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CRUD 구현 오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게시글 CRUD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yml 설정은 강의랑 똑같이 해줬습니다.서버 실행시키면java.lang.NullPointerException: Cannot invoke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convert(java.sql.SQLException, String)" because the return value of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IsolationDelegate.sqlExceptionHelper()" is null at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JdbcIsolationDelegate.delegateWork(JdbcIsolationDelegate.java:116) ~[hibernate-core-6.5.2.Final.jar:6.5.2.Final]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getJdbcEnvironmentUsingJdbcMetadata(JdbcEnvironmentInitiator.java:290) ~[hibernate-core-6.5.2.Final.jar:6.5.2.Final]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123) ~[hibernate-core-6.5.2.Final.jar:6.5.2.Final]이런 오류가 발생하고 테스트 실행시키면Invalid status line: "ÿ900" 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DefaultRequestBodyUriSpec.createResourceAccessException(DefaultRestClient.java:575) 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DefaultRequestBodyUriSpec.exchangeInternal(DefaultRestClient.java:498) at org.springframework.web.client.DefaultRestClient$DefaultRequestBodyUriSpec.retrieve(DefaultRestClient.java:460) at kuke.board.article.api.ArticleApiTest.create(ArticleApiTest.java:24) at kuke.board.article.api.ArticleApiTest.createTest(ArticleApiTest.java:14)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Caused by: java.net.ProtocolException: Invalid status line: "ÿ900" at java.net.http/jdk.internal.net.http.HttpClientImpl.send(HttpClientImpl.java:962) at java.net.http/jdk.internal.net.http.HttpClientFacade.send(HttpClientFacade.java:133) at org.springframework.http.client.JdkClientHttpRequest.executeInternal(JdkClientHttpRequest.java:102)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구글링 해보고 권한 설정이랑 인코딩 설정도 다 했는데 도저히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 추가)server: port: 9000 spring: application: name: kuke-board-article-service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127.0.0.1:3306/article username: root password: root jpa: database-platform: org.hibernate.dialect.MySQLDialect open-in-view: false show-sql: true hibernate: ddl-auto: noneyml 설정입니다. 추가)artile의 build.gradle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 implementation project(':common:snowflake') }이 부분은 강의 코드 보면서 그대로 쳤어서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는 원래 있었습니다. 스프링 버전 관련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 group = 'kuke' version = '1' allprojects { java { source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21 target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21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 apply plugin: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강의에 나온 버전 그대로 맞췄습니다. DB관련아이디 root에 비밀번호 root로 하면 접속 잘 되고 DB랑 테이블도 article로 통일했습니다. MySQLDialect -> MySQL8Dialect로 변경해도 안되는데 이유를 모르겠네요!... 추가)이렇게 나오는데 USER는 본명이라 가렸습니다!.. 추가)테스트 실행시키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package kuke.board.article.api; import kuke.board.article.service.response.ArticleResponse;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Gett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Client; public class ArticleApiTest { RestClient restClient = RestClient.create("http://localhost:9000"); @Test void createTest() { ArticleResponse response = create(new ArticleCreateRequest( "hi", "my content", 1L, 1L )); System.out.println("response = " + response); } ArticleResponse create(ArticleCreateRequest request) { return restClient.post() .uri("/v1/articles") .body(request) .retrieve() .body(ArticleResponse.class); } @Getter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ArticleCreateRequest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Long writerId; private Long boardId; } @Getter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ArticleUpdateRequest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 }코드는 강의랑 똑같은데 왜그럴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article_id에 대해서
comment기능에서 comment테이블에 article_id을 shard key로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comment기능은 article기능에 뎃글을 다는 기능으로 article테이블에 article_id와 연관관계를 맺는 컬럼이 아닌건가요? 만약맞다면 article테이블에 article_id를 comment테이블에 article_id에 저장되게끔 해야 할 듯 한거 같은데 1고정값으로 넣는게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렸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Comment 엔티티 생성시 연관관계를 Long articleId로 해줌으로써 Article 엔티티와 연관관계를 맺어준것일까요?Article과 Comment는 1:N 관계로 보이는데, comment 테이블 설계 당시 Article에 대한 외래키 관리를 comment 테이블에서 안해준 이유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목록 최적화 전략설계 질문
조회용 게시글 목록 캐시가 미리 있는 상태에서 게시글이 수정이 된다면 게시글 조회 서비스에서 구독을 통해서 캐시 수정이 이뤄져야 하는걸까요?강의에서는 작성/삭제 두가지만 말해주시는거 같아서 수정인경우도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Snowflake 강의 질문입니다.
