받는다.커넥션이 동일하다면 세션도 동일하므로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관리된다?이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 생성
초기에 트랜잭션이 시작되면 커넥션은 누가 얻어오는건가요?Repository에서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실행되고 doGetConnection 메서드에서ConnectionHolder conHolder = (ConnectionHolder)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getResource(dataSource); Connection con = fetchConnection(dataSource);이렇게 얻어오는거같은데 트랜잭션 동기화매니저가 커넥션을 얻어오고 이 커넥션을 트랜잭션 매니저가 사용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실제 테스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현재는 h2 database를 사용해서 구현하는 테스트인데 실제로 테스트 할 때 데이터베이스를 건들면 문제가 생길 것같습니다. 그럴 때에는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나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http api test
http -v 명령어가 작동이 안되는데 혹시 제가 잘못하고 있는 것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ataSource와 트랜잭션 매니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해당 강의를 들으면서 DataSource 와 트랜잭션 매니저의 역할이 좀 헷갈립니다. 강의 중에는 트랜잭션 매니저는 데이터소스를 통해 커넥션을 생성하므로 DataSource가 필요하다는 말씀과 PDF에도 그렇게 적혀있는데요. DataSource는 커넥션 풀이나 DriverManagerDataSource 같은 구현체를 다루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전 강의들로 통해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구현체는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체가 들어오는 것이고요. [질문 내용] 근데 왜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하면서 한번 더 인자를 트랜잭션 매니저로 넘겨주어야 하는 것일까요..? 아래 코드입니다.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그리고 트랜잭션 매니저는 추상화와 동기화를 진행한다고 했는데 이미 추상화는 DataSource도 되고 있는 것 같은데 파라미터를 통한 동일한 커넥션 넘겨주는 부분 때문에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하는 것일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SQLExceptionTranslator DI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1. 선생님 방식 코드 (MemberRepositoryV4_2)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rivate final SQLExceptionTranslator exTranslator; @Autowired public MemberRepositoryV4_2(DataSource dataSource){ this.dataSource = dataSource; this.exTranslator = new SQLErrorCodeSQLExceptionTranslator(dataSource); } 1-2. 선생님 방식 코드 (MemberServiceV4Test)@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berRepositoryV4_2(dataSource) } } 2-1.제가 생각한 방식 코드 (MemberRepositoryV4_2)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rivate final SQLExceptionTranslator exTranslator; @Autowired public MemberRepositoryV4_2(DataSource dataSource, SQLExceptionTranslator exTranslator) { this.dataSource = dataSource; this.exTranslator = exTranslator; } 2-2.제가 생각한 방식 코드(MemberServiceV4Test)@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Bean public SQLExceptionTranslator sqlExceptionTranslator(){ return new SQLErrorCodeSQLExceptionTranslator(dataSource);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berRepositoryV4_2(dataSource , sqlExceptionTranslator()); } }안녕하세요 "스프링 예외 추상화 적용" 관련 강의보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지금까지 코드 설계 시에 수동 빈 등록을 하는 경우 해당 영역은 설정 영역으로 간주되어, @Configuration을 사용하는 설정 영역 / 애플리케이션 영역 으로 나누어서 설계하는 것이 객체지향적인 관점에서 훨씬 좋은 코드라고 이해하고 설계해왔습니다. 즉 TestConfig와 같이 수동 빈 등록을 해주는 설정 영역 코드가 테스트 상황이 아닌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저는 2-2. 제가 구현한 코드 처럼 SQLErrorCodeSQLExceptionTranslator을 설정 영역(TestConfig)에서 수동 빈 등록을 해주고 2-1.제가 구현한 코드 처럼 리포지토리(MemberRepositoryV4_2) 에서 해당 객체를 생성자의 파라메터로 DI 받는 형태로 구현하였습니다. 하지만 1-1. 선생님 코드에선 SQLErrorCodeSQLExceptionTranslator 객체를 직접 리포지토리에서 생성하여 변수에 주입하고 1-2. 선생님 코드 처럼 설정 영역에선 파라메터의 변경 없이 그저 구현체만 MemberRepositoryV4_1 에서 MemberRepositoryV4_2로 갈아끼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 질문]선생님께서 1-1 및 1-2 와 같이 코드를 구현하신 이유가 1-2의 설정 영역 코드(TestConfig)에서 서비스에선 MemberRepository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니, 파라메터의 변경 없이 그냥 구현체를 MemberRepositoryV4_1 => MemberRepositoryV4_2 로 갈아끼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시기 위해 하신 건지 아니면 SQLErrorCodeSQLExceptionTranslator 객체의 의존관계 주입은 선생님 방식대로 하는 게 맞는 건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