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
1. id 값이getmapping으로 넘어오는 것도 관계가 궁급합니다. itemList.html에도 특정하게 id값을 넘겨달라 라고 보이는 문구도 없어보이는데 id값만 인자로 지정해서 넘어오는 것도 궁금합니다. 이어지는 부분이 없다고생각하는데 이런건 requestparam으로 받는게 맞지 않을까요? public String updateItemForm(@PathVariable("itemId") Long id, Model model){ Book one = (Book) itemService.findOne(id); 선생님 이부분에서 items/createItemForm 에서 정보를 입력받으면 submit버튼을 누르는 순간 postmapping 으로 값들이 담겨져서 밑의 코드처럼 bookform 형식의 값이담긴 form이 넘어와지게 된다고 하셨는데 booform의 클래스의 필드이름들이 html(createItemForm )태그에 타임리프 문법에 있는 name, id, isbn 등등 필드 이름과 매칭이 돼서 넘어오는줄 알았는데 bookform클래스의 필드 이름이 다르게 바껴도 값이 넘어오더라고요.... 어떻게 매칭이 되고 어떤 관계가 있어서 bookform에 잘 맞춰서 넘어오게되는지 궁금합니다. @PostMapping("/items/new")public String create(BookForm form){ Book book = new Book(); book.setName(form.getName()); book.setPrice(form.getPrice()); book.setStockQuantity(form.getStockQuantity()); book.setAuthor(form.getAuthor()); book.setIsbn(form.getIsbn()); itemService.saveItem(book); return "redirect:/";}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쓰레드 단위에서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한 쓰레드에서 업데이트와 셀렉트를 하는데 업데이트가 되지 않습니다. 1. A테이블에서 find A엔티티에서 User테이블과 연관된 상태 @Column(name = "user_id", 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private Long userId;@ManyToOne(fetch = FetchType.LAZY)@JoinColumn(name = "user_id", nullable = false, referencedColumnName = "id")@JsonIgnoreprivate User user; 2. User테이블의 컬럼 업데이트 user.setPhone1("010");userRepository.save(user); 를 하면 User테이블의 컬럼이 업데이트 되지 않습니다. 왜 그런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복습하다가 혼동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15:57초 그림에서 질문입니다. Member member = em.getReference(Member.class, id); 이 시점에서 프록시 객체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건가요? 저 시점에 일단 프록시 객체가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다가 getName이 호출되면 영속성 컨텍스트에 초기화 요청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잘 이해한게 맞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LOB를 위한 @OneToOne 혹은 @Basic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 게시판을 만들 경우 LOB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럼 Lazy를 사용하게 되는데 경험상 어떤 구조가 좋은지 알고 싶습니다. 지금까지는 @ElementCollection을 만들어서 Unique를 주어서 one to one 처럼사용을 하였습니다. 자구 눈에 거슬려서 리팩토링을 하고 싶은데 하나의 테이블에서 @Basic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서브 테이블을 만들고 @OneToOne 관계를 사용하는것이 좋은지 노하우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OneToOne에서는 단방향을 사용하고 싶고 서브 테이블의 PK 컬럼은 PK이면서 FK로 설정하고 싶습니다. (즉, 메인 테이블의 PK값을 사용) 그럼, 수고하세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 연관관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JPA 강의를 듣고 연관관계부분 실습해보다 질문드립니다. 다대다 관계는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고 하셔서 직접 중간테이블을 만들고 카테고리테이블, 카테고리_아이템 테이블, 아이템 테이블을 만들어 아래와 같이 구현해보려 했습니다. 간단히 엔티티 코드를 요약해보았습니다. 카테고리를 눌렀을 때 해당 카테고리에 Item 리스트를 불러오고 각각의 Item들에서도 카테고리 정보를 노출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categoryItem의 Repository에서 쿼리문으로 조인하여 가져오는것은 매우 복잡할것같고 Item이나 Category의 엔티티 안에 메서드를 만들어서 가져와보려했는데 제 기본기가 부족해서 그런지 도저히 방법이 떠오르질 않네요. 