1. intelliJ java file outside of source root 에러가 뜹니다Snowflake 강의를 듣다가 질문이 생겨서 질문올립니다.강의자료에 있는 Snowflake 자료를 복사 붙여넣기 하다가 intelliJ java file outside of source root 에러가 뜹니다. 아래와 같이 시도를 해보았습니다.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3521181/java-file-outside-of-source-root-intellij 이싸이트에 나와있는IntelliJ의 오른쪽 도구 모음에서 "gradle"을 클릭한 다음 새로 고침 버튼을 클릭합니다.File > Project Structure > Modules > Sources그리고 Java 파일 디렉토리를 소스로 표시를 변경하라고 나옴. 이 방법 시도 하지만common->src로 변경했더니 IntelliJ IDEA에서 동일한 resources 디렉터리가 두 개의 모듈에서 중복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 적용 불가능현재 프로젝트 close하고 다시 open함.java버전과 스프링부트 버전 확인 build.gradle에서 버전 확인위와 같이 해결방법을 모색해봤는데 해결방법을 모르겠습니다. 프로젝트 파일 첨부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무한 스크롤 질문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갑자기 페이징 쿼리 설명하다가 다음 강의에서 무한 스크롤에 대한 설명을 하시는데요. 1.이는 분산환경에서의 페이징 쿼리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한 스크롤을 설명하시는건가요??2.아니면 단순 무한 스크롤의 장점에 대해서 설명하시는건가요??3.아니면 분산 환경에서의 페이징 쿼리의 단점으로 인해 분산 환경에서는 무한 스크롤 방식을 선호한다는 것일까요??저는 SpringDataJPA를 사용하여 페이징과 Slice를 구현해본적이 있는데 해당 기능이라던가 QueryDSL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CRUD API 설계 강의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강의 1분 47초에서 샤드를 bored id는상관 없이 articleid로 짝수면 오른쪽, 홀수면 왼쪽으로 나뉘어진건가요? 샤딩 id가 articleid와 bored id 인건가요?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처리량을 늘리기 위해서 파티션을 늘리고 컨슈머를 늘려야한다고 설명하셨는데요
안녕하세요. 처리량을 늘리기 위해서 파티션을 늘리고 컨슈머를 늘려야한다고 설명하셨는데요 파티션을 늘린다다는것은 카프카 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컨슈머를 늘린다는것은 eks 에서 본다면 pod를 더 늘린다고 보면 될까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컨슈머 서버는 서버 1개마다 컨슈머 1개만 할당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시는지 궁금합니다.(서버 1개에 5개의 토픽을 구독 vs 서버 1개당 토픽구독은 1개만)
-
미해결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24:49초 Explain 쿼리 문에서 질문드립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저는 왜 Using where과 Using Index 두개가 같이 나올까요?오로지 Using Index만 나와야 커버링 인덱스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조회했다 라고 이해했는데 Using where와 같이 나온거 보면 뭔가 MySQL 내부에서 커버링 인덱스만으로 데이터를 조회하지 못했으니 뭔가를 더 실행한 것일까요??# 5만 페이지 스킵 쿼리explain select * from ( select article_id from article where board_id = 1 ORDER BY article_id DESC limit 30 offset 1499970 ) t left join article on t.article_id = article.article_id;해당 쿼리에서는 Using where; Using index 이렇게 나옵니다.explain select * from article where board_id = 1 order by article_id desc limit 30 offset 90;해당 쿼리에서는 Usind index condition이 나옵니다저는 MySQL 쿼리문을 터미널에서 실행한게 아닌 DataGrip으로 실행 했는데 여기서 차이가 있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page값에 대해서
count 값을 구하는 로직을 보면 값이 커지면 커질수록 쿼리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상황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럴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하면될까요? 예를들어 500,000을 page값으로 설정하면 2~3초정도 걸리게 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Kafka Source Connect 사용
강사님 너무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JDBC Source Connector 예시를 잘 보았습니다. 해당 소스 커넥터의 경우 DB를 주기적으로 폴링해서 변경사항을 감지해서 DB 부담이 큰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CDC source connector에 비해)혹시 해당 방식의 커넥터는 현업에서도 메이저하게 사용하는 방식인지 아니면 단순 예시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사용자 동선에 대한 트랜잭션 문의
