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페치조인 강의중, 일대다 상황에서의 페이징에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일대다를 다대일 상황으로 바꾸어 쓰는것 과 배치사이즈를 선언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대다 상황에서 다대일 상황으로 바꿀수 있다면 굳이 배치 사이즈를 이용해서 페이징을 하지않고, 다대일로 바꾸어 사용하는것이 성능 상 더 좋은걸까요 ?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사님 용어가 헷갈려서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늘 잘 보고 있습니다*^^* 용어가 좀 헷갈려서 질문드려요.ㅠㅠ 세타조인 ==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 인건가요? 앞부분에 세타조인 설명하실 때 카르테시안곱 얘기하셔서 세타조인 == 크로스조인이고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을 하려면 세타조인을 해야한다. 라고 이해를 했는데.. 구글링해보니 세타조인 == 크로스조인은 아닌 거 같아서요.. 세타조인에서 '=' 연산자를 쓴것이 동등 조인이라는데.. 동등 조인은 또 내부 조인에 속하는 종류 중 하나라고 하고..?? ㅜㅜ 제 의문을 계속 정리해보니 세타조인의 개념이 정확히 뭔지 모르겠는게 문제인거 같습니다. 세타조인이란 무엇이며 <세타조인>과 <연관관계가 없는 조인>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장황한 질문 죄송합니다.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UUID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실무에서 RDBMS를 사용하면서 시퀀스는 많이 사용을 해보았는데요 UUID 관련해서 궁금해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시퀀스라고 말한 부분은 mysql auto_increment, 오라클 시퀀스, mssql identity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JPA 책을 찾아보았는데 책에 UUID 관련 설명은 없는 듯 보여서요 1. 실무에서 혹시 UUID를 적용해 보신 적이 있으신지 궁금해서요 1.1. 적용하였다면 어떠한 장점이 있어서 적용하였는지 궁금합니다.(시퀀스로 해도 되는데 왜 UUID를 적용하였을까?) 2.JPA에 UUID를 적용해서 사용하면 시퀀스로 적용하였을 때 보다 장점이 있을까요? (게시판을 예로 들면 id 값을 내려 줘야 하는데 UUID로 값을 내려 주게 되면 다음 게시글에 대한 추측이 어려워서 비정상적인 접근 같은 게 많이 줄 것 같기도 하고요 그리고 mysql로 보면 big integer보다 더 많은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을 것 같긴 하지만 big integer도 다 못쓰는 게 현실이라서요) 3. JPA는 결국 RDBMS에서 생성해 준 시퀀스 값을 통해서 제어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결국 RDBMS에 성능? 또는 지원전략에 따라서 UUID의 쓰임새가 달라진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활용2 편을 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unit으로 회원등록 API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junit으로 회원 등록 API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SpringBootTest@AutoConfigureMockMvcclass MemberApiControllerTest { @Autowired MockMvc mockMvc; @Autowired ObjectMapper objectMapper;// @BeforeEach// void setUp(@Autowired MemberApiController memberApiController){// mockMvc = MockMvcBuilders.standaloneSetup(memberApiController).build();// } @Test @DisplayName("회원_등록API_V1") void 회원_등록ApiV1()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Dto memberDto = new MemberDto("회원1"); final String jsonStr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memberDto); //when final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mockMvc.perform(post("/api/v1/members")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jsonStr) ).andDo(print()); //then resultActions.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Expect(jsonPath("$.id").value("1")); } @Data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name; } @Test @DisplayName("회원_등록API_V2") void 회원_등록ApiV2()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Dto memberDto = new MemberDto("회원2"); final String jsonStr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memberDto); //when final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mockMvc.perform(post("/api/v2/members")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jsonStr) ).andDo(print()); //then resultActions.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Expect(jsonPath("$.id").value("1")); } @Test @DisplayName("회원정보_업데이트V2") void 회원정보_업데이트V2()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Dto memberDto = new MemberDto("회원3"); final String jsonStr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memberDto); //when final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mockMvc.perform(post("/api/v2/members/1")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jsonStr) ).andDo(print()); //then resultActions.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andExpect(jsonPath("$.id").value("1")) .andExpect(jsonPath("$.name").value("회원3")); } }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이있습니다..