어떤식으로 구현을 해야좋을지 대략적인 흐름을 간단히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HTTP PUT, PATCH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정말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며칠 전 영한님이 찍으신 HTTP 강의를 들었습니다 해당 강의에서 PUT 과 PATCH 사용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셨는데 결론적으로 Member 리소스의 이름만 변경하는 현재 로직상 PUT 요청보다 PATCH 요청이 HTTP 스팩을 잘 맞춘(?) 설계라고 생각되는데 맞을까요? 또 저는 이렇게 스팩을 정확하게 맞춘 경우에는 (엔티티 데이터 수정시 변경감지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수정을 할 때 PUT 요청으로 수정이 오는경우, detached 된 엔티티 데이터를 수정하고 merge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또 스팩에 너무 발이 묶이는 것도 결국은 비효율적이라는 생각도 들면서 머리가 복잡해지네요 결론적으로, 실무에서는 PUT 과 PATCH 를 HTTP 스팩에 정확히 맞추어 사용하기 보다, PUT으로 통일하여 사용함으로써 개발의 효율을 높이는 경우가 많을까요? 구글링을 하다보니 그런 글들을 본 기억이 있는것 같은데 영한님의 생각도 궁금하네요! 다시 한번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해결됨실전! Querydsl
MemberRepositoryImpl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처음으로 DB 를 사용함에 있어서 흥미를 가지게 되었네요!! 다름이 아니라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스프링 컨테이너가 MemberRepositoryImpl 을 사용하게 되는 것 같은데 컨테이너에 어떻게 해당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되는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ㅠㅠ ****RepositryImpl 이라는 규약을 두고 해당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시켜주는 매커니즘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한센세 members를 가져오는 과정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Team team = new Team(); team.setName("TeamA"); entityManager.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1"); member.setTeam(team); entityManager.persist(member);// team.getMembers().add(member);//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Team findTeam = entityManager.find(Team.class, team.getId()); List<Member> members = findTeam.getMembers(); for (Member m : members) { System.out.println("member = " + m.getUsername()); } (위의 코드는 강의에서 작성해주셨던 코드와 동일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flush, clear를 하지 않음으로써 그 상태의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된 Team과 Member 기준으로 members의 값을 가져오기 때문에 System.out.println("member = " + m.getUsername()); 위 코드에 대한 출력이 되지 않는것으로 이해했습니다 ㅠㅠ!" 제가 이해한 바가 맞을까요 센세...? 이게 만약 맞다면 "추가적으로 " flush 와 clear를 하는 과정에서 "원래 commit 시점에 쿼리가 발생하여 1차 캐시 혹은 DB에 값을 적재하는것이 정상이지만 flush 를 사용하는 시점에 해당과정을 즉시 실행하여 데이터를 적재시키고 다음으로 clear를 함으로써 비영속상태로 만들어 getMembers(); 시에 JOIN쿼리를 발생시켜 members와 관련된 데이터를 반영시킨다고 이해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getMembers를 하는 과정에서 Member들을 가져오는 join 쿼리를 날리는 과정은 무조건 비영속 상태이어야만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질문이 많았죠 센세... 항상 넘나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JPA를 실무에서 사용한적이 없어서... 이런저런 궁금한점이 참 많습니당...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 키 매핑 방법
자동 생성(@GeneratedValue)에서 DB를 ORACLE로 사용시 SEQUENCE로 안하고 AUTO로하면 방언에 따라 기본값이 자동 지정 되긴하는데 그럴경우 SEQUENCE 생성시 의미없는? 이름이 생성돼 DB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관리가 어려워 잘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요? AUTO로하면 DB에 종속적이지 않은 장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운영하는 DB에 맞춰서 예를 들어 ORACLE일 경우 미리 스크립트로 MEMBER_SEQ를 생성하고 @SequenceGenerator로 맵핑해서 개발될것 같은데 맞을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하나의 Repository에서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엔터티를 반환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덕분에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다름이아니라, 강의 예제에 나온 repository에서는 보통 한 종류의 엔터티를 반환하는데요. 