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윈도우는 catalina.out 파일 안만들어지는거같아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찾아보니까 맥이나 리눅스만되고 윈도우는 안만들어지는게 맞는거같은데.. 이게 맞나요?아래파일들이 생성되던데 아래파일들로는 System.out.println 로그는 확인할수가없네요ㅠㅠ catalina.out파일처럼 실시간으로 기록시키는법은없나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윈도우10에서 grafana-server.exe 실행 오류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유익한 강의 제공에 감사드립니다. 윈도우 10환경에서 그라파나 설치 후 grafana-server.exe 실행 시 아래 화면과 함께 실행이 실패합니다. 프로메테우스는 실행 중입니다.Error: attempt to write a readonly database 라는 오류가 발생하는데,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여 게시판에 질문을 올립니다.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Configuration 자동 설정?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현재 강의를 들으면서 MyDataSourceValueConfig 부분에서 Application을 실행하면***************************APPLICATION FAILED TO START***************************Description:The bean 'myDataSource',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nfig/MyDataSourceValueConfig.class], could not be registered. A bean with that name has already been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nfig/MyDataSourceEnvConfig.class] and overriding is disabled.Action:Consider renaming one of the beans or enabling overriding by setting spring.main.allow-bean-definition-overriding=true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value의 Bean을 등록하는데, 왜 오버라이딩 오류가 발생하는 걸까요?? @ComponetScan이 없으면 @Configuration은 Import해야만 Bean이 등록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버라이딩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현재Env 클래스의 @Configuration을 주석처리하면 정상 작동하긴 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StockConfig
[질문 내용]StockConfig 안에있는 함수가 외부에서 매트릭을 확인할 때 마다 호출된다고 하셨는데 프로메테우스에서 일정한 단위로 getStock()함수를 호출해주기때문에 로그가 찍히는 것이 맞나요?그럼 객체가 호출 될때 초기화 해주는 PostConstruct애노테이션이 저기서 무슨기능을 해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그리고 StockConfigV1의 PostConstruct애노테이션의 동작을 StockCOnfigV2의 MeterBinder가 해주는 것 인가요?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default 와 JDK 21
[질문 내용]김영한님의 코드를 받았을 때, Gradle JVM = azul-15 로 되어 있었는데, 제가 JDK 21 버전으로 바꾸었고, 추후에 "자식 컨테이너를 시작하는 중 오류 발생" 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Run에서 JRE 를 default 에서 JDK21로 바꾸니 문제는 해결되었는데, 추후에 문제는 없을지 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config 우선순위
[질문 내용]@Import(MyDataSourceConfigV3.class) @SpringBootApplication(scanBasePackages = {"hello.datasource","hello.pay"})이렇게 두개의 config를 적용할때스프링 부트가 MyDataSourceConfig와 PayConfig를읽는 순서를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외부파일 질문
[질문 내용]application.properties가 윈도우환경에서는 무슨 파일로 저장해야하나요?텍스트 문서파일로 저장하고 그 안에 내용을 쓰니 빌드하면 이렇게 나옵니다2024-04-23T20:52:12.297+09:00 INFO 2056 --- [ main] hello.EnvironmentCheck : env url=null2024-04-23T20:52:12.299+09:00 INFO 2056 --- [ main] hello.EnvironmentCheck : env username=user2024-04-23T20:52:12.300+09:00 INFO 2056 --- [ main] hello.EnvironmentCheck : env password=null2024-04-23T20:52:12.436+09:00 INFO 2056 --- [ main] hello.ExternalApplication : Started ExternalApplication in 1.65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338)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왜 강의에서 웹서버라고 말씀하신건지 궁금합니다
ai가 계속 답변주니 답답하네요ㅠㅠ 웹 서버와 스프링 부트 소개 강의를 보면..웹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웹서버라 부르는 이유톰캣은 WAS인데 웹어플리케이션 서버인데..강의안에서 계속 WAS를 웹서버라고 하시는데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WAS안에 웹서버가 들어있어서 그런건가요?요청 순서요청이 오면 무조건 웹어플리케이션 안의 웹서버로 요청이 먼저오고 그 요청을 서블릿 컨테이너로 다시 넘기는 건가요? 3. 웹서버가 2개 인경우마지막 그림을 보시면 웹서버가 외부에 하나 있고 그 요청이WAS로 들어가는데 WAS 안에 는 사실 또 하나의 웹서버가 있지 않나요? 그러면요청 순서가클라이언트 - 외부 웹서버 - 내장 웹서버 - 서블릿컨테이너 - 스프링 이런식으로 흘러갈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왜 웹서버라고 하나요?