강의를 듣다가 관계형 db와 기본적인 sql 지식이 부족하다고느껴 책들을 찾아봤습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69775589 http://www.yes24.com/Product/Goods/67882661 두가지중에 어떤것이 나을까요? 그리고 여기 나와있는 목차들말고도 추가로 알아야 할부분이있을까요?? 서점에 직접 가서 봤는데도 어떤것이 필요할지 그림이 안그려져서 구입못하고 나왔습니다 ㅠㅠ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시퀀스 전략에서의 allocationSize에 대해
많은 분들이 비슷한 질문을 해주셨지만 개인적으로 아직 정확하게 이해가 잡히지 않아 저도 다시 한번 질문올려봅니다. 네트워크 성능을 고려하기위해 allocationSize 설정을 이용하는 것이고,'allocationSize = 50'으로 설정하면, (처음 시점에) 애플리케이션 시점 JPA가 메모리에 미리 1~50개를 확보하여 next_val이 51이 되기 전까지는 DB 서버 통신을 하지 않는다.라고 이해하면 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올려주신 PDF 내용 내 allocationSize에 대한 설명에 '데이터베이스 시퀀스 값이 하나씩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이 값 을 반드시 1로 설정해야 한다'라는 말은 DB 서버 시점의 시퀀스의 next_val 값이 1씩 증가해야하는 상황이라면 'allocationSize = 1'로 설정해야 한다는 이야기인 것 같은데, 어떠한 상황에 이를 설정해야하는지 그 예시 상황을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olumn 속성 insertable, updatable에 대해서
어떤 컬럼을 수정했을 때란 것이 컬럼 명, 타입 등을 수정할 때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 insertable=false 같은 경우에는 컬럼을 수정한 이후 들어오는 데이터를 막는 것이고,updatable=false 경우는 컬럼을 수정한 이후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게끔 막는다. 라고 이해하면 되는거죠? 추가적으로 insertable=false, updatable=false 설정 각각 언제 사용할 수 있는지 대표적인 예시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findByName의 result를 List로 받는 이유가 있나요?
service 코드를 개발 할 때 중복 되는 member_name이 있는지 validate를 해줘서 결국 member_name이 unique 값이 될텐데 , getSingleResult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작성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public Member findByName(String name){ return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name = :name",Member.class) .setParameter("name",name) .getSingleResult();}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안녕하세요 영속 컨텍스트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질문있습니다! 1) 영속 컨텍스트 안에는 우선은 1차캐시와 쓰기 지연 SQL 저장소가 있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스프링 컨테이너가 스프링 빈을 관리하듯이 영속 컨텍스트가 1차 캐시와 SQL 저장소를 관리하고 있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2) 영속 컨텍스트안에 있는 1차캐시를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실제로 1차캐시에 데이터가 잘 들어가고 DB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고싶네요 강의가 너무 재밌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ybatis 와 jpa
영한님 mybatis 와 jpa 의 개념을 둘다 모르고있는데 어떤것을 먼저 공부하는것이 좋을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이 있습니다!
조인중, 세타조인과 연관관계가 없는 엔티티 조인은 같다 라고 생각해도 되나요? 예) select m from Member m, Team t where m.name = t.name 이라는 세타 조인과, select m from Member m join Team t on m.name = t.name 의 연관관계가 없는 엔티티 조인은 같은 건가요 ? ?