예를 들면 OrderRepository 에서는 반환값이 Order, List<Order> ItemRepository에서는 Item, List<Item>을 반환합니다. 하지만 OrderRepository에서 Item, List<Item>을 반환하는 경우는 없더군요. 그런데 여러 테이블간에 조인을 거쳐 최종 조회되는 엔터티가 해당 Repository의 엔터티가 아닌 경우,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예를 들면 엔터티 간의 관계가 아래와 같을 때 Order : OrderItem = 1 : N Item : OrderItem = 1 : N Item : ItemCategory = 1 : N Category : ItemCategory = 1 : N Order Id = 100인 Item의 List<Category>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OrderRepository에서 각 엔터티들의 조인을 거쳐 List<Category>를 반환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각각의 Repository에서 필요한 엔터티를 반환받아 최종적으로 List<Category>를 찾는 것이 좋은가요? 아니면 제 3의 별도의 Repository를 만드는 것이 좋을까요? 여러개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한 번의 쿼리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 더 성능상 이점이 있을 것 같은데요 반면 Repository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엔터티를 반환해도 유지보수에 문제가 없을지 걱정이 듭니다. 김영한님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정적 팩토리 메서드 작성
@Entity @DiscriminatorValue("B") @Getter @Setter public class Book extends Item { private String author; private String isbn; public static Book createBook(String name, int price, int stockQuantity, String author, String isbn) { Book book = new Book(); book.setName(name); book.setPrice(price); book.setStockQuantity(stockQuantity); book.setAuthor(author); book.setIsbn(isbn); return book; } } setter들을 최대한 줄이고자 위와 같이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결국 Book 객체를 만들기 위해선 createBook안에 setter가 필요하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setter을 닫으면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작성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이 생각났는데요 첫 번째는 생성자를 protected으로 만들어놓고 정적 팩토리 메서드에서 setter가 아닌 생성자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로 setter의 접근 권한을 private으로 설정하여 정적 팩토리 메서드 안에서만 setter을 사용하도록 허가하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 중에 무엇이 더 사용하기 적합한지, 아니면 그 외에 다른 방법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추가 강의를 진행하다보니 두 방법 모두 setter의 부재로 변경 감지 방법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변경 감지 강의에서의 영한님 말씀처럼 setter 대신에 비즈니스 메서드를 만들어서 변경 감지 등의 로직에서 사용하고, 정적 팩토리 메서드에서는 첫 번째 방법처럼 생성자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옳은 방법일까요?
-
미해결
스프링에서 서브쿼리 처리방식 질문드립니다.
스프링 공부를 하면서 jpa를 사용해서 개발을 하다가 jpa로는 서브쿼리에 한계가 있는것 같아서요. 예를 들면 select class, c_time, professor,~~~~ FROM 컴공과목테이블 where 기본키 = (select 참조키 from 학생테이블 where 학생명="홍길동") ('홍길동' 학생이 수강신청 되어있는 컴공 과목정보를 뽑기 위한 쿼리입니다) . 이런식의 서브쿼리로 SELECT하고 싶을땐 어떤방식으로 자바코드를 짜야하나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ibernate Query
Hibernate: /* insert hellojpa.Movie */ insert into Item (name, price, id) values (?, ?, ?) 안녕하세요 영한님 콘솔창에 Hibernate에서 날라가는 Query에서 values 부분이 (?, ?, ?)로 나오는데 이것을 제가 코드에서 넣은 값으로 나오게는 못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실행 시 생성되는 로그의 DDL문에 대해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테스트를 실행했을 때 강사님께서는 DDL문이 한 줄마다 줄바꿈되어 나오는데, 저는 한줄로 쭉 연결되어 나옵니다. 사실 별 건 아니지만 가독성이 떨어져서 찾아보기가 약간 힘들게 느껴져서 혹시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지 여쭤봅니다 ㅠㅠ 현재 H2 버전을 1.4.199를 깔아 사용하고 있는데 이거때문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제대로 이해한 게 맞을까요? + 오타 제보 + setter 추가 질문
