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git 주소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관련 소스받을 수 있는 git 주소가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긴 작업일 경우 트랜잭션을 걸지 말아도 된다는 점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안녕하세요. 테스트 코드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긴 작업일 경우 트랜잭션을 걸지 말라고 하셨는데. 조회용 트랜잭션이 Repository 단에서 걸린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Repository의 조회 로직이 수행될 때 트랜잭션이 걸리는 건가요? 뭔가 잘못 이해한거 같기도 해서 질문합니다. 그리고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MailService { private final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private final MailSendHistoryRepository mailSendHistoryRepository; public boolean sendMail(String fromEmail, String toEmail, String subject, String content) { boolean result = mailSendClient.sendEmail(fromEmail, toEmail, subject, content); if (result) { mailSendHistoryRepository.save(MailSendHistory.builder() .fromEmail(fromEmail) .toEmail(toEmail) .subject(subject) .content(content) .build() ); return true; } return false; } } 여기서는 Transaction을 걸어줘야 하는게 맞는거 같아서.이 부분도 궁금합니다. 요약저는 서비스 Layer에서 Transaction을 걸어 db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rollback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강의에서 긴 작업들이 실제로 트랜잭션에 참여하지 않아도 되는데 -> OrderStatisticsService에서는 CUD작업이 아니니깐 Transaction을 안 걸어도 된다.?MailService에서는 Transaction을 걸어줘야 하는게 아닌가요? (Create 작업 수행)조회용 트랜잭션이 Repository 단에서 걸린다.?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MVC CRUD작업
controller테스트를 할때 mockMVC를 사용하면 DB에 CRUD 작업은 수행되지 않나요?디버깅을 해보면 각 Layer별로 동작이 수행되는거 같은데 DB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부분에서는 null이 계속 나오네요(MyBatis 사용중).또 만약 실제 프로덕션 controller처럼 모든 동작이 수행된다면 왜 "하위 Layer를 모두 mocking처리" 라고 표현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섹션5: Spring & JPA 기반 테스트] 에서 진행한 테스트는 단위테스트인가요? 통합테스트인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섹션 5까지 수강을 하고 헷갈리는 것이 있어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섹션 5에서 3개의 레이어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데 이 테스트들은 단위 테스트인지 통합 테스트인지 헷갈립니다.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봐서는 스프링 빈을 전부 로드하는 통합테스트 같기도 하면서, @WebMvc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봤을 때는 다른 레이어와 독립적인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 같아 단위테스트 같은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섹션에서 진행한 테스트는 어떤 종류의 테스트인가요? 만약 단위(혹은 통합)테스트라면 다른 종류에 있는 테스트는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아니면 이 테스트만으로 충분하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data가 isArray() = ture인 이유
ProductControllerTest에서@DisplayName("판매 상품을 조회한다.") @Test void getSellingProducts() throws Exception { // given List<ProductResponse> result = List.of(); when(productService.getSellingProducts()).thenReturn(result); // when // then mockMvc.perform( get("/api/v1/products/selling") )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jsonPath("$.code").value("200")) .andExpect(jsonPath("$.status").value("OK")) .andExpect(jsonPath("$.message").value("OK")) .andExpect(jsonPath("$.data").isArray()); }data의 타입이 List인데 isArray()로 확인되는 이유는 JSON으로 변경될 때 List타입을 Array타입으로 자동으로 변경해서 그런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안녕하세요 강사님 관련 질문은 아닌데 테스트 때문에 진도를 못 나가서 질문 하나 올립니다!!
