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Volume 관련 질문입니다.
docker run -v /usr/src/app/node_modules -v %cd%:/usr/src/app <이미지 아이디>이 명령에서 '매핑해라'와 '매핑하지 말라'의 차이가 정확하게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v라는 같은 옵션을 주는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알아서 구분하나요?? 단순히 node_modules폴더가 디렉토리에 없어서 그런건가요? 만약 node_modules가 호스트 디렉토리에 있으면 그냥 참조하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섹션2 css기본과 싸이월드 실습 1탄
'css정렬' 강의에서 마지막에 회원가입을 숙제로 내주셨는데그거에 대한 자세한 정보들을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요?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3-1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 확인에서 AWS - EKS
안녕하세요 강사님 질문이 있어서 올립니다.EKS Cluster 생성하고 eks-node도 생성을 하고나서 CloudShell 에서 명령어를 실습하고있는데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서버 localhost:8080에 대한 연결이 거부되었다고 뜨면서 올바른 호스트 또는 포트를 지정했냐고 뜨는데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미해결AWS 배포 완벽가이드 (feat. Lightsail, Docker, ECS)
node api 및 redis 서버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있는 초보 개발자입니다.test 코드 만드는 부분에서 오류가 나서 진도를 못나가고 있는 상태입니다. export createApp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index.test.ts 파일에서 import createApp을 한 후 let app: Express.Application 선언 후 app을 request 인자로 넣을 때 오류가 납니다.또 한가지 질문은 os 환경이 windows인데 redis 설치를 했습니다만 이게 node api와 연동이 되고 있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redis cli에서 list에 push한 후 typescript로 만든 api를 구동해서 push를 했을 때 성공했다고 postman으로 확인을 했는데 get을 호출하면 [] 빈 리스트가 반환됩니다..ㅠㅠ 제가 node와 타입스크립트로 개발이 처음이라 너무 힘듭니다ㅠㅠ 진도를 나가고싶은데 이 코드를 통해서 빌드 배포를 하는 거 같아서 강의를 처음부터 계속 다시 돌려보면서 프로젝트만 지웠다 다시 만들었다만 반복 중입니다.. 도움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restoreAccessToken 질문입니다.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restoreAccessToken을 플레이그라운드에서 테스트 하면 에러 코드"errors": [ { "message": "Unauthorized", "locations": [ { "line": 2, "column": 3 } ], "path": [ "restoreAccessToken" ], "extensions": { "code": "UNAUTHENTICATED", "stacktrace": [ "UnauthorizedException: Unauthorized", 왜 접근을 하지 못하는 걸까요?나머지는 정상 작동합니다. 참고로 Apollo Sandbox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안녕하세요. 갑자기 Admin 으로 이동되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이 전단계가 Thymeleaf 레이웃 리팩토링이었는데, 갑자기 admin 의 interceptor 로 넘어와서요. 파일이 전부 개발되 있는 상태인데 영상 그대로 따라해도 되는건가요..?
-
미해결제발 도커 씁시다!
이미지 생성 오류
위 사진처럼 이미지가 생성되지않는데 무슨이유때문일까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카프카 토픽 생성이 안되요.
docker exec -it kafka kafka-topics.sh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create --topic testTopic위와 같이 터미널에 토픽생성하는 명령어를 작성하면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고 터미널이 멈춥니다.도커는 정상적으로 실행하고 kafka,zookeeper도 정상적으로 실행되어있습니다.도커를 삭제하고 다시 다운로드해서 docker compose사용해서 kafka,zookeeper이미지 다시 작동시켜도 위와같이 토픽생성 명령어 입력하고 작동시 아무것도 안하고 멈춥니다..(p.s 카프카 컨테이너 cli들어가서도 토픽 생성 명령어 작동시켜도 작동안합니다.)혹시 해당 문제 해결법 아실까요..?
