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kubernetes-anotherclass-sprint2/2211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젠킨스 파이프라인 2211 실행완료해고 배포 잘 되었는데 쿠버네티스 대시보드에서 이런식으로 계속 경고 뜨면서 디플로이먼트 실행 안되다가 가끔씩 되어도 redinessprobe 경고 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 현재 앱은 잘 실행되는거 같은데 자꾸 이 오류가 뜨네요.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현재 총메모리량은 93퍼를 사용중인데 가상환경 서버 메모리가 남아 있더란도 이 총 메모리량때문에 오류가 뜰수 있는건가요?
-
해결됨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수직적 확장과 가용성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다 한가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가용성과 수평적 확장, 수직적 확장에 대해 설명해주실 때 수평적 확장은 가용성이 높아지고 수직적 확장은 가용성이 낮아진다고 하신 부분입니다.가용성아라는 것이 시스템이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낸 것이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을수록 가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적 확장으로 시스템의 스펙을 높이면 기존보다 더 많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어서 가용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싶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실습 중에 서비스로 30000포트로 요청이 안들어가네요
[예제] 서비스(Service)를 활용해 백엔드(Spring Boot) 서버와 통신해보기실습중인데 30000 포트로 어플리케이션에 접근이 안되네요kebectl exec -it $pod이름 -- bash 접근해서 curl 로는 요청이 정상이였고 아래 처럼 서비스에 모두 기재 해줬는데도 서비스로 접근하면 연결이 잘 안되네요. port: 8080 targetPort: 8080 nodePort: 30000혹시 sudo kubectl port-forward 팟이름or서비스이름 8080:8080 처리를 추가로 해줘야 하나요 그게 아니라면 뭔가...제가 설정을 잘 못한거 같네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파드 : crashLoopBackoff
[5:00] 분 쯤에 manifest 파일들을 배포한후 get pods 했더니 파드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안되더라구요 어떻게 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port forward [6.40]
포트 포워딩을 통해 mysql을 외부에서 접속가능하게 할려고하는데 PS C:\kubernates\mysql-project> kubectl port-forward pod/mysql-deployment-545cb7c695-dxbm7 3306:3306 Unable to listen on port 3306: Listeners failed to create with the following errors: [unable to create listener: Error listen tcp4 127.0.0.1:3306: bind: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unable to create listener: Error listen tcp6 [::1]:3306: bind: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error: unable to listen on any of the requested ports: [{3306 3306}]이런식으로 오류가 떠서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어요...ㅠㅠ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실제 서비스를 할때 rds에 접근하는 방법
실제 서비스를 할때 ec2 인스턴스랑 rds 이 두개를 보안성을 높이기위해 프라이빗ip 로 설정을하는데 이러면 제 개인컴퓨터에 rds의 db를 시각화해서 볼수있는 dbeaver나 워크벤치를 연결자체가 불가능해서 인터넷에 찾아보니 베스천호스트 방식으로 ec2인스턴스를 새로하나 더만들어서 이것을 퍼블릭ip로 바꿔서 rds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던데 이방식이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도 자주쓰이는 방식일까요? 제가 실제 서비스를 해본 적이없어서 공부하는입장에서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실제 서비스에서 다른방법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도커 이미지 생성 및 소스 빌드에 관한 질문입니다.
12.01 분 쯤에 코드를 수정하시고 바로 docker build로 넘어가시던데 그전에 Spring으로 할때에는 코드 수정하고 ./gradlew clean build라는 명령어와 함께 소스빌드를 거친후 docker build를 하셨는데 혹시 뭔가 차이점이 있을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exec /usr/java/openjdk-17/bin/java: exec format error
EC2에서 ECR이미지를 pull하여 실행중에exec /usr/java/openjdk-17/bin/java: exec format error 해당 오류가 계속발생합니다.dockerimage가 ec2의 arm64와 달라서 그렇다는 글도 있어docker buildx build --platform linux/arm64 -t kube-ecr . 해당 명령어로 build하여 ECR에 push도 해보고 했지만 여전히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jar파일 질문
로컬에서는 springboot서버가 잘 작동되고 github actions에서도 빌드가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ec2 서버에만 올라가면 데이터소스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java -jar 명령어에 데이터관련 인자를 넣어서 실행시키면 그때는 디비관련 오류는 없어지고 다른 문제가 있어서 jar파일을 열어서 안에 파일들을 확인해볼려고 명령어를 작성해보았는데 아무 반응이 없어서 jar파일에 문제가 생겨서 실행이 안되는건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cret 마운트 경로
안녕하세요! Configmap과 Secret 기본 개념 강의를 보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문의 드립니다.수업 자료 중 컨테이너 안에 볼륨 마운트 경로인 /usr/src/myapp/datasource/dev 안에 postgresql-info.yaml 이 생성되는 것으로 표시 설명하셨는, 실제로는 secret-datasource 마운트 경로인 secret-datasource에 있습니다.볼륨 설정 중 "files"는 앱에서 사용할 볼륨을 설정하는 것이고, "secret-datasource"는 secret의 내용을 저장하는 볼륨으로 이해하면 맞는 걸까요?
