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rphanRemoval = false 설정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영한님, 해당 부분 공부하다가 이리저리 검색해보다가 질문 남깁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ORM-JPA-Basic&unitId=21710&category=questionDetail&tab=community&q=659760해당 글에서 서포터즈님께서 답변해주신 바로는,orphanRemoval = false 설정시 findParent.getChildList().remove(0); 를 통하여 부모객체에서 자식리스트의 자식객체를 삭제하면, DB에는 그대로 남아있지만, FK키가 null로 변한다고 답변해주셨는데요. 제가 실제로 테스트 해본 결과에는.. DB에 FK키가 그대로 부모의 PK키를 명시하고 있습니다.어떤 것이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public class Paren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arent", orphanRemoval = false) private List<Child> childList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Child(Child child){ childList.add(child); child.setParent(this);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List<Child> getChildList() { return childList; } public void setChildList(List<Child> childList) { this.childList = childList; } }@Entity public class Child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PARENT_ID") private Parent parent;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Parent getParent() { return parent; } public void setParent(Parent parent) { this.parent = parent; } }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 child2 = new Child();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addChild(child1); parent.addChild(child2); em.persist(parent); em.persist(child1); em.persist(child2); em.flush(); em.clear(); Parent findParent = em.find(Parent.class, parent.getId()); findParent.getChildList().remove(0); // em.remove(findParent);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e.printStackTrace(); } finally { em.close(); } emf.close(); }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ascadeType.ALL + orphanRemovel = true 와 그냥 CascadeType.ALL만 썼을 때의 차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의 강의를 모두사서.. 탐독하는 주니어 개발자 입니다 ㅎㅎ.. 21:37 부분에 영속성 전이 + 고아 객체, 생명주기 파트에서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요. 위에서 명시해놓으시기를 CascadeType.ALL + orpahanRemover=true 두 옵션을 모두 활성화 하면 부모 엔티티를 통해서 자식의 생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음 이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제가 궁금한부분은 CascadeType.ALL 자체가 CascadeType.ALL + orpahanRemove=true 를 이미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CascadeType.All 만 설정CascadeType.All + orpahanRemove=true 모두 설정두 가지의 차이가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동적 쿼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그 강의에서 동적 쿼리 작성은 QueryDSL을 사용해야 한다고 했는데, 강의에서 em.createQuery()로 JPQL을 작성하고 setParameter를 통해 바인딩을 한다면 그게 동적 쿼리 작성하는거 아닌가요???굳이 QueryDSL을 사용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테스트할 때 디비 사용법이 궁금해요
GitHub Actions을 사용하여 우분투 가상환경 위에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빌드할 일이 있었는데요. 빌드 과정에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가 있더라구요! application-test.yml에서 사용할 db의 정보를 지정하는 부분에 로컬 호스트 디비를 사용했는데 우분투 가상환경에서 테스트가 수행되다보니로컬호스트 디비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커넥션 에러가 뜨더라구요 ㅠㅠ 이런 경우에선 테스트 환경에서 인메모리 디비를 사용해야 하나요..??어떤 방법이 최선인지 궁금해서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자를 만드는 어노테이션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써도 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엔티티 클래스 개발2 강의에서 Address 객체의 빈생성자를 만들때 protected를 사용하는것을 봤습니다. 혹시 여기서 어노테이션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를 사용해도 나중에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또 생성자를 어노테이션으로 만드는 것이 안좋을 수 있는 상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도메인 객체와 엔티티 객체 분리 시 객체 그래프 탐색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참 잘 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 편에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자유롭게 객체 그래프를 탐색할 수 있어야하지만 SQL로 개발하는 경우에는 처음 실행하는 SQL에 따라 탐색 범위가 결정된다는 문제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엄격한 도메인 주도 설계의 관점에서는 '도메인 객체'와 '엔티티 객체'를 분리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로직을 다루는 도메인 객체가 JPA라고 하는 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영 즐거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703756/having-separate-domain-model-and-persistence-model-in-ddd )그렇기 때문에 도메인 객체와 엔티티 객체를 분리하게 된다면 Repository 계층에서 예를 들어 findById를 했을 경우 엔티티 객체를 도메인 객체로 매핑해서 돌려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럴 경우, 기존의 SQL로 개발하는 경우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매핑을 어디까지해서 돌려주어야 하느냐는 점이죠. Member를 조회했을 때, 객체 그래프 안에 있는 Category까지 싹싹 다 조회해와서 매핑을 해주기도 곤란한 노릇이고, MemberWithTeam, MemberWithOrderAndOrderItem... 와 같은 객체를 따로 따로 만드는 것도 요상해보입니다. 그렇다고 객체 그래프를 다 끊어놓자니 그것도 객체지향적이지 않은 것 같아보이구요..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식으로 도메인 객체를 설계하는지, 엔티티 객체의 매핑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가 너무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shop 빌드가 안됩니다.
