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문제와 풀이 invokeAll()로 풀때 예외처리
안녕하세요 해당 문제를 invokeAll()로 풀었는데 예외처리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궁금해 질문 올렸습니다. 저는 예외를 main메서드에서 잡았지만 , NewOrderService에 try-catch문을 써서 예외를 잡는게 뭔가 응집도가 높아보인다 해야하나? 관련있는 코드끼리 모여있어서 더 유지보수 하기 좋은 코드라고 생각합니다. 그럴려면 order 메서드 안에 이중 try문을 써야하는게 최선인가요? (invokeAll, future.get() 2번) public class NewOrderService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public void order(String orderNo) throws InterruptedException, ExecutionException { InventoryWork inventoryWork = new InventoryWork(orderNo); ShippingWork shippingWork = new ShippingWork(orderNo); AccountingWork accountingWork = new AccountingWork(orderNo); List<Callable<Boolean>> works = List.of(inventoryWork, shippingWork, accountingWork); //작업 요청 try { List<Future<Boolean>> futures = es.invokeAll(works); for (Future<Boolean> future : futures) { Boolean result = future.get(); } } finally { es.close(); } } .........InventoryWork,ShippingWork,AccountingWork 클래스 } public class OrderServiceTes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orderNo = "Order#1234"; NewOrderService orderService = new NewOrderService(); try { orderService.order(orderNo); log("모든 주문 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 catch (ExecutionException e) { log("일부 작업이 실패했습니다.");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Task 객체의 사용후 GC 유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Future 관련 공부를 하다가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겼습니다. ThreadPoolExecutor 객체 안에 FutureTask 객체를 만들고 그 안에 task(Callable 구현 객체)를 보관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스레드풀에 있는 스레드가 해당 Future 작업을 완료한 후에 main 스레드에서 future.get()으로 값을 반환 받고 난 후에 해당 future 객체는 GC가 알아서 처리해주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LinkedList의 for-each 동작 방식이 궁금합니다.
본 강의 약 10분 쯤에 나오는 코드private static boolean contains(LinkedList<Integer>[] buckets, int searchValue) { int hashIndex = hashIndex(searchValue); LinkedList<Integer> bucket = buckets[hashIndex]; for (Integer integer : bucket) { if (integer == searchValue) { return true; } } return false; }이 부분에서 배열은 각 인덱스의 요소를 하나씩 꺼내는데 LinkedList는 어떤식으로 for-each문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중급2편 수강 전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중급2편 수강 전 문의 한번만 확인 부탁드려요 ㅠㅠ[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응용이 어렵습니다.
강의를 꾸준히 보고 따라하면서 여기까지 왔는데요아직 제대로 된 복습보다는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은 나중에 한번 더 보고 일단 한 바퀴 돌아보자 생각 하며 왔습니다.반복문에서 도저히 응용이 안돼서 여기까지 넘어왔는데요.. 일단 다 보고 나서 다시 복습 해보는 것이 나을까요?아니면 반복문으로 돌아가서 이해할 때 까지 복습을 하고 다시 오는 방법이 좋을까요?자바 공부 하면서 꼭 이해하고 넘어가고 싶었는데 도저히 진도가 안나가다 보니까 방법을 여쭙고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성 주입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에 파라미터로 넘긴 후에는 Autowired를 사용할 필요가없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annotation.PreDestroy; import lombok.Gett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1); } @Scope("singleton") static class ClientBean { @Autowired private Object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Provider.getObject(); prototypeBean.addCount(); return prototypeBean.getCount(); } } @Getter @Scope("prototype") @Component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강의에서는 AnnotationConfigApplicaionContext를 new로 생성하면서 파라미터로 ClientBean클래스를 넘겨주면서 빈에 등록한 후에 아래 ClientBean 클래스에 Provider를 사용하면서 @Autowired 를 사용 하시더군요마찬가지로 Provider사용하기 전에 생성자 주입을 할때도 Autowired를 사용하시길래 저도 코드에 Autowired를 추가했는데, 저는 오류가 나더라구요 제가 궁금한점은 @Component어노테이션을 ClientBean클래스에 붙여주면 해결되긴 했는데 강의에선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오류가 나지 않길래 저랑 뭐가 다른건지 모르겠어서 질문 합니다. 이미 파라미터로 넘기면서 빈에 등록이 되서 다시 등록하려는거때문에 충돌이나서 그런건가요? 그렇다면 강사님 강의에서 보인 코드는 왜 오류가 나지 않는건가요? 궁금합니다 ㅠㅠ정리하자면 강사님 강의에선 ClientBean클래스에 @Componenet를 사용하지 않고도 @Autowired를 사용했을때 오류가 나지 않지만 저는 @Autowired만 사용하면 오류가 뜹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와 메모리 가시성
각각의 CPU 코어에는 각각의 캐시 메모리가 있고 여기에 임의의 쓰레드가 할당되어 실행된다고 하셨습니다.RAM에서 캐시 메모리를 가져올 때 primitive type은 직접 값을 가져오므로 메모리 가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참조값을 가져오는 경우에는 캐시 메모리에서도 참조를 하게되므로 가시성 문제가 존재할 수 없는 구조인가요?synchronized 메서드 안에서 사용된 멤버 변수의 경우 자동적으로 volatile로 처리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플래그를 exit 조건문에 함께 사용하면 try-with-resources 를 사용해도 되지 않나요?
