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2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처음 만난 AWS
AMI과 시작템플릿에 관하여 질문 있습니다!
[강의명 : (실습) 새로운 AMI 생성]rds와 데이터 베이스 연동시에 새로운 AMI를 생성하는데 왜 생성해야하는걸까요? 저는 AMI를 처음 EC2를 생성시에 필요한 이미지 파일이라고 이해했는데.... EC2에서 이미지 생성이 필요한 때가 언제인가요?? 이 강의에서 새로운 이미지 생성을 안하면 안되는건가요? AMI에 대해 제대로 이해 못한것 같습니다... [강의명 : (실습) 새로운 시작 템플릿 생성]여기서 시작 템플릿을 다시 생성하는데 기존 auto scaling 할 당시에 만들었던 템플릿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요? 기존탬플릿을 수정하면 오토스케일링 그룹에서 새로운 템플릿으로 안바꿔줘도 되지 않을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탄력적 IP 사용 할 때 인스턴트 중지 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탄력적 IP를 발급받고 인스턴스를 중지하려고 하면인스턴스를 중지한 후에는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사용 요금이나 데이터 전송 요금이 더 이상 청구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연결된 EBS 볼륨 및 관련 탄력적 IP 주소와 같은 관련 리소스에 대해서는 계속 요금이 청구됩니다.위의 내용의 경고가 나오는데탄력적 IP는 사용하려면 유료로 사용하는 건가요?요금을 내지 않으려면 인스턴스 중지 및 EBS 볼륨 삭제, 탄력적 IP 주소 삭제하거나 인스턴스를 종료해야 하는 건가요?
-
미해결처음 만난 AWS
rds 장애 조치 재부팅 옵션
rds에서 재부팅시에 장애조치로 인한 재부팅 체크를 한것과 안한것에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failover가 된다는 걸까요? 그러면 main에서 sub으로 넘겨진건데 다시 main이 정상화 되었을때 main으로 넘기고 싶다면 장애조치로 인한 재부팅을 하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처음 만난 AWS
auto scaling 질문 있습니다.
오토 스케일링 설정 후에 ec2인스턴스가 새로 만들어진게 로드밸런스의 대상그룹과는 별개로 갯수가 관리된다고 하셨는데요. 그러면 최소 갯수를 0으로 하면 안생기고 LB의 대상그룹으로 운용하다가 CPU 사용량이 많아지면 그때 1개 생기는 걸까요?최고 갯수를 1개로 하고 생긴 것은 기존 로드밸런스 그룹에 있는 인스턴스와 오토스케일링으로 생긴 인스턴스를 같이 사용하는 걸까요? 제가 이 개념을 잘 못이해한걸까요...?
-
미해결처음 만난 AWS
wordpress 관련
로드밸런싱 수업중에 wordpress DNS로 들어가면 강의와는 다르게 제가 글을 입력한 페이지로 나오지 않게 됩니다... 왜그럴까요?
-
미해결처음 만난 AWS
PPT 자료 다운로드 받고 싶은데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나요?
-
미해결처음 만난 AWS
윈도우로 진행하시는분들께
윈도우에서 수업과 비슷한 환경으로 공부하기 위해 먼저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설치링크 : https://wh00300.tistory.com/154cmd에서 bash 입력하여 리눅스 모드로 전환 후mkdir %USERPROFILE%\.aws.aws 폴더 생성 후.aws 폴더 들어가서 vim credentials 실행aws configure 입력 시Command 'aws' not found, but can be installed with: apt install awscli가 뜨는 경우sudo apt install awscli 를 입력하여IAM 인증키와 지역을 입력 후aws configure list 를 입력하여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그 이후 수업과 동일하게 진행(저는 이렇게 해결했지만 이게 절대적으로 맞다는 것은 아닙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안녕하세요. 도메인 연결 관련 질문입니다.