java.io.StreamCorruptedException: invalid type code: 00> invalid type code: 00*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Exception is:org.gradle.api.UncheckedIOException: java.io.StreamCorruptedException: invalid type code: 00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62)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41)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rialization.PayloadSerializer.deserialize(PayloadSerializer.java:78)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runner.ClientProvidedPhasedActionRunner.run(ClientProvidedPhasedActionRunner.java:51)at org.gradle.launcher.exec.ChainingBuildActionRunner.run(ChainingBuildActionRunner.java:35)at org.gradle.internal.buildtree.ProblemReportingBuildActionRunner.run(ProblemReportingBuildActionRunner.java:49)at org.gradle.launcher.exec.BuildOutcomeReportingBuildActionRunner.run(BuildOutcomeReportingBuildActionRunner.java:65)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FileSystemWatchingBuildActionRunner.run(FileSystemWatchingBuildActionRunner.java:140)at org.gradle.launcher.exec.BuildCompletionNotifyingBuildActionRunner.run(BuildCompletionNotifyingBuildActionRunner.java:41)at org.gradle.launcher.exec.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lambda$execute$0(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40)at org.gradle.composite.internal.DefaultRootBuildState.run(DefaultRootBuildState.java:122)at org.gradle.launcher.exec.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execute(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40)at org.gradle.internal.buildtree.InitDeprecationLoggingActionExecutor.execute(InitDeprecationLoggingActionExecutor.java:58)at org.gradle.internal.buildtree.DefaultBuildTreeContext.execute(DefaultBuildTreeContext.java:40)at org.gradle.launcher.exec.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lambda$execute$0(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65)at org.gradle.internal.buildtree.BuildTreeState.run(BuildTreeState.java:53)at org.gradle.launcher.exec.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execute(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65)at org.gradle.launcher.exec.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3.call(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java:61)at org.gradle.launcher.exec.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3.call(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java:57)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CallableBuildOperationWork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204)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CallableBuildOperationWork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199)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2.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66)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2.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59)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157)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59)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call(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53)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Executor.call(DefaultBuildOperationExecutor.java:73)at org.gradle.launcher.exec.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execute(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java:57)at org.gradle.launcher.exec.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lambda$execute$0(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java:36)at org.gradle.internal.work.DefaultWorkerLeaseService.withLocks(DefaultWorkerLeaseService.java:249)at org.gradle.internal.work.DefaultWorkerLeaseService.runAsWorkerThread(DefaultWorkerLeaseService.java:109)at org.gradle.launcher.exec.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execute(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java:36)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continuous.ContinuousBuildActionExecutor.execute(ContinuousBuildActionExecutor.java:110)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ubscribableBuildActionExecutor.execute(SubscribableBuildActionExecutor.java:64)at org.gradle.internal.session.DefaultBuildSessionContext.execute(DefaultBuildSessionContext.java:46)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ActionImpl.apply(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100)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ActionImpl.apply(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88)at