질문드립니다.SessionV6 코드의 try 구문 안에 클라이언트가 exit을 입력하면 try 구문을 탈출하게끔 하는 조건문이 있잖아요.if (received.equals("exit")) { break; }이 조건문에 closed 플래그를 다음과 같이 함께 적어주면,if (received.equals("exit") || closed) { break; }어자피 ShutdownHook 에서도 Session의 close() 메서드를 호출하고, closed를 true로 바꿔주니까 try 구문에서도 break가 실행될 수 있지 않나요?그렇다면 I/O 스트림을 try-with-resources 로 설정해도 괜찮지 않나요?제가 놓치는게 있다면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콘솔로그 여러개가 안뜹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 코드문 실행시 그냥 테스트 통과만 될뿐 콘솔에 메시지 여러줄 뜨진 않습니다.package hello.core.xml;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GenericXmlApplicationContex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public class XmlAppContext { @Test void xmlAppContext() { ApplicationContext ac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appConfig.xm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 }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bean id="memberService" class="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constructor-arg name="memberRepository" ref="memberRepository" /> </bean> <bean id="memberRepository" class="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 <bean id="orderService" class="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constructor-arg name="memberRepository" ref="memberRepository" /> <constructor-arg name="discountPolicy" ref="discountPolicy" /> </bean> <bean id="discountPolicy" class="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 </bean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38줄 자동완성 어떻게 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07:29 38번째 줄 어떻게 자동완성 하나요 안되는데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롬복과 최신 트렌드 build.gradl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build.gradle 에 롬복 디펜던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고싶은데 어디서 복사할수있는지 강의자료가 안보여서요... 어디서 복사할수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OCP원리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2. 다형성과 설계 강의 자료에서 OCP원리를 보면 코드 수정은 닫혀 있다는 의미에서 "새로운 차를 추가하게 되면 기능이 추가되기 때문에 기존 코드의 수정은 불가피하다. 당연히 어딘가의 코드는 수정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기존 코드의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하는데 왜 코드 수정은 닫혀 있다고 표현하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제어자, 클래스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lass의 접근제어자를 private으로 설정시 외부 호출을 막는 것은 이해를 합니다.class의 volume 변수에 대해 실제 수정 해야 상황일 경우 (volume 200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 privat로 설정된 volume 변수 수정 권한을 setting하는 것은 어떤 조직 구성과 방법으로 하는지 실제 경험을 사례로 설명을 요망합니다.
-
해결됨얄코의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Korean ver.)
안녕하세요.
"구독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발행 메소드는 발행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클래스로부터 호출 받습니다." 라고 설명해주셨는데요코드상에서는 Broker 클래스가 따로 Publisher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인 것 같아서요.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특정 타입 모두 조회expected: 2 but was: 1 Expected :2 Actual :1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특정 타입을 모두 조회하기 할때expected: 2 but was: 1에러가 뜨고, ac.getBeansOfType 자동완성이 안되는 것도 있습니다. 왜그러죠package hello.core.beanfind;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order.AppConfig;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java.util.Map;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hrows;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SameBeanFind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중복 오류가 발생한다.") void findBeanTypeDuplicate() { // 이렇게 해서 돌려보면 멤버 리포지터리를 조회하면 두개가 튀어나오면서 예외가 ㅓ지게 된다. No Unique에러 assertThrows(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class, () -> ac.getBean(MemberRepository.class)); // assertThrows + 람다식 예외가 터져야 테스트 통과 되게 }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빈 이름을 지정하면 된다") void findBeanByName() {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ac.getBean("memberRepository1", MemberRepository.class); assertThat(memberRepository).isInstanceOf(MemberRepository.class); }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빈 이름을 저장한다.") void findAllBeanType() {// ctrl + shift + enter 바로 코드 컴플리션으로 넘어 감 Map<String, MemberRepository> beansOfType = ac.getBeansOfType(MemberRepository.class); for (String key : beansOfType.keySet()) { System.out.println("key = " + key + " value = " + beansOfType.get(key)); } System.out.println("beansOfType = " + beansOfType); assertThat(beansOfType.size()).isEqualTo(2); } // 그냥 이 클래스 안에다가 메서드 생성 // static 쓰면 장점 클래스안에서만 쓰겠다는 뜻 이안에다가 컨피그 만듦 @Configuration static class SameBeanConfig { // 다른 파라미터로 빈 생성 가능 // 빈의 이름이 다를 수 있고 클래스, 객체 타입이 같을수 있다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1(){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2(){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ReentrantLock과 비관적락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실무에서 DB 관련 데이터에 대해 동시성 이유가 있으면 비관적락을 쓰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JPA의 비관적락은 DB 계층에서 동기화 기술이고 ReentrantLock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동기화 라는데...실무에서 ReentrantLock은 언제 사용이 되나요?? ReentrantLock을 사용하면 DB 접근 동기화가 되지 않나요?? 둘의 명확한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파이썬처럼 int a 선언 없이 a=10으로 해놓고 그때그때 int(a)처럼 쓰면 안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얄코의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Korean ver.)
질문이있습니다.
현재 예시 코드에서는 state 상태에 따라서 생성자를 매번 호출하는데이거는 메모리 오버플로우 가능성이 있는 코드라고 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얄코의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Korean ver.)
DIP 질문
DIP 예제 코드에서 질문이 있습니다.Switchable 이라는 interface를 객체로 Switch가 갖게되는데요.구조가 이렇게 바뀌어도Fan의 turnOn 함수에 예를 들어 매개변수가 들어가게 되면 (Overloading)Switch 클래스에도 영향이 가지 않나요?switch class의 tunrOn함수의 device.turnOn() 함수도 바뀌어야 하니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wait notify 락 획득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 notify 로부터 깨어난 스레드와 synchronized 메서드를 호출한 스레드 중 누가 락을 획득한다에 대한 우선권이 있나요?만약 모든 스레드가 wait 을 하고 있는 상태라면 누군가가 notify를 호출해줘야만 하는 건가요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