-
미해결실전! Querydsl
계산성 결과물을 DB에 저장하는 것에 대해서 어떤 방법이 더 효율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평소에 가지고 있던 궁금증인데 age를 업데이트하는 부분을 보고 문득 떠올라 질문남깁니다. 기존 레거시 테이블들을 보면 이미 레코드에 포함하고 있는 계산성 데이터들을 많이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해당 강의 차수에서 말하는 age나 또는 팀-멤버간(fk) 조인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팀 테이블의 전체 회원 수 같은 칼럼들이요. 저는 기본적으로 이런 데이터들을 테이블에 넣는것을 반대하고있습니다. 나이를 넣는 것 보다 생년월일을 넣어야되고 팀의 전체 회원수가 필요하면 필요 시 쿼리에서 count를 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항상 동적으로 구하는 방식을요. 제 경험상으로 이러한 계산성 데이터를 넣어버리면 변경점이 계속 생기는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1년이 지날 경우 벌크로 나이를 +1씩 더해야 되는 상황들이요. 또한 팀 멤버가 추가될경우 실수로 팀 테이블의 총원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지 않는 경우도 생길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데이터 용량을 많이 조회할 경우에 계산을 해야하는 시간등도 있을 것 같습니다. 대용량 서비스 관점에서 위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어떤 방법을 선호하시는지, 제가 놓친 부분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ontroller에서 Repository 접근
DDD 자료를 찾아보면 강의 자료와 같이 Domain이 전체 레이어를 아우르고, Controller에서 Repository를 접근 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기초 강의에서는 Entity를 Controller에 넘기지 말라고 말씀 하셨고 그 이유도 충분히 이해 했었습니다. 지금 예제에서는 Controller가 Repository를 호출하게 된다면 Entity가 넘어가게 될텐데... 강의상 편의를 위해서 하신건가요? 실무에서도 빈번하게 사용하는 구조인가요? 추가적으로 DTO를 사용한다면, 아래 예제 계층에서 오고가는 DTO에 대한 표현(naming rule, suffix, package 등등)을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web <-> controller- service <-> repository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위테스트가 어떤 것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단위 테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해주셨는데 제가 아직 초보라서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제 수준으로 테스트를 이해한 것을 말씀드리자면, 만약 수량이 2개가 추가되면, 그것이 데이타베이스에 2개가 추가 됐는지를 확인하고, 그것이 화면으로 제대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최소한의 테스트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DB를 거치지 않고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in memory를 DB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조차 사용하지 않게 되는건가요? 혹시 가능하시다면 지금의 예제에서 단위테스트를 한다면 예시를 짧게라도 한 줄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런 측면에서 제가 테스트에 대하여 이해도가 너무 낮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junit이란 것도 선생님 수업 들으면서 이번에 처음 알게 됐거든요. 그래서 혹시 가능하다면 테스트와 관련하여 참고할만한 책이나 자료가 있으면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지니스 로직구현 Entity VS Service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번 강의에서는 Item.class에 다음과 같이 해당 변수에 대한 접근은 해당 entity에서 작성하여 주셨는데요, /* * 재고 수량 증가 */public void addStock(int quantity){ this.stockQuantity += quantity;}/*재고 수량 감소 */public void removeStock(int quantity){ int restStock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if(restStock < 0){ throw new NotEnoughStockException("need more stock"); } this.stockQuantity = restStock;} 1. 그렇다면 만약 회원의 주소를 변경하는 로직을 만든다고 하면 이 또한 memberRepository.class가 아닌 member.class에서 변경하여 주는 것이 맞을까요?? 2. 또 비슷한 맥락으로 service 구현과 entity에서의 로직 구현의 차이는 객체의 맴버변수에 접근하는지/ 맴버 자체에 접근하는지의 차이로 이해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ook이 준영속 엔티티