Redis 테스트는 어떻게 진행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embedded Redis 를 사용해야 되는지,테스트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되는지 어떤 방법으로 진행해야 되는지 가르쳐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쿼리 작성시 궁금증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현재 자바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현재 마이바티스로 테스트 코드를 짜려고하는데 검증할 쿼리는 어떤 테이블의 특정 버전의 가장 높은 버전을 가져오는 쿼리로 그 특정버전으로 정렬을 시키고 top(1)을 사용해서 가져오게하는 쿼리로 짜놓은 상태입니다. 그러면 이걸 테스트를 하려고하면 셀렉트 쿼리를 하나 더짜서 그 특정버전에 max()를 사용해서 값으로 가져온 후 검증을 하는 방법이 떠오르는데요 그러면 이런 또하나의 쿼리가 생기는데 또하나의 쿼리가 잘 못 된다면 그 테스트의 경우가 잘못되는것을 말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eardown 시 @AfterEach 주의
혹시나 저와 같은 이슈를 만나셨을 분이 있으실까봐 글을 남깁니다.강의 36:36 에서 강사님께서 teardown 을 정의해주실 때 @AfterEach 를 사용해서 매 테스트가 종료될때마다 db 를 깔끔하게 지워주도록 정의해주셨습니다.해당 클래스( ProductServiceTest.class) 에서 실행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을 합니다.그러나 다른 테스트(ex, OrderServiceTest.class) 에서는 @BeforeEach 를 사용해서 teardown 을 구현했는데 이 때문에 간극이 생겨 전체 테스트 를 돌렸을때 ProductServiceTest.class 에서 에러 가 발생합니다.따라서 @BeforeEach 로 변경하여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ptional에 대한 처리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persistenceLayer 계층 테스트에서 repository 를 테스트할때 Optional<Entity> 형태로 반환하는 함수를 테스트한다고 할때 어떤식으로 테스트를 작성해주어야 되나요? 예를 들어 특정 id를 가진 멤버를 조회한다고 하면 반환값이 Optional<Member>가 될텐데 무조건 찾는 테스트를 한다면 그냥 get()을 붙여서 Optional이 아닌 객체로 꺼내도 되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JoinColumn 생략?
안녕하세요, 연관관계를 매핑할 때 @ManyToOne 쪽에 @JoinColumn을 항상 써왔는데 생략을 해도 문제가 없는것 같더라구요?그렇다면 @JoinColumn는 굳이 안써도 되는걸까요?? 마찬가지로 실무에서도 생략하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ST Docs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 실습하던중 강의와 다른 내용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Spring REST Docs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gradle의 build나 asciidoctor 태스크를 실행했는데, build 폴더에 변환된 index.html이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강의에서 사용하는 환경과 다른점은 스프링부트 3이상 버전을 사용한다는 점밖에 없고, 운영체제, 나머지 build.gradle이나 테스트 코드는 모두 동일한데, 변환된 html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추가로 build 시에 생성되는 bootJar 파일을 압축을 해제해서 보았더니 내부의 BOOT-INF/classes/static 에도 index.html 파일이 들어가있지 않았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재고 차감 시도 다른 접근법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오늘도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강사님께서 HashSet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중복을 제거하는 방법을 선택하셨지만 전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 보았습니다.상품별 counting 한 결과인 productCountingMap 을 이용해보았는데요. 이미 해당 객체는 productNumber 가 중복이 걸러진 상태로 key 값으로 잡혀있고 quantity 가 value 에 정의되어 있어서 이를 그대로 활용해 보았습니다. //상품별 counting Map<String, Long> productCountingMap = createCountingMapBy(stockProductNumbers); //재고 차감 시도 productCountingMap.forEach((key,value)->{ Stock stock = stockMap.get(key); int quantity = value.intValue(); if(stock.isQuantityLessThan(quantity)){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재고가 부족한 상품이 있습니다."); } stock.deductQuantity(quantity); });감사합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서비스단 Transactional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서비스 클래스 상단에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옵션을 두는 경우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만약 Transactional을 적용하고 싶지 않은 메서드가 있으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의 경우 외부 api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반환하는 메서드에 Transactional을 적용하지 않으려고 합니다(CQRS에 대해 말씀해주신 부분을 듣고 애초에 외부 API 호출하는 기능이 분리 되어야 하나 싶기도 드네요 ㅠㅠ)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potService { private final MapApiClient mapApiClient;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BaseEntity 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registeredDateTime 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덕분에 좋은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수강하던 도중에 궁금한 부분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BaseEntity(@CreateDate) 로 인해서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을 알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registeredDateTime 이라는 필드값을 정의한 이유가 궁금합니다.