org.gradle.internal.session.BuildSessionState.run(BuildSessionState.java:69)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execute(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62)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execute(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41)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execute(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java:64)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execute(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java:32)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execute(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java:50)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execute(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java:38)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tupLoggingActionExecuter.execute(SetupLoggingActionExecuter.java:47)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tupLoggingActionExecuter.execute(SetupLoggingActionExecuter.java:31)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ExecuteBuild.doBuild(ExecuteBuild.java:65)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BuildCommandOnly.execute(BuildCommandOnly.java:37)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WatchForDisconnection.execute(WatchForDisconnection.java:39)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ResetDeprecationLogger.execute(ResetDeprecationLogger.java:29)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RequestStopIfSingleUsedDaemon.execute(RequestStopIfSingleUsedDaemon.java:35)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ForwardClientInput$2.create(ForwardClientInput.java:78)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ForwardClientInput$2.create(ForwardClientInput.java:75)at org.gradle.util.internal.Swapper.swap(Swapper.java:38)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ForwardClientInput.execute(ForwardClientInput.java:75)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LogAndCheckHealth.execute(LogAndCheckHealth.java:6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LogToClient.doBuild(LogToClient.java:63)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BuildCommandOnly.execute(BuildCommandOnly.java:37)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EstablishBuildEnvironment.doBuild(EstablishBuildEnvironment.java:8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BuildCommandOnly.execute(BuildCommandOnly.java:37)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StartBuildOrRespondWithBusy$1.run(StartBuildOrRespondWithBusy.java:52)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DaemonStateCoordinator$1.run(DaemonStateCoordinator.java:297)at org.gradle.internal.concurrent.ExecutorPolicy$CatchAndRecordFailures.onExecute(ExecutorPolicy.java:64)at org.gradle.internal.concurrent.ManagedExecutorImpl$1.run(ManagedExecutorImpl.java:49)Caused by: java.io.StreamCorruptedException: invalid type code: 00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irectMethodHandleAccessor.invoke(DirectMethodHandleAccessor.java:103)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rialization.PayloadSerializer.deserialize(PayloadSerializer.java:76)... 69 more 실전! 스프링부터와 JPA활용1 듣고있는데 첫 시작부터 빌드가 되지않습니다.혹시 잘못된점이 있을까요..ㅠㅠ?강의 자료대로 build.gradle Gradle 전체 설정은 복붙한 상태입니다.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필수정보) 레거시 bootstrap 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
* bootstrap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아래와 같이 application.yml 파일만으로 설정하면 적용이 안됩니다.dependency에 bootstrap을 의존성 추가하지 않습니다.그 후 application.yml파일에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spring: cloud: config: name: ecommerce # yml 파일명 앞부분 config: import: optional:configserver:http://localhost:8888 # 구성정보 설정강의에서 나오는 bootstrap.yml 설정 정보를 Spring Boot 2.4버전 이후부터는 application.yml 설정 정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식홈페이지)위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 목차에서 Spring Cloud Config Client - Spring Boot Config Data Import 부분에 나와있습니다.만약 bootstrap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구성설정을 하고 싶다면 공식홈페이지 목차에서 Spring Cloud Config Client - Config First Bootstrap 부분을 살펴보시면 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2탄]
강사님 질문입니다!
저는 페이징과 검색위주로 보고자 이 강의를 구매하게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중이라서 게시판이나 답글은 많이 해봤어서 페이징으로 넘어가고싶은데.. 이럴려면 페이징 이전의소스가 필요해서요.. 프로젝트가 만히 급해서.. 혹시 회차별로 소스코드제공이 가능할까요?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ercictence Context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현재 JPA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N+1에 대한 이슈를 테스트하는 중에 Entity의 생명주기에 대한 궁금점이 있어 질문을 남겼습니다.EntityManager 초기화 시 1차 캐시에 있는 Entity는 자동으로 Flush가 되나요?N+1 확인을 하기위해 모든 Entity를 저장한 후EntityManager를 초기화 시켜 1차 캐시를 초기화시켰습니다. 이유는 1차 캐시에 원하는 Entity가 존재한다면 해당 Entity를 DB를 거치지 않는다고 알고 있어서입니다.