레코드 생성에서 ip번호를 입력하고 생성해도 접속이 안되더라구요. ??.??.??.??:8080을 입력했을땐 접속이 잘되구요. 혹시나 해서 레코드편집에서 ip번호뒤에 :8080을 붙이니 이번엔 저장 자체가 안되더라구요. 혹시 방법을 아시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채굴에 당하지 않는법
안녕하세요. 이번에 배포 관련해서 도움받고자 강의 듣고 있는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글을 읽었는데 거기서 이렇게 언급합니다. ```유형 항목에서 SSH이면서 포트 항목에서 22인 경우는 AWS EC2에 터미널로 접근할 때를 이야기합니다. pem키가 없으면 접속이 안되니 전체 오픈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렇게되면 이후 파일 공유 디렉토리나 깃허브 등에 실수로 pem키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노출되는 순간 서버에서 가상화폐가 채굴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거기서는 소스유형을 "내 IP"로 하고 진행했는데 강의처럼 위치무관으로 설정해도 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얉은 지식이라 질문이 이상할 수 있는점 양해바랍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RDS의 서브넷 그룹, 파라미터 그룹, 옵션 그룹은 뭔가요?
RDS의 서브넷 그룹이랑 VPC의 서브넷이랑 무엇이 다른가요?파라미터 그룹이 뭔가요? 어떻게 쓰이는지 간단한 예시 부탁드립니다.옵션 그룹도 마찬가지로, 그게 무엇인지, 어떻게 쓰이는지 간단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안녕하세요 s3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브라우저에서 png, jpg등의 이미지를 업로드 하면s3 메타데이터 값에 contentType에 application/octet-stream 이런형식으로 값이 저장되는데요브라우저에서 이미지가 뜨도록 하고싶은데 다운로드만 하도록 되어져서 혹시 s3 에서 따로 설정하는 곳이 있을까요? 없다면 개발소스에서 업로드 할때 contentType을 무조건 설정해줘야 하는걸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도메인 환불 내용 링크 공유 드립니다!
처음에 .com으로 생성했다가 비용이 비싸서 .link로 다시 구매했습니다. 도메인 삭제만 하면 자동으로 환불 되는줄 알았는데 아니였더군요 ㅠㅠ 도메인 환불은 한번만 되나봐요!!제가 참고해서 환불 진행한 블로그 링크 공유드립니다! https://yoonminlee.com/route-53-domain-cancellation-guide#2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크롬 시작 페이지 테마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재성님! 강의 너무나 잘듣고 있습니다.크롬 시작 페이지가 이쁘게 꾸며져 있는데(관심 카테고리, 개발 채용 공고 등) 크롬 익스텐션에서 설치 하신걸까요? [자문자답]'서핏' 찾았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EC%84%9C%ED%95%8F-%EB%A7%A4%EC%9D%BC-%EC%84%B1%EC%9E%A5%ED%95%98%EB%8A%94-%EC%82%AC%EB%9E%8C%EB%93%A4%EC%9D%98-%EC%BB%A4%EB%A6%AC%EC%96%B4-%ED%94%8C%EB%9E%AB%ED%8F%BC/ipjibgkeofiedbfcfekfggdmjhhljgjn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CF의 캐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몇가지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CF - ALB - EC2(API서버) 로 연결이 되어있다고 가정합니다. https://api.example.com/posts/1 로 GET 요청을 하고 해당 Respose 값이 dynamic하게 생성된다면 캐싱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인가요? 만약 사용한다면 TTL이 끝난 이후 첫 Reqeust에 대한 Response만 해당 TTL동안 반환하나요?CF - S3 로 연결이 되어있다고 가정합니다. S3의 버킷에 버전 옵션이 설정되어있습니다. 버킷의 오브젝트를 업로드 합니다. 새 오브젝트는 이전 버전의 오브젝트와 같은 KEY를 공유하지만, CF로의 캐싱은 TTL이 끝나기 전까지 이전 버전의 오브젝트를 반환하나요?CF - S3 로 연결이 되어있다고 가정합니다. 버킷 안의 리소스를 가져오는건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EC2(예: EC2의 node.js 환경에서)에서 S3로 업로드하는건 CF를 타지 않고 업로드 할 수 가 있습니까? 버킷을 private 설정으로 해놓고 EC2에 S3 Full Access role을 부여하고, 버킷 policy에 EC2를 Allow, putObject 정도로 설정해놓으면 가능한가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타겟그룹에 표시되는 포트번호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로드벨런서에서 타겟그룹으로 포인팅을 할 때의 리스너가 80번 포트(http)라고 가정합니다. 타겟그룹의 포트는 3000번이라고 한다면데이터의 흐름이 다음과 같습니까? 사용자가 80번 포트로 request (즉, http://example.com )로드벨런서의 보안그룹의 인바운드에 80번이 열려있는지 확인로드벨런서에 80번포트로 들어왔을 때 타깃그룹으로 포이팅하는 리스너 확인80번으로 받은 request를 타깃그룹이 대상 인스턴스로 보낼 때 3000번 포트로 변환대상 인스턴스의 보안그룹의 인바운드에 3000번이 열려있는지 확인대상 인스턴스의 3000번 포트에 웹 요청이 들어옴(즉, 웹 서버가 3000번 포트에 열려있어야 함).제가 이해한 것이 맞을까요?타깃그룹에 포트번호가 있는것이 헷갈립니다.왜 있는지도 모르겠고...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Route53 유형에 MX, TXT는 무엇인가요?