보통 사용자의 행동패턴은 쿠폰 발급 후 [쿠폰이 발급되었습니다]라는 메세지 이후 쿠폰을 바로 사용합니다. 현재 플로우는 pub/sub을 통한 비동기이므로 사용자의 한 트랜잭션으로 처리 되지 않을 것 같은데 위와 같은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블로그 정리 질문입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쿠케님 안녕하세요.학습하면서 정리하는 내용(키워드 등)을 블로그에 업로드해도 괜찮은지 궁금해서 질문드려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댓글 목록 조회 - 튜플 비교 시 쿼리 성능 저하
안녕하세요, 먼저 소중한 강의 만들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댓글 목록 조회 쿼리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댓글 최대 2 depth - 목록 API 설계 7:19 부분 ) 질문"튜플 비교 (a, b) > (x, y)를 사용하면 인덱스 풀 스캔이 발생하여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데, 명시적 조건 a > x OR (a = x AND b > y) 으로 분리하면 인덱스 레인지 스캔이 발생하여 쿼리 성능이 매우 빨라지는데 왜 그런 것일지 모르겠습니다.." 질문 상세테스트 환경: comment 에 약 8백만건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mysql base image: mysql:8.0.38comment table ddl-- auto-generated definition create table comment ( comment_id bigint not null primary key, content varchar(3000) not null, article_id bigint not null, parent_comment_id bigint not null, writer_id bigint not null, is_deleted tinyint(1) not null, created_at datetime not null ); create index idx_article_id_parent_comment_id_comment_id on comment (article_id, parent_comment_id, comment_id); 문제가 되는 테스트 케이스 (1: slow, 2: fast)case 1. tuple comparision (slow)explain analyze select comment.comment_id, comment.parent_comment_id, comment.content, comment.article_id, comment.writer_id, comment.content, comment.is_deleted, comment.created_at from comment where article_id = 1 and (parent_comment_id, 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 142539921307124350) order by parent_comment_id, comment_id limit 30; -- -> Limit: 30 row(s) (cost=542979 rows=30) (actual time=8620..8620 rows=30 loops=1) -> Filter: ((`comment`.comment_id,`comment`.parent_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142539921307124350)) (cost=542979 rows=4.01e+6) (actual time=8620..8620 rows=30 loops=1) -> Index lookup on comment using idx_article_id_parent_comment_id_comment_id (article_id=1) (cost=542979 rows=4.01e+6) (actual time=1.83..8251 rows=8e+6 loops=1) case 2. fastexplain analyze select comment.comment_id, comment.parent_comment_id, comment.content, comment.article_id, comment.writer_id, comment.content, comment.is_deleted, comment.created_at from comment where article_id = 1 and ( parent_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 or (parent_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 and comment_id > 142539921307124350) ) order by parent_comment_id, comment_id limit 30; -- -> Limit: 30 row(s) (cost=416 rows=30) (actual time=0.252..0.727 rows=30 loops=1) -> Index range scan on comment using idx_article_id_parent_comment_id_comment_id over (article_id = 1 AND parent_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 AND 142539921307124350 < comment_id) OR (article_id = 1 AND 142539921307124354 < parent_comment_id), with index condition: ((`comment`.article_id = 1) and ((`comment`.parent_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 or ((`comment`.parent_comment_id = 142539921307124354) and (`comment`.comment_id > 142539921307124350)))) (cost=416 rows=358) (actual time=0.232..0.705 rows=30 loops=1) 튜플 비교를 사용한 1번 쿼리에서는 index full scan 이 발생하여 ( 8백만개의 row 를 모두 스캔 ) 8초의 안좋은 쿼리 성능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반면 튜플 비교를 명시적 조건으로 분리한 2번 쿼리에서는,(a > X OR (a = X AND b > Y)))index range scan 을 통해 0.7초 이하의 빠른 쿼리 성능이 나타난 것 같아요.