테스트코드를 통해 한층 더 검증하기 쉽게 하려는 용도로 사용하시는 걸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pring Security 적용 시 controller @WebMvcTest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를 듣고 공부하면서 실무에 적용시키고 있는 중에 두 가지 문제를 만났는데 구글링으로 해결점이 보이지 않아서 강의 내용과 관련 없지만 힌트라도 얻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Spring boot 3.x 이상 버전이고, Spring security가 적용된 프로젝트입니다첫 번째 문제는 controller 레이어에서 @WebMvcTest를 적용 시에 검증하고자 하는 controller와 주입받은 빈 객체 이외의 뜬금없는 객체 주입 error가 발생하고 있습니다@V1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ommonController { private final CommonService commonService;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 = LoggerFactory.getLogger(CommonController.class); @GetMapping("/term") public ResponseEntity<TermResDto> getTerm(@RequestParam("account_id") Long id) { return ResponseEntity.ok(commonService.getTerm(id)); } @GetMapping("/message") public ResponseEntity<List<UserMessageResDto>> getUserMessageList(@RequestParam("user_id") Long userId) { return ResponseEntity.ok(commonService.getUserMessageList(userId)); } @GetMapping("/notice") public ResponseEntity<List<UserNoticeResDto>> getUserNoticeList(@RequestParam("user_id") Long userId) { return ResponseEntity.ok(commonService.getNoticeList(userId)); } }class CommonControllerTest extends ControllerTestSupport { @DisplayName("현재 학기 정보를 가져온다") @Test void getCurrentTermInfo() throws Exception { // given String termName = "2023년도 2학기"; LocalDateTime startAt = LocalDateTime.of(2023, 9, 1, 00, 00); LocalDateTime endAt = LocalDateTime.of(2023, 12, 15, 23, 59); TermResDto res = TermResDto.builder() .id(1L) .name(termName) .startAt(startAt) .endAt(endAt) .build(); given(commonService.getTerm(1L)).willReturn(res); // when & then mockMvc.perform( get("/api/v1/term") )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jsonPath("$.code").value("200")) .andExpect(jsonPath("$.status").value("OK")) .andExpect(jsonPath("$.message").value("OK")) .andExpect(jsonPath("$.data").isArray()); } }@WebMvcTest(CommonController.class) @ActiveProfiles("test") public abstract class ControllerTestSupport { @Autowired protected MockMvc mockMvc; @Autowired protected ObjectMapper objectMapper; @MockBean protected CommonService commonService; }순서대로 controller, controllertest, controllertestsupport 클래스 입니다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for [WebMergedContextConfiguration@2ca54da9 testClass = kr.lineedu.cha.domain.common.controller.CommonControllerTest, locations = [], classes = [kr.lineedu.cha.Base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test"], propertySourceLocation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Mvc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verrideAutoConfiguration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AutoConfigurationContextCustomizer@3012646b,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actuate.observability.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ObservabilityContextCustomizer@1f,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filter.TypeExcludeFiltersContextCustomizer@416bfba7,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2aa749...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5)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uthController' defined in file [/Users/luca/Desktop/prod/cha-backend/out/production/classes/kr/lineedu/cha/auth/AuthController.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kr.lineedu.cha.auth.AuthService'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kr.lineedu.cha.auth.AuthService'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aiseNoMatchingBeanFound(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82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8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37)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88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91) ... 97 more에러 내용에 보면 전혀 관계가 없는 AuthService에 대한 bean error가 뜨고 있어서 질문드립니다두 번째는 외부 api와 통신해서 구현되는 로직을 openfeign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BDDMockito로 feign client를 stub해서 테스트를 짜던 중 검증이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에 wiremock을 이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려 하는데 best practice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에 대한 좋은 자료나 실무에서 사용하는 테스트 케이스가 있을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생성과 수정 API 응답, 그리고 그 응답 Dto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고민
