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지금 당장 데브옵스 - 테라폼 X AWS
git 테라폼 업로드 관련
업로드해주신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8개월전 내용이라서 테라폼이 업데이트 되서 변경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공식문서를 봐가면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가 공부한 내용들을 git에 업로드해보고 싶은데 예를들어 remote: error: File .terraform/providers/registry.terraform.io/hashicorp/aws/3.71.0/darwin_arm64/terraform-provider-aws_v3.71.0_x5 is 275.08 MB 용량 오류가 발생하면서 업로드가 잘되지 않았습니다. 이에대한 문제 해결책으로git ignore의 방법과 git filter-branch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용량초과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혹시 교육자료로 사용하신 테라폼 파일을 어떻게 업로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repository 는 어떤 기준으로 나누는지 궁금합니다.
회사 전체의 인프라코드가 단 하나의 repository 로 관리될리는 없을 것 같은데현업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repository 를 나누어서 terraform 소스를 관리하는지가 궁금합니다.그리고 실제로 현업에서 terraform destroy 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나요..?
-
해결됨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aws 계정을 처음 생성했을때 세팅되어서 제공되는 default 리소스들은 어떻게 하나요?
aws 계정을 처음생성했을때 빈 깡통으로 제공되는게 아니라vpc, subnet, route table, igw, DHCP, sg, network acl 등등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 있는 리소스들이 많이 있는데요이것들 다 삭제하고 terraform 으로 다시 생성하나요?아니면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것들을 일일이 하나씩 import 해줘야하나요?다 삭제하고 terraform 으로 생성하건,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것들을 모두 import 해줘야한다면 어떤 리소스들이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import 할때 전체 인프라를 한번에 import 할 수 없고 필요한 리소스들별로 하나씩 import 해줘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렇다면 디폴트로 세팅되어있는 리소스들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야 하나씩 import 를 해줄 수 있을텐데 어떤게 기본적으로 세팅되어 제공되는 리소스들인지 잘 모르겠어서 드리는 질문입니다.디폴트로 세팅되어 있는 환경 위에서 작업을 해도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면 굳이 import 하지 않고 새롭게 생성하는 리소스들만 terraform 으로 관리해도 되나요?
-
해결됨실무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보안 프로그래밍 (AWS, Python, Terraform)
제상황을 좀 더 자세히 적겠습니다.
윈도우 환경입니다. C:\terraform\terraform.exe테라폼 파일은 위 폴더에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해당 폴더에 Terraform 폴더를 만들고해당 폴더에 main.tf 파일을 생성했습니다. main.tf파일내용은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입니다. terraform init 명령어를 치면 아래와같은메시지가 나옵니다. C:\terraform>terraform initTerraform initialized in an empty directory!The directory has no Terraform configuration files. You may begin workingwith Terraform immediately by creating Terraform configuration files. 위 내용을 구글링해보면테라폼 프로젝트가 아닌곳에서 커멘드를 치면 위와같은에러가난다고 하는데 테라폼 프로젝트가 해당 디렉토리가 맞습니다..(스크린샷 참조) 어디가 잘못된것일까요편집기에도 인식을 못했는지 색상이 변화가 없습니다(글씨)
-
해결됨실무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보안 프로그래밍 (AWS, Python, Terraform)
영상을 아무리 찾아봐도
테라폼 폴더 구성하는것은 보이지가않네요강사님의 VS내에 보이는 Terraform 폴더는 어디서 나타난걸까요..
-
해결됨실무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보안 프로그래밍 (AWS, Python, Terraform)
질문입니다
1.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 영상 01:57분에 나오는 Terraform 디렉토리는직접 만드신건가요?제가 직접 만드니 아이콘이 생기지 않습니다. 영상을 계속 하나씩 따라하다가 01:57분에 모르는폴더가 갑자기 생기고 main.tf에 코드를 넣으니 영상처럼 나오지않네요 2. 언제, 어떤 오류가 발생하시나요? 저는 윈도우 환경에서 하고있습니다.terraform.rc 파일내에 plugin_cache_dir = "/Users/incle/AppData/Roaming/terraform.d/plugin_cache"를 셋팅하였습니다. 이후 terraform init 을 명령어에 치면셋팅은 완료되었으나 영상에서럼 폴더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답답하네요 3.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 4. 작성한 코드를 공유해주세요.
