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멀티OS 사용을 위한 가상화 환경 구축 가이드 (Docker + Kubernetes)
vagrant up 할때 해당 에러가 발생합니다
PS C:\Users\96tmd\Desktop\hsb\work\k8s-install\vagrant\scripts> vagrant upBringing machine 'k8s-master' up with 'virtualbox' provider...==> k8s-master: Box 'generic/ubuntu2004' could not be found. Attempting to find and install... k8s-master: Box Provider: virtualbox k8s-master: Box Version: >= 0==> k8s-master: Box file was not detected as metadata. Adding it directly...==> k8s-master: Adding box 'generic/ubuntu2004' (v0) for provider: virtualbox k8s-master: Downloading: https://vagrantcloud.com/generic/ubuntu2004 k8s-master:The box failed to unpackage properly. Please verify that the boxfile you're trying to add is not corrupted and that enough disk spaceis available and then try again.The output from attempting to unpackage (if any):bsdtar.EXE: Error opening archive: Unrecognized archive format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Pod생성시 인증 만료
안녕하세요,아래와 같이 pod생성을 하면 인증이 만료되었다고 나옵니다. 고칠 방안이 있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SH 오류 관련 문제
Apple silicon mac 사용중입니다.ssh 오류가 나는데 오류 로그를 확인해보니OpenSSL version mismatch 라고 하네요기존에 실습파일은 다 잘 깔려있고 브라우저를 통해서도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접속도 가능합니다.sudo yum update openssl openssh-server -y시스템 업데이트로 패키지를 업데이트 진행하여 해결했는데 추후 실습에도 문제가 없는지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Install Docker Engine on CentOS
안녕하세요 강사님!컨테이너 런타임 설치에서 docker engine 을 설치하려하는데, 강의 내용과 달리 현재는 CentOS 9 (stream) 으로 되어있습니다. Rocky Linux 8 로도 설치가 가능할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파드오류
아직도 crashloopback off 가 뜹니다.어떤식으로 명령어를 써야될지 모르겠어요..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MAC 빠른 설치와 무게감 있는 설치 차이점
안녕하세요 강사님MAC 빠른설치의 4-1. 자료를 보고 설치한 후무게감 있게 설치하는 방법의 강의 자료를 보니 같은 내용으로 생각이 되어 질문드립니다.4-1을 보고 설치했다면 무게감 있는 설치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섹션4 5실습 컨테이너 실행X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재밌게 보고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습과정을 쭉 따라오다가 빌드도 다 되고, 이미지 생성과 컨테이너 생성까지는 모두 잘 되지만, 컨테이너 실행이 자꾸 중간에 막혀버리는 일이 발생하여 문의 남깁니다. 계속 다시 실행을 해봐도 이 상태이며 포트충돌도 없는 거 같은데 자꾸 오류가 납니다. 저의 노트북은 macM4pro입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 pull edowon0623/docker-server 실패.
mac m1 사용자 입니다.docker pull edowon0623/docker-server명령어 입력시 Using default tag: latestError response from daemon: manifest for edowon0623/docker-server:latest not found: manifest unknown: manifest unknown이런 에러가 떨어집니다.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kubernetes-anotherclass-sprint2/2211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젠킨스 파이프라인 2211 실행완료해고 배포 잘 되었는데 쿠버네티스 대시보드에서 이런식으로 계속 경고 뜨면서 디플로이먼트 실행 안되다가 가끔씩 되어도 redinessprobe 경고 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 현재 앱은 잘 실행되는거 같은데 자꾸 이 오류가 뜨네요.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현재 총메모리량은 93퍼를 사용중인데 가상환경 서버 메모리가 남아 있더란도 이 총 메모리량때문에 오류가 뜰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커리큘럼 순서 문의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질문 하기]1-2 섹션 보고있는데 강의 순서가 이상해서요.뭐 이미 했으니까 아시겠죠 하시면서 파드 get 하시거나 get nodes 하시는데 이전에 올린게 아무것도 없는데 node, pod 가 띄워져 계시고 저는 아무것도 없고..선행 강의를 결제하고 와야하는건지요..? 아니면 일단 건너뛰고 그냥 계속 듣는게 맞는건지요.. 환경 세팅하는데 첨에 arm체계에서는 방법이 없다고 해서 다시 다 지웠는데 또 뒤에 가니까 arm64에서 세팅하는게 있어서 bin 에 vb 관련 남아있어서 주신 파일 실행도 안되고;; 지우고 리부트 하니까 되긴했는데요..커리큘럼 순서 좀 알려주세요... 2.4에서 대충 세팅됐으면 3으로 넘어가면되나요아니면 쉽게 어찌고 그거 보고와야하나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ETCD 설치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추운 날씨 건강 유의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ETCD 설치에 대에 질문 드립니다.제공해주신 Vagrant 파일에는 etcd 설치에 대한 내용이 따로 없는데, kubeadm 설치 시 자동으로 static pod로 설치되는 걸까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2.4] k get pods -> connection to the server 에러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질문 하기]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현재, vagrant up 성공 -> vmware fusion 앱 실행 -> 4개 node 모두 running -> tabby로 연결까지 완료되었는데,마스터 노드에서 'k get pods' 실행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검색해봤을 때는 kube/config 파일을 수정하라던데, 이것저것 해봐도 잘 안돼서 해결할 수 있는 키워드 같은게 있을까요. 아니면 더 봐야하는 파일이라던지... 키워드라도 던져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대쉬보드 화면에서 연결 상태가 보이지 않음
안녕하세요.대쉬보드에서 표시할 데이터가 없다고 나옵니다.master node에서 pods는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것 같은데, 어떤 조치가 필요할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cloud9 이 종료되어서 진행하기가 힘듧니다.