-
미해결작정하고 장고! Django로 Pinterest 따라만들기 : 바닥부터 배포까지
로그아웃 후 빈 화면으로 이동
안녕하세요! 강의 보면서 잘 공부하고 있습니다account/hello_world 에서 화면 윗부분의 logout을 누르면 로그인창으로 가는 게 아니라 여기로 이동하면서 빈 화면이 나와요 ㅠㅠ 뭐가 문제일까요? http://127.0.0.1:8000/account/logout/?next=/account/hello_world/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playground에서 코딩할 떄 팁 없나요?
fetchProduct,updateProduct,deleteProduct등 플레이 그라운드에서 코딩할 때mutation{ updateProduct(productId:"7a40df24-4feb-43d0-b07e-c5855437a441" updateProductInput:{ name:"가나" }) query{ fetchProducts{ id name description }} 중괄호,소괄호 쓰는데어떤 위치에서 중괄호,소괄호를 사용해야하는지 팁 없나요?
-
해결됨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Permission denied
(⎈|ubun-01:default) jun@JJs-MacBook ~/wp sudo docker-compose up [+] Running 2/1 ✔ Container wp-db-1 Created 0.1s ✔ Container wp-wordpress-1 Created 0.1s Attaching to db-1, wordpress-1 db-1 | 2024-01-04 05:04:28+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ariaDB Server 1:10.9.8+maria~ubu2204 started. db-1 | chown: changing ownership of '/var/lib/mysql/': Permission denied wordpress-1 | AH00558: apache2: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72.19.0.3. Set the 'ServerName' directive globally to suppress this message wordpress-1 | AH00558: apache2: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72.19.0.3. Set the 'ServerName' directive globally to suppress this message wordpress-1 | [Thu Jan 04 05:04:30.174688 2024] [mpm_prefork:notice] [pid 1] AH00163: Apache/2.4.57 (Debian) PHP/8.2.14 configured -- resuming normal operations wordpress-1 | [Thu Jan 04 05:04:30.175341 2024] [core:notice] [pid 1] AH00094: Command line: 'apache2 -D FOREGROUND' db-1 exited with code 0 db-1 | chown: changing ownership of '/var/lib/mysql/': Permission denied db-1 exited with code 1 db-1 | chown: changing ownership of '/var/lib/mysql/': Permission denied db-1 exited with code 1 db-1 | 2024-01-04 05:04:34+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ariaDB Server 1:10.9.8+maria~ubu2204 started. db-1 | chown: changing ownership of '/var/lib/mysql/': Permission denied맥북 m2 유저 입니다.아래 처럼 파일을 설정하고 docker-compose up을 하면 위와 같이 오류가 뜨는데 해결방법이 모르겠습니다... 폴더 하나 하나 권한을 주는 거 같지는 않고,,, 도와주세요 *추가로 docker ps 나 docker --version 과 같은 명령어는 모두 정상 작동합니다version: "2" services: db: image: mariadb:10.9 volumes: - ./mysql:/var/lib/mysql restart: always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wordpress MYSQL_DATABASE: wordpress MYSQL_USER: wordpress MYSQL_PASSWORD: wordpress wordpress: depends_on: - db image: wordpress:latest volumes: - ./wp:/var/www/html ports: - "8000:80" restart: always environment: WORDPRESS_DB_HOST: db:3306 WORDPRESS_DB_USER: wordpress WORDPRESS_DB_PASSWORD: wordpress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포트포워딩 및 nfs 관련
안녕하십니까 강사님nfs 볼륨을 연결하는 실습중 잘 작동하지 않아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저는 현재 gcp 환경에서 실리움 및 containerd 환경에서 실습중인데 워커 노드에서 성공적으로 nfs 서버를 만든다음 마스터 노드에서 nfs yaml 파일을 만들어 포드를 생성했습니다. 여기서 포드는 성공적으로 생성되나 kubectl port-forward nfs-httpd 8888:8080 후wget -O - http://127.0.0.1:8888명령으로 확인해보면 E0104 04:41:42.760571 136525 portforward.go:409] an error occurred forwarding 8888 -> 8080: error forwarding port 8080 to pod 51c205bfd168fbe728ebd76816fec7efbce3381c6d3df46fb6637642e100741a, uid : failed to execute portforward in network namespace "/var/run/netns/cni-59c489b6-f657-8c67-0da9-8cb1e0c7fbe2": failed to connect to localhost:8080 inside namespace "51c205bfd168fbe728ebd76816fec7efbce3381c6d3df46fb6637642e100741a", IPv4: dial tcp4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 IPv6 dial tcp6: address localhost: no suitable address found error: lost connection to pod 해당 에러가 발생합니다. 처음 nfs 서버를 만들때 gcp 에서 할당받은 내부 ip 를 사용해서 마운트를 하였는데 혹시IPv4 address for cilium_host: 10.0.1.229IPv4 address for ens4: 10.138.0.2밑에 ip 가 아닌 위의 ip 로 마운트를 해야하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docckerrun.aws.json 파일에서 name과 hostname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알찬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Dockerrun.aws.json 파일의containerDefinitions안의 container를 정의할 때,"name"과 "hostname"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NodeFull Stack 개발 가이드