안녕하십니까 강사님.저는 이제 5개월차가 된 신입? 백엔드 개발자 입니다.다름이 아니라 , 생성과 수정 API에 대한 응답으로 어떤 정보까지 넘기는것이 적합할지에 대해 고민을 하던 도중 강사님의 생각을 여쭤보고 싶어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Q1. 강사님 께서는 생성, 조회 , 수정, 삭제 API의 응답을 각각 어떻게 보내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가장 먼저 조회의 경우는 말 그대로 path의 Entity 및 관련된 Entity 정보를 조합하여 응답 DTO로 변환하여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Write Operation에 대한 응답을 어디까지 보내야 하냐가 이슈 입니다.예를들면 엔티티의 생성의 경우 엔티티의 응답 DTO를 보내면 - 프론트에서 별도의 조회 API 호출 없이 바로 프론트가 화면에 뿌려줄 수 있으니깐 저는 생성의 경우에도 조회와 마찬가지로 Entity의 정보를 조합하여 응답 DTO로 변환하여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부분이 Command Query Sperate 원칙에 어긋나는것 같아, 강사님께서는 혹시 생성한 Entity의 Key만 보내시는지, 아니면 Entity의 정보를 DTO로 변환하여 보내시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정보를 다 보내신다면 이후에 별도로 조회API를 호출해야 하고 그 또한 비용일텐데 이러한 부분은 어떻게 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제 수정 API인데요,제가 다룬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 수정 비즈니스 로직이 다양하고 , 각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 다뤄지는 Entity의 종류가 다른 경우였습니다. (중심 Entity는 동일하지만, 연관된 Entity를 누구까지 건드리냐의 차이) 그래서 응답으로 보내기 모호한 점이 첫 번째 이유이고,애초에 수정 후에 프론트 화면에서 그 엔티티의 정보를 보여줄 필요가 없어서 라는 두번째 이유에 의해서 에초에 엔티티의 Id값도 보내지 않고 있었는데요,이 수정 API의 응답을 성렬님은 어떻게 진행하지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삭제의 경우는 정말, 프론트에게 보낼 응답이 없어도 되는 경우 라고 생각했는데요,팀장님의 의견은 만약에 나중에 삭제한 Entity를 복구하는 요구사항이 추가되는것을 고려하여Id 정도는 넘기자는 의견을 내어주셨습니다.마찬가지로 삭제의 경우도 어떤식으로 수행하시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Q2. 마지막으로 Entity의 ResponseDto의 필드를 어떤식으로 구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면 저의 경우는 API는 프론트와 서버 간의 스펙이라고 생각하고, Entity의 단건조회의 경우는 단건 조회용 ResponseDto를, 전체조회의 경우는 전체 조회용 SummaryResponseDto를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이런식으로 각 상황별 ResponseDto를 별도로 정의하고, 그 안에 관련된 Entity들의 필드를 직접 풀어넣는 방법) 저희 팀장님 께서는 프론트쪽도 일을 해오시다가 , 백엔드쪽 분야로 전향하신 케이스 인데요,그렇다 보니 어떻게 해야 프론트의 생산성이 올라가는지를 고려하시는 분 이셨고,팀장님의 생각은 서버에서 넘겨주는 응답에 일관성이 있어야 그 응답을 사용하는 프론트 측도 학습이 되고 놓치는 부분 없이 생산성이 올라간다는 의견이셨습니다. 그래서 Entity별로 당장 사용하지 않더라도 가능한 모든 필드를 담은 ResponseDto를 하나만 만들고,해당 ResponseEntity의 조합으로 각 API별 응답 Dto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프론트 측 에서는 일관성 있는 응답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셨습니다.물론 이 방법이 네트워크 패킷의 양을 쓸데없이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서도,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셨습니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각 Entity의 응답 Dto의 조합별로 API의 ResponseDto를 만들 수 있습니다.ResponseDto{ UserDto{ id : 1, name : “aaa” … // User엔티티의 거의 모든 필드 } ItemDto{ id : 2, name : “bbb”, … // Item엔티티의 거의 모든 필드 }} 저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이,그냥 제가 “해당 API를 호출하는 화면에서 필요한 정보들만을 담아 |(혹은 여러 화면에서 쓰인다면 여러개를 고려) ResponseDto를 각각 만들어서” 넘겼는데요 강사님께서는 이러한 ResponseDto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상황별로 필드를 재구성 하여 ResponseDto를 정의하여 사용하시는 편 인지아니면 생산성을 고려하여 각 Entity별 Dto를 만들고, 이들을 조합하여 ReponseDto를 정의하시는 편 이신지 혹은 다른 규칙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 팀장님의 의견에서 전체조회시 사용하는 DTO와 단건조회시 사용하는 DTO가 동일하더라도,전체조회 후 단건조회를 기존 Front가 가지고 있는 값을 그대로 쓰지 말고.,단건 조회용 API를 다시 호출하자 입니다!그저 핵심은 프론트가 다루는 ResponseDto의 일관성을 위해서 입니다 (결론은 생산성을 위해) 항상 좋은 강의,그리고 무엇보다도 강상님의 의견과 고민을 강의에 녹여주셔서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 덕분에 함께 고민하고 많이 배우는거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테스트 코드 작성시 코틀린 non-nullable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요청 객체를 테스트(ex. 신규상품을 등록할때 타입은 필수 값이다.) 할 때에 코틀린을 사용하는 경우 productType은 non-nullable 입니다. data class ProductCreateRequest( @field:NotNull(message = "상품 타입을 선택해주세요.") val type: ProductType, @field:NotNull(message = "판매 상태를 선택해주세요.") val sellingStatus: ProductSellingStatus, @field:NotBlank(message = "상품명을 입력해주세요.") val name: String, @field:Positive(message = "상품 가격을 입력해주세요.") val price: Int, ) 이런 경우 enum 타입은 bean Validation에서 NotNull이나 NotBlank에 대한 테스트는 불가능한 상태인데요. 이렇게되면 테스트 가능한 것들만 하는게 맞는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안녕하세요 강사님 컨트롤러 테스트 질문입니다!