지금 아무리해도 이제 더이상 하기가 힘듧니다.AWS가 처음이다 보니 EC2 만드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쏟고 있습니다.저는 github action 을 배우고 싶은 것이지 aws를 배울려고 하는게 아닙니다. 강의를 수정해주시던가, 아니면 어떻게 하면 될 것인지 명확한 절차를 알려주세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톰캣 Connection refused 에러 발생하는 분들
Section 8: 실습 환경을 위한 필수 SW여기 먼저 하고 하시면 잘 될겁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톰캣 Connection refused 에러 발생하는 분들
Section 8: 실습 환경을 위한 필수 SW여기 먼저 하고 하시면 잘 될겁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실습 중에 서비스로 30000포트로 요청이 안들어가네요
[예제] 서비스(Service)를 활용해 백엔드(Spring Boot) 서버와 통신해보기실습중인데 30000 포트로 어플리케이션에 접근이 안되네요kebectl exec -it $pod이름 -- bash 접근해서 curl 로는 요청이 정상이였고 아래 처럼 서비스에 모두 기재 해줬는데도 서비스로 접근하면 연결이 잘 안되네요. port: 8080 targetPort: 8080 nodePort: 30000혹시 sudo kubectl port-forward 팟이름or서비스이름 8080:8080 처리를 추가로 해줘야 하나요 그게 아니라면 뭔가...제가 설정을 잘 못한거 같네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파드 생성 실패
실습 진행중에 파드를 만들려고 하니깐 이런 에러가 뜨네요 ..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프로젝트에서 Helm Chart 관리 및 작성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제가 제조업쪽이라 서비스가 원활한 회사에서 근무를 하고 있지 않아서, 일반적인 IT 업계에선 Helm Chart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일반적으로 적당한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 Front End 와 Back End Application 두가지 나눠서 배포한다고 해보겠습니다.Vue 와 Spring Boot 를 사용하는데, 이 때 프로젝트 루트 경로에 예제에서 관리한 바와 같이 deploy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도록 했습니다.이 때, 기존 구성상 Ingress 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rules: - host: hello.foo.com http: paths: - path: /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svc-fe port: number: 8080 - path: /api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svc-be port: number: 80위와같이 되어 있을 경우, 이 ingress 는 두 영역 모두 의존성이 있습니다. fe 패키지에서 관리해야 할지, be 패키지에서 관리해야 할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아니면 Helm 은 IaC 도구로서 이며 원하는 인프라를 빠르게 셋업해줘야 하기 때문에 FE, BE 모두 한번에 관리하는게 맞는걸까요?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FE, BE 깃 레포가 아닌, 별도의 Helm Chart 레포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는 걸까요?
-
해결됨CloudNet@와 함께하는 Amazon EKS 기본 강의
[실습] Service[NLB] 배포 및 확인의 aws-loadbalancer-controller 설치 및 실습 시 트러블슈팅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sigs/aws-load-balancer-controller/v2.4.7/docs/install/iam_policy.json에서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istenerCertificates", 윗줄에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oadBalancerAttributes"그러지 않으면 targetgroupbinding 이 만들어지지 않는것 같습니다.분명 대상 그룹도 만들어졌는데 kubernetes resource 로 만들어져있지 않아서 중간에 오류가 생겼거니 했습니다.kubectl describe svc svc-nlb-ip-type 로 오류 디버깅시 elasticloadbalancing:DescribeLoadBalancerAttributes 가 포함되지 않아 403 에러가 났다고 합니다. 처음 가이드에서는 모두 정상동작했을텐데, 이것이 시간이 지나 AWS 가 버전이 업데이트되며 생긴 변화인것일까요?혹은 제 환경만 이상한 것일까요?ㅎㅎ;혹은 추가 가이드가 있는데 제가 놓친것일까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