80번 포트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gateway 폴더 밑에Dockerfile.dev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고docker-compose.dev.yml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되어있는데 포트번호 변경을 위해서는 양쪽 설정을 모두 바꿔 주면 되는 것일까요?윈도우에서 강의를 듣는 중인데 아래와 같이 윈도우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중이라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였을때docker compose -f .\scripts_docker_dev\docker-compose.dev.yml up --build이와 같은 오류를 나타냅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10-08 product.service.ts에 final(), findOne에
productTags는 왜 relations에 넣지 않는건가요? 자동으로 되는건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playground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GraphQL로 서버를 개발하면, 프론트 개발자는 Playground를 보고 API 사양을 확인하게 될 것 같은데요..!받아올 수 없는 값을 Playground에서 미리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createProduct를 할 때, productTags나 productCategory는 name을 받으려 하면 에러가 발생하잖아요.근데, Playground의 DOCS에는 name 타입도 받아올 수 있는 것처럼 확인이 되는데, 오류를 받아보기 전에 해당 값은 받아올 수 없는 값이라는 걸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result code build 시에 오류 있으신 분들
https://www.sysnet.pe.kr/2/0/13331해당 사이트 들어가서 오류 지점 전에 Dockerfile 명령어 추가하시면 됩니다RUN echo "deb http://archive.debian.org/debian stretch main" > /etc/apt/sources.list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frontend, backend environment port 속성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frontend, backend environment에서 port 속성이 8000으로 같은 이유는 front, back가 같은 서버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이해한게 맞다면 localhost:62000 접근 시 front, back 모두 실행되고 있는 컨테이너 8000 포트로 접근하게 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sessionAffinity 작동관련 질문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사님 강의중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우선 강의중 sessionAffinity 필드를 ClientIp 로 고쳐도 로드밸런싱 되는 현상을kubectl edit configmap -n kube-system cilium-configkube-proxy-replacement: strict해당 방법으로 해결하였습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는데 쿠버네티스 문서를 확인해보면 clusterip 의 작동원리가 그림으로 설명 되어 있습니다. 해당 그림에선 api서버가 kube-proxy 를 통해 clusterip 로 들어와 로드밸런싱이 작동되는데kube-proxy-replacement 해당 필드는 실리움이 kube-proxy 를 대체하거나 혹은 kube-proxy 가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필드가 false 라면 kube-proxy 는 sessionAffinity 필드가 ClientIP 더라도 외부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을 로드밸런싱 하는것인가요? 근본적인 동작 원리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deploy.yaml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name: Deploy Frontend on: push: branches: - main jobs: build: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run: echo "${{ secrets.DOCKER_PASSWORD }}" | docker login -u "${{ secrets.DOCKER_USERNAME }}" --password-stdin - run: docker build -t jaewonhimnae/react-test -f Dockerfile.dev . - run: docker run -e CI=true jaewonhimnae/react-test npm test - name: Generate deployment package run: zip -r deploy.zip . -x '*.git*' - name: Deploy to EB uses: einaregilsson/beanstalk-deploy@v18 with: aws_access_key: ${{ secrets.AWS_ACCESS_KEY }} aws_secret_key: ${{ secrets.AWS_SECRET_KEY }} application_name: react-docker-gh-test environment_name: React-docker-gh-test-env existing_bucket_name: elasticbeanstalk-ap-northeast-2-972153559337 region: ap-northeast-2 version_label: ${{ github.sha }} deployment_package: deploy.zip 코드가 이렇게 되어 있는데 run : docker build -t jaewonhimnae/react-test -f Dockerfile.dev .이 부분을 보면 Dockerfile.dev로만 build를 하는데 Dockerfile, docker-compose-yml, docker-compose-dev-yml 파일은 사용하지 않는 건가요?Docker desktop에 보면 이미지가 없던데 이미지는 다른 곳에 생성, 저장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