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MyDataSourcePropertiesV1 스프링 빈으로 등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MyDataSourcePropertiesV1.class)를 통해 MyDataSourcePropertiesV1.class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야지 외부 설정을 읽어서 해당 클래스에 바인딩하고 Config에서는 그걸 주입 받아 DataSource에 주입하는 걸로 이해를 했습니다.여기서 저는 단순히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는 거라면@Import를 사용하거나 MyDataSourcePropertiesV1.class에 @Component를 붙여서 컴포넌트 스캔 대상이 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도 잘 동작하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에2가지 다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별문제가 없었습니다.분명히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을 만든 이유가 있을듯한데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ConfigurationPropertiesScan은@ConfigurationProperties가 붙은 클래스를 마치 컴포넌트 스캔과 같이 간편하게 스프링 빈으로 등록할 수 있다는 장점이 보이지만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 이 친구는 정말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인텔리J 무료버전 Smart Tomcat 설정관련
해당 경로에 build폴더가 있는데 Deplyment directory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나오지가 않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톰캣설정 인텔리J 무료버전 설정
윈도우에서 가이드데로 진행했는데 실행이 실패했습니다.bulid.gradle에는 아래와 같이 똑같이 코딩했습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tabby에서 cp-k8s 접속 안되는 현상
cmd에 작성되어 있는cp ./tabby-v1.0.207/config.yaml $env:APPDATA/tabby/이걸로 했을 때 tabby가 실행이 되지 않아서전에 다른 분이 질문하셨던 글의 댓글을 통해 cp ./tabby-v1.0.207/config.yaml $env:APPDATA/tabby/config.yaml을 추가했더니 tabby가 실행되었어요. 그런데 문제는 tabby 실행후 처음에는 cp-k8s에 접속이 되었는데그 이후로 다시 접속하려고 할때 접속이 안되더라구요.Tabby를 아무리 삭제하고 재설치해도 접속이 안됩니다.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vagrant up 안됩니다.
디렉토리 싹 지우고, 전부 uninstall 후 다시 install 해서 다시시도해봐도 마찬가집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Tabby 실행이 안됩니다.
환경은 윈도우입니다.ch2/2.3으로 작업하였고207은 설치가 안되어 1.0.208로 설치하였습니다.config.yaml파일을 %APPDATA% 경로에 "tabby" 라는 파일명으로 복사하는 작업이 맞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webapps
인텔리제이로 말씀주신것처럼 배포하면왜 톰캣폴더의 webapps안에 아무것도 생성이 안될까요?그런데 프로젝트는 잘 실행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prometheus.yml 수정 후 prometheus.exe 재실행했더니 튕깁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말 그대로입니다. 띄어쓰기 두 번 규칙 잘 적용했는데 튕기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어떤 것이 문제일까요?? yml을 다음 아래와 같이 복붙했습니다.# my global config global: scrape_interval: 15s # Set the scrape interval to every 15 seconds. Default is every 1 minute. evaluation_interval: 15s # Evaluate rules every 15 seconds. The default is every 1 minute. # scrape_timeout is set to the global default (10s). # Alertmanager configuration alerting: alertmanagers: - static_configs: - targets: # - alertmanager:9093 # Load rules once and periodically evaluate them according to the global 'evaluation_interval'. rule_files: # - "first_rules.yml" # - "second_rules.yml" # A scrape configuration containing exactly one endpoint to scrape: # Here it's Prometheus itself. scrape_configs: # The job name is added as a label `job=<job_name>` to any timeseries scraped from this config. - job_name: 'prometheus' # metrics_path defaults to '/metrics' # scheme defaults to 'http'. static_configs: - targets: ['localhost:9090'] #추가 - job_name: "spring-actuator" metrics_path: '/actuator/prometheus' scrape_interval: 1s static_configs: - targets: ['localhost:8080']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어디까지 모니터링으로 커버하고, 어디까지 테스트로 커버해야할까요?