수정하려는 엔티티의 키가 10이라고 했을 때, 1. DB에는 아직 수정 전인 엔티티가 들어있음. 이건 영속. 2. Book book = new Book(); 한 후 BookForm의 정보들로 set해줌. 이건 그냥 함수 내에서 new로 만들었을 뿐이니 JPA가 관리하고 있지 않음. 하지만 이 book의 키값인 10은 디비에 저장되어있음. 그래서 이건 준영속. (즉, 10이란 키값을 갖는 엔티티에 대해 영속 엔티티와 준영속 엔티티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 3. 여기서 준영속 엔티티 book의 key값으로 검색하여 영속 엔티티 findItem을 가져오고 값을 덮어씌움. 4. 모든 작업 이후에도 book은 여전히 준영속 엔티티이므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 5. 결국 더티체킹 메서드를 직접 만들든, em.merge()를 사용하든 내부적으로는 전부 더티체킹을 사용하여 update하는 것임. (null 업데이트 문제는 제쳐두고) 이런 흐름이 맞나요? merge의 과정보다도 merge 실행 전에 같은 키값의 영속,준영속이 동시에 존재하는 부분이 맞는지가 더 모르겠고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ㅡㅡㅡㅡㅡㅡㅡㅡ19:53에서 맨 윗줄에 '재'한적이다 오타 제보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추가질문) setter를 경계하라는 말씀을 다시 한 번 해주셨는데요. "change()처럼 엔티티에 변경 메서드를 따로 만들면 추적이 쉽다" 라는 말씀에서 이해가 좀 안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setter로 변경을 하더라도 그 setter명으로 역추적하면 변경지점이 어디인지 알 수 있는 것 아닌가요? 혹시 여러 엔티티에서 같은 이름의 멤버변수를 가지는 경우엔 setter이름도 같아져서 찾기 어렵다는 말씀이신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일대N 컬렉션 페치 조인시의 페이징이 '불가능'?
안녕하세요. 영한님은 강의에서 컬렉션 페치 조인으로는 페이징이 불가능하다고 말씀하셨는데요, 빌드와 실행까지는 어쨌든 되니 불가능하다는 표현은 좀 안맞지 않을까요? 다만, 매우 위험하고 의도한 결과를 못낼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정도로 이해하는 게 적절한 것 같아서 소견을 말씀드리고 여쭙습니다. _ _;;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null 값 부분에서 오류를 못 찾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선생님!! 강의를 듣다가 해결이 되지 않아서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질문> ItemRepository 부분의 save 메소드 안에 Item.getId() == null이 "Operator '==' cannot be applied to 'long', 'null'"오류 메세지가 나옵니다. 항상 좋은 강의로 보답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로나 조심하시고 다음 강의 기대하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Boot JWT Tutorial
Spring Data JPA 'findOneWith...'에 대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최근에 스프링부트, jpa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질문 올립니다. 저는 jpaRepository에서 조회할 때 주로 'findBy...'를 많이 이용하는데요, 이 영상에서 'findOneWith...'라는 명령어를 처음 보았습니다. 질문드리기 전에 먼저 구글링이나 직접 이용해 보려는데, 정보도 안나오고 Spring Data JPA 의존성에도 인식을 못하는 것을 보면, jpaRepository에서 직접 정의를 하신 것인가요? 굳이 '...With...'이란 수식어를 붙이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내부 클래스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바쁘신데 이곳저곳 여러번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강의를 복습하다가 정말 궁금한게 생겨서요.. Request Dto는 인자로 받아야돼서 테스트같은 곳에서 직접 생성해야하 되기 때문에 static으로 선언했고, Response Dto 같은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에 non-static으로 선언했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경고가 뜨길래 찾아봤더니 이펙티브 자바에서 메모리 문제나 gc 문제 떄문에 바깥 인스턴스에 접근할 일이 없다면 무조건 static을 붙여서 정적멤버 클래스로 만들라고 되어있습니다. 실제 프로젝트나 실무에서는 reponse dto처럼 외부에서 직접 생성할 일이 없어도 static inner class로 선언해야 될까요? 정말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ransactional을 Service에서 처리하는 이유?
@Transact ional의 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이해가 되었습니다만, 왜 굳이 Service에서 그 처리를 해주는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직접적으로 em을 사용하는 Repository에서 해주는 게 더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Service에서 사용해야만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