좋은 강의를 찍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덕분에 테스트에 접근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었습니다!컨트롤러 테스트는 Validation 역할이 핵심이라고 이해했는데,@Valid 어노테이션을 부착한 DTO 검증만 강의를 통해 배웠습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시큐리티를 적용했을 때 저는 컨트롤러 메서드 매개변수에 Authentication을 이용해서 SecurityContext 값을 사용하는데,이러한 SecurityContext도 검증을 해야 되는지,PathVariable에 대한 검증도 필요한가요?Param값 검증도 필요한지 궁금합니다.페이징했을 때 페이징 결과도 검증을 해야 될까요?Validation 영역이 아니라고 판단되어지는데,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생성자 검증
안녕하세요 우빈님!빌더 패턴 사용 시 생성자 검증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변경 가능성이 있는 도메인 검증을 진행 할 때 빌더 패턴이 적용 된 private 생성자에서 검증을 진행하나요?저 또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즐겨썼었는데 Builder를 사용하고나니 어느 위치에서 검증을 하는게 좋을까에 대한 의문이 생기더라구요.기본적으로는 보통 정적 팩토리 메서드에서 생성자 검증을 진행하게 되면 도메인에서 검증을 위한 private 메서드가 전부 static이 되어야하는데 이게 옳은가? 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고그렇다고 private한 빌더 쪽에 생성자 검증을 하려고 하니 외부 세계에 영향을 받는 가령 클라이언트로 부터 입력받은 시간이 현재 시간 이전 일 수 없습니다. 라는 테스트를 수행해야 할 때 외부로부터 계속해서 LocalDateTime.now() 를 전파받아서 구현을 해야하는데 이 필드를 생성자에 추가하는 것도 아닌 것 같고..이러한 고민 속에서 결국 생성자에서 진행됐어야 할 검증을 서비스 로직에서 도메인의 검증 메서드를 따로 호출하였는데 서비스 로직에서 검증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우빈님은 보통 어떤 방식을 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null 검증
안녕하세요! 우빈님. 테스트 강의에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갑니다! 작은 고민이 하나 있는데요! 우빈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여 여쭈어봅니다!바로 도메인 객체에서의 null 검증인데요!BeanValidation을 통해서 Presentation에서 검증을 하더라도, 도메인 단에서 또 null 검증을 해주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팀원들과 팀플을 하다보면 @NotNull 을 이용하여 Presentation 단에서 검증이 될텐데, 도메인에서도 null 검증을 해주어야 하는가!? 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Presentation 단에서 검증이 되더라도 실제로 객체가 생성될 때 까지의 일련의 과정들 속에서 객체에 온전한 값이 들어가지 않을 것 같아 null 체크 또한 해주는 것이 안정적인 코드를 만들어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인데요! 이러한 작업들이 그래도 비용이 들어가는 측면이라, 개발 속도에 영향을 미쳐서 그런지 선호하지 않는 분들도 종종 만났던 것 같습니다! 혹시 우빈님 생각은 어떤지 의견을 한 번 여쭈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