-
해결됨실무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보안 프로그래밍 (AWS, Python, Terraform)
질문입니다
1.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 디렉토리가 없다고 나옵니다 2. 언제, 어떤 오류가 발생하시나요? incle@incleuicBookPro ~ % mkdir -p /Users/incle/.terraform.d/plugin-cache위명령어를 통해 디렉토리를 생성했습니다. incle@incleuicBookPro terra % terraform initTerraform initialized in an empty directory!The directory has no Terraform configuration files. You may begin workingwith Terraform immediately by creating Terraform configuration files.incle@incleuicBookPro terra % terraform initTerraform initialized in an empty directory! 3.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강의 내용에 있는 걸 그대로 붙여넣었고테라폼인잇 명령어를 친결과입니다. 4. 작성한 코드를 공유해주세요.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data "aws_caller_identity" "current" {} output "account_id" { value = data.aws_caller_identity.current.account_id } output "caller_arn" { value = data.aws_caller_identity.current.arn } output "caller_user" { value = data.aws_caller_identity.current.user_id }
-
해결됨실무에서 사용중인 AWS 클라우드 IAM 이해와 보안
강의순서 문의
https://www.inflearn.com/course/%EC%8B%A4%EB%AC%B4-%ED%81%B4%EB%9D%BC%EC%9A%B0%EB%93%9C-%EB%B3%B4%EC%95%88-%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 이 강의와 https://www.inflearn.com/course/%EC%8B%A4%EB%AC%B4%EC%97%90%EC%84%9C-%EC%82%AC%EC%9A%A9%EC%A4%91%EC%9D%B8-aws%ED%81%B4%EB%9D%BC%EC%9A%B0%EB%93%9C-iam-part1 이 강의 둘다 구입했습니다 어떤걸 먼저 듣는게 나을까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테라폼(Terraform)
소스코드 어떤거 사용하시는지 알려주시고 진행하시면 좋겠습니다.
어떤 tf 파일을 쓰시는지 설명이 있으셔야 따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git이 강의 순서대로 파일이 정렬되어 있으면 말씀 안하셔도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그렇지도 않구요. ㅜ ㅜ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테라폼(Terraform)
원문을 읽지 말고 한국말로 해주세요
선생님영어강의 들을 거면 더 저렴한 우데미 에서 수강했습니다. 원문을 그냥 읽기만 하시면 한국어 강의가 아니죠너무 하시는거 같습니다.pdf 파일 이라도 모두 한국어로 다시 올려주세요
-
해결됨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terraform 을 서비스는 어느부분까지 구현해야하는걸까요?
aws 서비스를 사용하고있는 클라우드엔지니어입니다.요새 iac 도구를 많이들 사용하는데요 .. 일반 공통 환경 vpc iam 등등 기본 환경에만 iac 로 관리를하는게 나은걸까요? eks 등등 세부 서비스까지 전부 terraform 으로 관리하는게 맞는걸까요?
-
해결됨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기존 레거시 resource와 테라폼을 혼용해서 쓰는 경우도 있나요?
물론 첨부터 깔끔하게 만드는게 best입니다만, 오랜 시스템 일수록 resource들이 엄청 섞여있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IAM권한 여기저기, 라우팅테이블 일관성 없기, 다 따로노는 NACL등...) 이걸 다 엎을수도 없을테고 선진화 (테라폼 적용) 도 해야하는 경우가 실무에서 꽤 흔하지 않나요?혹시 이럴땐 어떻게 하시는 지요... 제 짧은 생각으로는 일부는 terraform import 로 끌어와서 쓰고 일부는 테라폼으로 제대로 구성해서 쓰고...이렇게도 하나요?