모니터링이란, 테스트로 잡지 못한 버그들이 발생했을 때 그 버그의 원인들을 빠르게 알게 해주는데 목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비즈니스 지표 모니터링은 여기에선 고려하지 않겠습니다.) 그런데, 어디까지 테스트로 해결해야하고 어디서부터는 모니터링으로 해결해야 할까요? 버그를 꼼꼼히 잡겠다고 가능한 모든 루트를 테스트 하려는 것도 생산성 측면에서 옳은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서비스의 규모가 작을 때와 서비스의 규모가 클 경우 어떻게 테스트하고 모니터링 할 지 또한 바뀐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방법은중요하거나 복잡한 도메인 로직은 유닛테스트로 꼼꼼히 테스트한다프레임워크 및 외부 장치들과 잘 통신하는지는 통합테스트로 happy path 정도만 테스트한다.그 외에 못잡는 버그들은 모니터링을 통해 해결한다.이렇게인데요, 제가 맞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또한 서비스의 규모의 차이에 따라 어떻게 테스트하고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달라지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spring.profiles.active=prod 가 실행이 안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C:\Program Files\Java\jdk-17\bin\java.exe" --spring.profiles.active=prod -XX:TieredStopAtLevel=1 -Dspring.output.ansi.enabled=always -Dcom.sun.management.jmxremote -Dspring.jmx.enabled=true -Dspring.liveBeansView.mbeanDomain -Dspring.application.admin.enabled=true "-Dmanagement.endpoints.jmx.exposure.include=*" "-javaagent: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3.2\lib\idea_rt.jar=58809: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3.2\bin" -Dfile.encoding=UTF-8 -classpath C:\study\spring-boot\external\build\classes\java\main;C:\study\spring-boot\external\build\resources\main;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projectlombok\lombok\1.18.24\13a394eed5c4f9efb2a6d956e2086f1d81e857d9\lombok-1.18.2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3.0.2\a9426629b5a83ad64fbe4e1d24081cccf4cdab14\spring-boot-starter-3.0.2.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autoconfigure\3.0.2\42ad589ec930e05a2ed702a4940955ff97b16a8c\spring-boot-autoconfigure-3.0.2.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3.0.2\69d2e0a07f7df180a4aacdc47c47a3db656857dc\spring-boot-3.0.2.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logging\3.0.2\1c5c71058a0297534d5c5f33a5d125bbbdb6a390\spring-boot-starter-logging-3.0.2.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2.1.1\48b9bda22b091b1f48b13af03fe36db3be6e1ae3\jakarta.annotation-api-2.1.1.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core\6.0.4\8e24ad493887023cf5fac93541c72516f8ed9f6a\spring-core-6.0.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yaml\snakeyaml\1.33\2cd0a87ff7df953f810c344bdf2fe3340b954c69\snakeyaml-1.33.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context\6.0.4\4fffcbb7eb4f1e9f1a4c9d3ca60098f7c063fc05\spring-context-6.0.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ch.qos.logback\logback-classic\1.4.5\28e7dc0b208d6c3f15beefd73976e064b4ecfa9b\logback-classic-1.4.5.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apache.logging.log4j\log4j-to-slf4j\2.19.0\30f4812e43172ecca5041da2cb6b965cc4777c19\log4j-to-slf4j-2.19.0.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lf4j\jul-to-slf4j\2.0.6\c4d348977a83a0bfcf42fd6fd1fee6e7904f1a0c\jul-to-slf4j-2.0.6.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jcl\6.0.4\2d6523d00fc40cdb2c2f409113447940d2c872b5\spring-jcl-6.0.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aop\6.0.4\c47b65c09a5a6fc41293b6aa981fcbe24a3adcd0\spring-aop-6.0.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beans\6.0.4\7d903607ecfcdefccd0d48aea8724632479b3e83\spring-beans-6.0.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pringframework\spring-expression\6.0.4\a908e6d3c46fcd6b58221d8427bbaf284bbbee0c\spring-expression-6.0.4.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ch.qos.logback\logback-core\1.4.5\e9bb2ea70f84401314da4300343b0a246c8954da\logback-core-1.4.5.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slf4j\slf4j-api\2.0.6\88c40d8b4f33326f19a7d3c0aaf2c7e8721d4953\slf4j-api-2.0.6.jar;C:\Users\lgh80\.gradle\caches\modules-2\files-2.1\org.apache.logging.log4j\log4j-api\2.19.0\ea1b37f38c327596b216542bc636cfdc0b8036fa\log4j-api-2.19.0.jar hello.ExternalApplicationUnrecognized option: --spring.profiles.active=prodError: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Error: A fatal exception has occurred. Program will exit.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다음과 같은 에러가 뜨는데 Chat GPT로 해도 이해가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톰캣 설치가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ec2 -1에 톰캣 설치 강의를 보면서 따라하는 중입니다.강의에서 알려주신 방법, 질문창, 구글 다 참고해서 해봤는데요어떻게 해도 톰캣 설치가 안되고 오류만 뜹니다.해결방법 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류 코드>startup.bat : 'startup.bat'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경로가 포함된 경우 경로가 올바른지 검증한 다음 다시 시도하십시오.위치 줄:1 문자:1+ startup.bat+ ~~~~~~~~~~~ + CategoryInfo : ObjectNotFound: (startup.bat:String) [], CommandNotFound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CommandNotFoundException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http://localhost:8080/test 와 catalina.out 에 다른 문자를 찍히게 하고 싶어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ystem.out.println("Hello"); resp.getWriter().println("Hi");위와 같이 브라우저와 로그에 다르게 찍히는걸 보고 싶은데 코드 수정후 톰캣 재시작을 해도 여전히 로그에는 TestServlet.service이, 브라우저에는 test가 찍힙니다. war을 삭제 후 다시 시작해도 같아요.