웹 서버와 스프링 부트 소개 강의를 보면..웹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웹서버라 부르는 이유톰캣은 WAS인데 웹어플리케이션 서버인데..강의안에서 계속 WAS를 웹서버라고 하시는데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WAS안에 웹서버가 들어있어서 그런건가요?요청 순서요청이 오면 무조건 웹어플리케이션 안의 웹서버로 요청이 먼저오고 그 요청을 서블릿 컨테이너로 다시 넘기는 건가요? 3. 웹서버가 2개 인경우마지막 그림을 보시면 웹서버가 외부에 하나 있고 그 요청이WAS로 들어가는데 WAS 안에 는 사실 또 하나의 웹서버가 있지 않나요? 그러면요청 순서가클라이언트 - 외부 웹서버 - 내장 웹서버 - 서블릿컨테이너 - 스프링 이런식으로 흘러갈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왜 웹서버라 하나요?
웹 서버와 스프링 부트 소개 강의를 보면..웹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웹서버라 부르는 이유톰캣은 WAS인데 웹어플리케이션 서버인데..강의안에서 계속 WAS를 웹서버라고 하시는데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WAS안에 웹서버가 들어있어서 그런건가요?요청 순서요청이 오면 무조건 웹어플리케이션 안의 웹서버로 요청이 먼저오고 그 요청을 서블릿 컨테이너로 다시 넘기는 건가요? 3. 웹서버가 2개 인경우마지막 그림을 보시면 웹서버가 외부에 하나 있고 그 요청이WAS로 들어가는데 WAS 안에 는 사실 또 하나의 웹서버가 있지 않나요? 그러면 요청 순서가클라이언트 - 외부 웹서버 - 내장 웹서버 - 서블릿컨테이너 - 스프링 이런식으로 흘러갈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톰캣 startup.sh 실행시 에러 bad interpreter: /bin/sh^M: no such file or directory
tomcat 서버가 시작하지 않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ppInit을 구현한 AppInitV1,V2는 urlpattern에따라 MyContainerInit을 통해 실행되는것이 맞나요 ?그리고 MyContainerInitV1,V2 둘 다 META-INF/services/jakarta.servlet.ServletContainerInitializer에 등록되어있는데 어떻게 구별해서 사용하는건가요 ? 왜 V2가 선택되어서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index.html이 mapping되지 않습니다.
test는 mapping이 잘 되고 servlet들도 잘 실행되는 걸 보니 서버엔 문제가 없는 것 같은데 index.html만 localhost:8080 실행이 안 되네요..ㅠㅠ 해당 파일만 mapping에 실패하는 것 같은데 무엇이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코드는 원래 server-start 프로젝트를 server로 바꿔서 쓰다가 계속 오류가 나서 server-start 말고 server 프로젝트를 import해서 dispatcherV3까지 들어있는 거고, 그렇게 하기 전까진 index.html과 /test, /hello-servlet 등 전부 실행이 안 되다가 그렇게 하고 나니 index.html 제외 나머지는 정상적으로 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V-s1hADVVwrVjNmo8UfKF8J2kdDfE08Z/view?usp=sharinghttps://drive.google.com/file/d/1ZrILPHymcmeXEIq3ZEsx2iVb_DmXCkr8/view?usp=sharing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server project import 시 에러 발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server 프로젝트를 gradle import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The supplied phased action failed with an exception.Could not open cp_init generic class cache for initialization script 'C:\2023-12-JAVA-DEVELOPER\spring-workspace\.metadata\.plugins\org.eclipse.buildship.core\init.d\eclipsePlugin.gradle' (~~\.gradle\caches\7.5\scripts\exvtfib8x4d7xhxmo1dku6nlm).BUG! exception in phase 'semantic analysis' in source unit '_BuildScript_' Unsupported class file major version 65Unsupported class file major version 65 해결 방법이 궁금합니다.(+추가) 프로젝트의 gradle version을 최신 버전으로 높이니 import까진 성공했는데, src 폴더가 생성되질 않았습니다. 그냥 제가 수동으로 생성해서 쓰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actuator 질문드립니다.