-
미해결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sudo yum install -y zsh 명령어 입력 시 다운로드가 안되고 Timeout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sudo yum install -y zsh 명령어를 통해 zsh를 설치하려고 했을 때, 설치가 지연되고 아무것도 설치가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Timeout이 발생하는데요.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ec2-user@ip- ~]$ sudo yum install -y zsh ^CAmazon Linux 2023 re [ === ] --- B/s | 0 B --:-- ETAmazon Linux 2023 repository 0.0 B/s | 0 B 02:11 Errors during downloading metadata for repository 'amazonlinux': - Curl error (28): Timeout was reached for https://al2023-repos-ap-northeast-2-de612dc2.s3.dualstack.ap-northeast-2.amazonaws.com/core/mirrors/2023.0.20230614/x86_64/mirror.list [Failed to connect to al2023-repos-ap-northeast-2-de612dc2.s3.dualstack.ap-northeast-2.amazonaws.com port 443 after 30000 ms: Timeout was reached]
-
미해결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terrform.tfvars 의 모범사례에 관하여
https://www.terraform-best-practices.com/code-structureterraform best pratices 문서를 살펴보던 도중 아래와 같은 문구를 보았습니다.terraform.tfvars should not be used anywhere except composition.컴포지션을 제외한 곳에서 tfvars를 사용하지 말라고 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해석을 해야하는 건가요??강의 해주시는 부분은 컴포지션에 해당하기 때문에 괜찮은건가요? 컴포지션이 아닌 상황에는 어떤 상황이 있을까요?
-
미해결지금 당장 데브옵스 - 테라폼 X AWS
살짝 헷갈릴 것 같습니다.
"(5) 네트워크 설정" 에서 헷갈릴 것 같습니다.서브넷 : saju-public-subnet1-test (ap-northeast-2a) 아래 그림 서브넷 항목은 "saju-private-subnet1-test" 로 선택 되었 있어요.
-
미해결지금 당장 데브옵스 - 테라폼 X AWS
terraform apply 실행시키면 Error 발생합니다.
PS C:\Users\esc0\Desktop\terraform\terraform-aws\7.rds-ec2-s3-alb-vpc> terraform applyvar.service_type Enter a value: test╷│ Error: error configuring Terraform AWS Provider: no valid credential sources for Terraform AWS Provider found.││ Please see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 for more information about providing credentials.││ Error: NoCredentialProviders: no valid providers in chain. Deprecated.│ For verbose messaging see aws.Config.CredentialsChainVerboseErrors│││ with provider["registry.terraform.io/hashicorp/aws"],│ on main.tf line 11, in provider "aws":│ 11: provider "aws" {│
-
미해결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6강 수업 중 2가지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강중인 학생입니다.강의 실습중에 놓친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s3.tf 생성 후에 terraform apply 시 Error creating S3 bucket: BucketAlreadyExists 이 발생합니다.최초로 apply 한건데도 이런 에러가 발생한게 의아한데, 또 terraform.tfstate 파일은 현재 시간 기준 신규로 생성되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추가로 aws s3 ls 커맨드 작성 시 해당 내용을 추가했음에도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건 어떤 연동에서 문제를 일으키는걸까요..?ㅜㅜ
-
해결됨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aws vpc 관련, 테라폼 코드적용관련
aws vpc 인스턴스 할당시 인스턴스마다 네트워크 성능이 있는데 vpc내에서 통신시도 영향을 끼치나요? 아니면 외부와 통신할때만 관련이 있는건가요? 기존의 테라폼으로 구성하기전에 구성된 인프라는 테라폼 코드 적용시 어떻게 되나요? 별개로 적용이 되고 영향이 없는것인가요?
-
해결됨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테라폼으로 ALB 구축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사님 강의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ㅎ 다름이 아니라 테라폼으로 EKS를 구축하고 이제 ALB를 구축하려는데 [질문 & 답변] 탭에서 다른 분이 ALB 관련해서 질문하신 것을 보고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 질문 드렸습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편적으로 봤을 때 쿠버네티스 안에서 ALB 서비스를 생성하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테라폼으로 AWS에서 생성을 하는게 맞는 건가요?
-
해결됨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테라폼으로 EC2 생성 시 내부 미들웨어 설치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사님의 강의 듣고 테라폼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 싶어서 테스트 중입니다! 궁금한게 하나 있어 질문드립니다. 제가 테라폼을 이용해서 AWS 기본 인프라 생성 후 EC2까지 생성하는 테라폼을 만들었습니다. 추가적으로 EC2가 생성된 후 서버 내부에 nginx라던지 k8s라던지 openvpn 같은 미들웨어도 설치를 시키고 싶습니다. 위 작업이 테라폼으로 가능하다면 현업에서는 보통 어떤식로 구현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업에서 사용하는 테라폼의 기능이나 3rd 솔루션 등에 대해 피드백을 받고 싶습니다! 자세한 방법이 아니라도 구글에 검색해서 찾을 수 있을 정도의 키워드나 정보를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