updateItem 메소드에서 Book이 DB에 저장된적이 있어서 식별자가 존재하여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1. 그러면 Book을 new Book()으로 생성하고 setId에서 임의로 현재 DB에 존재하지 않는 id를 입력하면 어떻게 될까요?? 2. 준영속 엔티티가 된 이유가 id가 존재해서 라기 보다는 Book 객체의 생성시 영속성컨텍스트를 거치지 않고 생성자를 거쳤기 때문에 준영속 엔티티가 된건 아닌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mysql 하시는 분들은 function 설정(질문 아님)
function('regexp_replace' ~~~ 라고 적어주셔야 되고 application.yml 파일에서 dialect : org.hibernate.dialect.MySQL8Dialect 라고 적어주셔야 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lob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JPA를 활용하여 여러가지 조회테스트를 해보고 있는데 @lob 컬럼이 존재하는 경우 select시 쿼리가 매우 느린현상을 발견했습니다. @lob 컬럼이 존재하는 경우에 쿼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9분30초 findOrderDtos()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팀장님 프로그래밍 강의를 재미있게 듣기는 처음입니다. ^^ findAllWithMemberDelivery()과 달리 findOrderDtos()에서는 fetch join을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api.dto.OrderSimpleQueryDto(o.id, m.name, o.orderDate, o.status, d.address) " + " from Order o" + " join o.member m " + " join o.delivery d ",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에서는 SELECT m FROM Member m JOIN FETCH m.team 은 다음 SQL문과 같고 SELECT M.*, T.* FROM MEMBER M INNER JOIN TEAM T ON M.TEAM_ID=T.ID 일반 JOIN인 경우 SELECT m FROM Member m JOIN m.team t 다음 SQL과 같다 하셨는데 SELECT M.* FROM MEMBER M INNER JOIN TEAM T ON M.TEAM_ID=T.ID 위에서는 join만 사용했는데 어떻게 member나 delivery를 별도 query로 참조하지 않고 가져왔는지 궁금합니다. 답변하신 내용중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3847를 참고하면 "fetch join을 사용하는 이유는 엔티티 상태에서 엔티티 그래프를 참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엔티티가 아닌 DTO 상태로 조회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fetch join을 사용하지 마시고, 그냥 순수한 join을 사용하시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 하셨는데 만약 위의 jpql에 fetch가 있었다면 엔티티 상태이기 때문에 에러가 나지 않고 추후 new를 통해 DTO로 변환해야 하는 것 아닌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Column 의 name, referencedColumnName 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JoinColumn 의 name 속성 사용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JoinColumn 의 name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는거 같은데요. 1) 참조 하고자 하는 엔티티 클래스명 + _ + 엔티티 클래스 기본키 필드 이름2) 참조 하고자 하는 엔티티 클래스의 필드명 + _ + 엔티티 클래스기본키 필드 이름3) 현재 엔티티 클래스의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 컬럼명 수업중에 사용하신 코드에서 구체적예를 가져와봤습니다. 1 번 방법은 Order 엔티티에서 Member 엔티티를 매핑 한 부분에서 사용된 방법입니다. 처음에는 Order 엔티티에서 매핑하는 MEMBER_ID 가 매핑하고자 하는 테이블의 컬럼명(Member 테이블의 MEMBER_ID 필드)이라고 생각했지만, Member 엔티티의 @Column(name = "MEMBER_ID") 부분을 제거하고 코드를 동작해도 데이터 입력처리가 되기 때문에 테이블 컬럼명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2번 방법의 경우, Category 엔티티에서 셀프 매핑(parent)을 할 때 사용하는 경우 3번 방법은 기본값(name 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거 같은데, 맞나요.? 두번째는 @JoinColumn의 referencedColumnName 에 사용처에 관한 내용입니다. 위에서 제가 언급한 name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 중에서 1번, 2번 같이 엔티티 클래스 필드 이름을 사용하여 매핑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외래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의 컬럼명이 다르다 하더라도 referecedColumnName 을 사용안하고 매핑할 수 있는 거 같은데 맞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것이 맞다면, referencedColumnName 을 사용 할 일이 거의 없을 꺼 같은데 추가적인 사용처가 있을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