1번서버(서버 여러대일수 있음)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음 2번서버액츄에이터 구동 하여 1번서버 모니터링 3번서버 (표출) 위 처럼 구성이 가능한가여? 강의 아직 다 들은건 아니지만 액츄에이터에서만 호출한걸 보는거 같아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설정 데이터1 외부파일 질문이요.
gradlew clean build를 하여 jar파일을 만든 후~/build/libs/ 에 application.properties 만들고url, username, password 키 값 형식으로 강의처럼 입력했습니다.그러데 윈도우 같은경우 username값을 찍어보면 제 윈도우계정이 찍히는게 OS 쪽이 우선순위가 높아서 파라미터 곂칠때 그게 먼저 찍히는건가여?전 영상처럼 dev2_user가 안찍히고, 윈도우계정이 찍히네요.현재는 윈도우에서 set 으로 확인시 환경변수의 username과 곂치고 있습니다. 좁은 범위가 먼저 적용되야한다 라는 규칙이랑 다른거 같아서 OS환경변수가 넓은범위라고 한다면, 프로퍼티 파일 적용은 좁은 범위 아닌가 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Profile을 이용해 환경에 맞는 bean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올려주셔 감사합니다. 강의를 보며 @Profile으로 빈을 환경(로컬, 개발, 운영)에 따라 달리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올립니다. 영한님은(약 1분36초 쯤) "로컬에서는 로직을 테스트하기 위해 빈을 등록한다." 라는 뉘앙스로 빈을 환경에 따라 달리 등록한다 말씀하셨는데 저는 "테스트 환경을 위해 빈을 등록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는 과거 클린코드에 대해 공부하며 테스트를 위한 코드와 실제 비즈니스 로직이 담긴 코드는 서로 분리하는 것이 좋다고 배웠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때 LocalPayClient와 payConfig에서 localPayClient() 메서드는 @Slf4j @Configuration public class PayConfig { @Bean @Profile("default") public LocalPayClient localPayClient(){ log.info("LocalPayClient 빈 등록"); return new LocalPayClient(); } @Bean @Profile("prod") public ProdPayClient prodPayClient(){ log.info("ProdPayClient 빈 등록"); return new ProdPayClient(); } } 테스트를 위한 코드라 생각이 들며 결과적으로 pay디렉토리 내부에 테스트를 위한 객체와 실제 비즈니스를 위한 객체가 섞여 어색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혹시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정적인 테스트를 위해 어쩔수 없이 희생해야 하는 부분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properties파일 혹은 yaml파일을 통해 설정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에서 언급해주신 내부 파일을 통한 설정 데이터 관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강의에 있는 내용대로 소스코드와 설정데이터를 같이 관리한다고 하였을때 깃헙을 통해 버전관리를 하게 되면(public 레포지토리라 가정) 외부에 설정 정보가 노출되는 보안상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 않을까요? 해당 이슈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는 깃 이그노어에 설정파일을 추가하고 pull할 때 마다 설정파일을 공유를 하는 방법이 있을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는 설정 파일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에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버전관리 레포를 private으로 하는것 이외의 해결책은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내장톰캣 보안취약점 조치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외장톰캣 사용시엔 server.xml 등 나와있는 파일로 보안취약점 조치를 했는데요. 수업들으면서 내장톰캣의 장점은 잘들었습니다. 내장톰캣은 어떤식으로 보안취약점 조치를 진행하나요?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질문이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듣다가 보니 인텔리제이 유료버전 내 톰캣에 shutdown port 관련 에러가 계속 나오네요. 처음 부터 나왔던건 아니고, 어느순간 부터 나옵니다. 해결방법 아시는분이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