-
해결됨실무에서 꼭 필요한 서버 모니터링(Zabbix)
/etc/opt/rh 문제
강의 따라 쭉 따라오긴 했는데(Zabbix 서버 설치 강의 14분 25초) /etc/opt에 rh가 없습니다. 물론 그 하위 경로에 zabbix.conf도 없구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ec2에 mysql 관련 문제
안녕하세요! 어제 질문남겼던 학생입니다! ec2에 mysql을 설치후다음과 같이 연결을 하였습니다. 이후로 log파일을 열어보았는데 이와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검색을 해보니 initialization 관련 설정 오류라 해서 아래와 같이 추가해줬는데이후로 github actions secret도 바꾸고 ec2로 jar 파일이 올바르게 간것도 확인됬는데 계속 같은 문제가 발생하네요ㅜㅠ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ec2에 mysql을 깔고 root계정에 비밀번호를 걸고 아래 명령어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려고 하는데 아예 콘솔창에 아무 글자도 안쳐집니다ㅜㅠㅠ 왜그런걸까요??!
-
미해결컴팩트하게 이해하고 바로 구현하는 Kubernetes ELK 로그 모니터링 시스템
매니패스트 파일
elasticsearch, filebeat, kibana, logstash 매니패스트 파일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Secret와 ConfigMap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보안적으로 민감한 변수를 저장하기 위해 활용한다고 배웠습니다.그러나 Secret의 작성 방법이 별다른 암복호화 로직없이 configMap과 99% 동일한 것 같아서요. 같은 repository에서 Secret과 ConfigMap가 함께 위치하는 경우ConfigMap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는 Secret에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Secret이 ConfigMap보다 어떠한 측면에서 보안상의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yml 자동완성?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강사님 처럼 yml 자동완성 ? 하고 기능 사용하고 싶은데, 어떻게 설정하면 되지 알 수 있을까요? 플로그인 Spring Ass ... 찾아봤는데 없더라고요. 그래서 어떻게 하면 되지 여쭤봅니다. 학생계정이라 유료버전 사용 중 입니다.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좋은 하루되세요 ~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cpu, memory 모두 100%를 치지 않았을 때 병목을 확인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저희 서비스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있습니다. duration 3m, target 500 으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46TPS 정도 에서 병목이 생긴걸로 파악 했습니다. 다만 메트릭들을 확인해보니, ec2 메모리 사용률은 46% 정도고, CPU 사용율도 58% 정도며, DB 의 메모리도 충분히 남아있고, CPU 사용율도 59%정도로 여유가 있어보이는데요, 이 메트릭 외에도 병목을 확인할 수 있는 메트릭이 있을까요? 예시로 보여주셨던 걸로는 100% 에 가깝게 수치가 튀어야할거 같은데, 그정도가 아닌 상태에서 병목이 발생해서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mysql 서버 띄우기
deployment는 정상적으로 띄운거 같은데 위 설정과 같이 데이터 그립에서 연결테스트를하면 해당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 그런것일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비용
강의를 나눠서 듣는 중인데요. 안 들을 때는 비용 나가지 않게 aws EC2 종료를 매번 해야하나요? 탄력적 IP 를 오래 사용 과금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걱정되어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실습 궁금점
Pod 내부 API는 성공한다는 말이 User 초기화 상관없이 내부에서 성공하는 API를 말하는 것인가요 ? 외부 트래픽은 차단됐다는 말이 아직 User 초기화가 되지 않아서 외부 API는 차단이 되고, 이 상황에서 내부에서는 날리는 API는 실행되기 때문에 (App이 기동됐기 때문) 내부 API는 성공을 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