요약튜플 비교 (a, b) > (x, y)를 사용한 1번 쿼리에서 MySQL 옵티마이저는 왜 풀 인덱스 스캔을 선택하는 것인지,튜플 비교가 인덱스 레인지 스캔으로 최적화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원인을 찾고 있는데 잘 모르겠네요.. 힌트를 받을 수 있을까요?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해결됨대용랑 채팅 TPS에 대한 stateful 서비스 구축하기
Kafka 구동관련
Kafka를 통한 Subscribe 마무리하고, API를 통해 확인해 볼게요.-> 이 강의에서 카프카 구동시키는 명령어 알려주실수있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JPA 사용법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현재 회사에서 MyBatis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JPA에 대한 실무 경험이 없다보니 실무에서는 어떻게 JPA를 사용하는지 궁금하여 질문을 드렸습니다. 질문제가 생각할 때 이번 프로젝트는 복잡한 부분이 없어서 단순히 연관 관계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데 복잡한 실무에서 연관관계를 사용하는지 유무가 궁금하다.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일반론 기준) 거의 모든 Repository에서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을 하였는데 실무에서 native Query를 많이 사용하는지 궁금하며 QueryDsl은 실무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는 궁금합니다. ( 크게 런타임 타입 체킹이 필요가 없다면 거의 다 native Query로 풀 수 있을거 같은데 QueryDSL을 사용한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혹시 26분 30초 경에 대해서 추가적인 강의 찍으실 예정이실까요??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너무너무 흥미진진하게 보고 있었는데, 이 내용이 꼭 좀 있으면 좋겠습니다...!ㅠ 테이블을 분리한다면 테이블의 명칭은 각각 어떻게 네이밍 되는지.. 게시글이 1년 단위로 테이블이 분리된다고 했을떄, 테이블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어떤 전략이 있는지.. (아니면 직접 1년 지날때마나 만드는 것인지) 등등.. 사소한 것부터 궁금한 것이 너무 많아서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COUNT 테이블 Lock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우선 니즈에 맞는 좋은 강의를 찾아서 기분이 좋네요. 감사합니다.게시글 , 댓글 , 좋아요 수 를 따로 테이블을 만들어 관리한다는 것은 처음 알게되었고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강의에서는 비관적 락, 낙관적 락을 이용해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셨는데, 실무에서도 COUNT 테이블에 비관적 락, 낙관적 락을 많이 사용하나요 ?대규모 트래픽에서는 성능 문제로 비관적 락을 잘 사용하지 않을 것 같았거든요.낙관적 락을 사용하기에는 충돌이 많을 것 같구요.(그저 제 상상입니다. ㅎㅎ;) 의견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15일간의 빅데이터 파일럿 프로젝트
kernel:BUG 에러 관련 문의
지금 빅데이터 탐색 과정을 진행중입니.현재 3개의 가상머신 기반으로 실습중이며 server01은 가상 CPU 8개, server02와 server03는 가상 CPU 4개 그리고 메인메모리는 모두 동일하게 16기가씩 할당하였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소스가 부족한지 server01가상머신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며 진도가 잘 나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kernel:BUG: soft lockup - CPU#0 stuck for 951s!혹시 상기 에러와 관련하여 조언이 있으실지 문의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15일간의 빅데이터 파일럿 프로젝트
Oozie설치시 ShareLib업로드 에러
안녕하세요?이젠 또 Oozie설치에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슈는 ShareLib업로드 관련 에러이며 몇번이나 시도했지만 동일한 에러가 지속적으로 빌생해서 문의드리며 스크린샷은 아래에 추가하였습니다.조언부탁드리며 감사합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