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외장 톰켓 재빌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외장 톰켓을 사용하여 서버를 띄우는데 프로젝트 코드가 변경이 되면 프로젝트 재빌드 후 배포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코드가 변경되었는데도 재빌드를 안하고도 서버를 다시 띄우는 것만으로도 코드가 반영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Prometheus 서버가 자꾸 죽습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안녕하세요. Prometheus, Grafana 수강생입니다.제공해주신 OVA 파일들로 VM을 실행해서 Prometheus와 Grafana를 실행해 실습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Prometheus 서버 pod가 자꾸 죽고 재실행도 안되어서 매우 불편합니다.pod/prometheus-server-74dbc948cf-vxwpn 1/2 CreateContainerError 0 (7m48s ago) 아래 두가지 sh 모두 동일합니다. 왜 잘 실행되던 서버가 아무것도 안했는데 왜 Prometheus만 자꾸 죽는걸까요..ㅜsh 등을 변경하거나 그런 것은 전혀 없습니다.1.prometheus-installer-15s.sh[root@m-k8s 2.2]# cat 1.prometheus-installer-15s.sh#!/usr/bin/env bash# scrape default is 1mhelm install prometheus edu/prometheus \--set pushgateway.enabled=false \--set alertmanager.enabled=fals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key="node-role.kubernetes.io/master" \--set nodeExporter.tolerations[0].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operator="Exists" \--set nodeExporter.tolerations[1].key="node-role.kubernetes.io/control-plan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operator="Exists" \--set server.service.type="LoadBalancer" \--set server.service.loadBalancerIP="192.168.1.11" \--set server.global.scrape_interval="15s" \--set server.global.evaluation_interval="15s" \--set server.extraFlags[0]="web.enable-lifecycle" \--set server.extraFlags[1]="storage.tsdb.no-lockfile" \--namespace=monitoring \--create-namespace1.prometheus-installer-1m-default.sh #!/usr/bin/env bash# scrape default is 1mhelm install prometheus edu/prometheus \--set pushgateway.enabled=false \--set alertmanager.enabled=fals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key="node-role.kubernetes.io/master" \--set nodeExporter.tolerations[0].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operator="Exists" \--set nodeExporter.tolerations[1].key="node-role.kubernetes.io/control-plan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operator="Exists" \--set server.service.type="LoadBalancer" \--set server.service.loadBalancerIP="192.168.1.11" \--set server.extraFlags[0]="web.enable-lifecycle" \--set server.extraFlags[1]="storage.tsdb.no-lockfile" \--namespace=monitoring \--create-namespace 해결 방법 꼭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데이터베이스의 health상태가 UP인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헬스 정보> 강의에서 데이터베이스의 health상태가 UP인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작업도 없었고, 그에따라 커넥션도 생성이 되지 않았을 것인데 어떠한 것을 기준으로 상태가 UP이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라이브러리의 이름이 memory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우리가 memory-v1이라는 프로젝트를 빌드해서 나온 결과물이 바로 memory-v1이라는 jar파일이고, 이것을 라이브러리 화 한 것인데, project-v1에서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것을 보면 다음과 같이 import합니다. import memory.MemoryFinder 여기서 라이브러리의 이름이, memory-v1이 아닌 memory로 된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SpringBootTest어노테이션 역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SpringBootTest역할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을 사용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이걸 안붙이면 스프링컨테이너에 등록된 빈을 사용할 수 없나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Smart Tomcat 에러 : Error starting child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omcat runner로 방법이 안된다는 것을 알게되어 메뉴얼에 있는 smart tomcat 방법을 그대로 실행을 했습니다. 실행 결과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Error starting child 와 같은 에러가 뜹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그라파나 설치
curl -O https://dl.grafana.com/enterprise/release/grafana-enterprise-10.4.1.darwin-amd64.tar.gz Warning: Failed to open the fileWarning: grafana-enterprise-10.4.1.darwin-amd64.tar.gz: Read-only file systemcurl: (23) Failure writing output to destination 설치가안됩니다.(맥 os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http://localhost:9292/actuator/prometheus에서 404오류가 발생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예[질문 내용]액츄에이터에 프로메테우스 메트릭 수집 엔드포인트에서 404 오류가 발생합니다.1. 의존성 추가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actuator' // actuator implementation 'io.micrometer:micrometer-registry-prometheus'2. 설정 추가management.endpoints.web.base-path=/actuator management.server.port=9292 management.endpoints.web.exposure.include=* management.endpoint.metrics.enabled=true server.tomcat.mbeanregistry.enabled=true3. 액추에이터 확인http://localhost:9292/actuator (정상)목록에 프로메테우스 end-point가 나타나지 않습니다./actuator/prometheus직접 URL을 치고 들어가면 404 오류 발생어떤 설정이 빠진 걸까요??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