Route53 의 유형에 보면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MX와 TXT가 궁금합니다.MX는 메일서버라고는 알고 있는데 DNS쿼리할때 어떻게 동작하는지 감이 잘 안옵니다. 사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체가 있는데 서로 어떻게 커넥트를 하는지도 감이 안옵니다. TXT는 예전에 WIX서비스를 이용할 때 입력하는 칸이 있어서 궁금합니다.마찬가지로 DNS쿼리할 때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가비아 같은 도메인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할 때 DNS Query 순서가 궁금합니다.
가비아 (도메인 등록업체) 에서 도메인을 구입하면 그곳에 Route53에서 제공하는 NS 레코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로컬 DNS 서버와, ISP DNS 서버 둘 다 도메인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합니다. Root DNS Server -> TLD -> SLD -> 가비아 서버-> Route 53 인것인가요? 가비아 서버로 DNS 쿼리가 갔다가 그곳에 등록된 NS가 Route53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Route53 호스팅영역으로 리다이렉트 되는 것인가요?그럼 NS레코드의 값인 ns.어쩌구는 사실상 DNS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ns.어쩌구를 ip로 변환하는 과정이 또 필요하다면 제자리걸음이 아닌가요? NS 레코드에 나오는 ns.어쩌구 문자열이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private subnet에 있는 rds를 접근하려면?
rds가 private subnet에 있어서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면 로컬에서 사용 하는 DB툴로 접근이 안되잖아요.그렇다고 같은 VPC 내의 EC2로 매번 SSH연결을 해서 터미널창에서 쿼리날릴수도 없고..보통은 어떤식으로 하나요? rds를 public / private 스위칭하면서 접근하나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RDS Security에 Auditing and Logging의 범위가 궁금합니다.
수동으로 EC2에서 RDS로 connect한 상황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코드상에서 TypeORM 또는 SD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쿼리를 날리면해당 쿼리가 무엇인지도 CloudWatch에 로깅이 될 수 있는 건가요? 뿐만아니라 DB툴을 이용해서 DB를 조작하더라도 SQL이 로깅이 되는건가요? 그게 아니라면 auditing and logging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간단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아마존 웹서비스(Core)편
url path로 ALB에서 서로 다른 EC2로 분기하는 방법
ALB는 path별로 분기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예를 들어 request url path가 /v1 는 API1 EC2로,/v2 는 API2 EC2로 routing하려고 합니다.API1 EC2와 API2 EC2는 서로 다른 타겟 그룹으로 설정되어야 합니까?같은 타겟 그룹으로 설정되어야 합니까? 또한 규칙과 리스너는 어떻게 설정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리스너를 추가할 때 나오는 설정을 보니포트별로 수신을 다르게 하여 다른 타겟그룹으로 라우팅하는 방법은 알 것 같습니다만, 특정 URL을 수신하여 라우팅하는 방법은 잘 모르겠습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