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DataJpaTest public class StudyRoomRepositoryTest { @Autowired private StudyRoomRepository studyRoomRepository;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ersistenceContext EntityManager em; private List<StudyRoom> studyRooms = new ArrayList<>(); private List<User> users = new ArrayList<>(); @BeforeEach public void setUp() { users.add(userRepository.save(User.builder().userUuid(UUID.randomUUID()).email("tester@gmail.com").password("password").nickName("tester").build())); users.add(userRepository.save(User.builder().userUuid(UUID.randomUUID()).email("tester2@gmail.com").password("password").nickName("tester2").build())); studyRooms.add( studyRoomRepository.save(StudyRoom.builder().roomName("TestStudyRoom1").constructor(users.get(0)).build())); studyRooms.add( studyRoomRepository.save(StudyRoom.builder().roomName("TestStudyRoom2").constructor(users.get(1)).build())); } @Test @DisplayName("users N+1 문제 Test") public void UsersNPlusOneTest(){ em.clear(); //EntityManager 초기화 List<StudyRoom> findStudyRooms = studyRoomRepository.findAll(); for(StudyRoom findStudyRoom: findStudyRooms){ System.out.println(findStudyRoom.getConstructor()); } } }예상대로 N+1 이슈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궁금한점이 생겼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Save 메소드가 호출된다 해도 Transaction이 진행중이면 실제 DB에는 안 넘어가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또한 만약 DB로 넘기고 싶다면 Flush를 통해 넘길 수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저는 SaveAndFlush() 메소드가 아닌 Save() 메소드를 호출했음에도 불구하고 Select Query로그가 찍힙니다.Hibernate: select studyroom0_.study_room_id as study_ro1_1_, studyroom0_.create_at as create_a2_1_, studyroom0_.is_deleted as is_delet3_1_, studyroom0_.update_at as update_a4_1_, studyroom0_.user_id as user_id7_1_, studyroom0_.room_name as room_nam5_1_, studyroom0_.room_uuid as room_uui6_1_ from study_rooms studyroom0_ Hibernate: select user0_.user_id as user_id1_2_0_, user0_.create_at as create_a2_2_0_, user0_.is_deleted as is_delet3_2_0_, user0_.update_at as update_a4_2_0_, user0_.email as email5_2_0_, user0_.nick_name as nick_nam6_2_0_, user0_.password as password7_2_0_, user0_.role as role8_2_0_, user0_.user_uuid as user_uui9_2_0_ from users user0_ where user0_.user_id=? com.twoleader.backend.domain.user.entity.User@522fb69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제 예상으로는 EntityManager의 clear()메소드 호출 시 1차 캐시 안에 Entity들이 존재한다면 자동으로 Flush()메소드가 호출되는 것으로 추측이 되는데 맞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만약 아니라면 해당 데이터는 어디서 불러온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44강 mysql 접속중 문제가 있습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mysql에 mysql -u root -p 명령어를 통해 접속하고 그다음 비밀번호를 치려는데입력 자체가 안되고 엔터밖에 칠 수가 없더라구요.이런 문제가 왜 발생하는 걸까요?복사 붙여넣기 단축키, 키보드 타자 다 안됩니다.엔터만 쳐져서 계속 저런 상태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신 날짜 기준으로 스타터에서 설정을 어떻게하면 될까요 ??
[질문 내용]최신 날짜 기준으로 스타터에서 설정을 어떻게하면 될까요 ??
-
해결됨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9:27 에 나오는 부분 찾아봤습니다.
public static MockHttpServletRequestBuilder get(String urlTemplate, Object... urlVariables) { return MockMvcRequestBuilders.get(urlTemplate, urlVariables) .requestAttr(RestDocumentationGenerator.ATTRIBUTE_NAME_URL_TEMPLATE, urlTemplate); }위의 코드는 RestDocumentationRequestBuilders의 get()입니다.Spring REST Docs2 - 요청, 응답필드의 9:27에서 하신 말씀 듣고 상속 관계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고 궁금해서 들어가보니 상속이 아닌RestDocumentationRequestBuilders의 get()에서 내부적으로 MockMvcRequestBuilders의 get()를 호출해주더라구요.MockMvcRequestBuilders가 추상클래스지만 get()이 static으로 선언되어 있어 상속을 해도 오버라이드를 할 수 없기에 저런 식으로 만들었지 않았을까?라고 추측을 해봤습니다.그러면서 추가적으로 위의 클래스들이 추상클래스로 만들어져 있고 메소드가 전부 static으로 선언되어 있는 것에 대해 이유가 궁금했습니다.추상클래스는 추상 메소드를 선언하고 상속을 하면서 오버라이드를 통한 다형성을 위해 사용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여기서는 다른 목적과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검색을 해봤지만 키워드를 잘못 선택했는지명확하게 답을 찾지는 못했고, 추상 클래스와스태틱 메소드에 대해 각각 찾아보면서"객체 생성 제한과 메모리 이득 때문인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하지만 추상클래스도 익명객체를 사용하면 객체 생성이 가능해지는 걸로 아는데 그래서인지RestDocumentationRequestBuilders는 생성자도 private으로 선언해 익명 객체로도 생성이 안되게 막아 놨지만 MockMvcRequestBuilders같은 경우는 생성자를 따로 막아 놓지 않아서 익명 객체로 생성이 가능하더라구요. 이렇게 차이를 두는 이유는 뭔가요??그리고 위의 클래스들처럼 선언한 이유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인텔리제이 -> 이클립스 연동 못 하나요?
제가 인텔리제이를 사용해 본 적이 없는데 강의를 보고 환경설정을 하자니 못 따라가는 부분이 너무 많아 이클립스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불가능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rest일때만 무한 루프 도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그냥 컨트롤러에서 model에 담아서 조회할떄는 무한루프가 안도는데 json으로 반환할떄는 왜 무한로프 도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읽기전용의 의미및 객체의 참조 업데이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우선 강의 초반 내용중 Team 객체의 members는 읽기전용이다. 때문에 members를 업데이트해도 JPA에서 update나 insert가 이뤄지지 않는다, 라고 하셨는데 findTeam.getMembers().get(0).setName("a");처럼 team객체의 members객체에 접근하여 값을 변경하면 update 쿼리가 실행되는 이유는 어떤걸까요?두번째로 team객체와 member객체 생성하게되면 team객체에서 참조하는 members를 JPA에서 맵핑해줄거라고 생각했는데 team객체에 members는 생성된 member 객체를 참조하지 않고 em.clear및 em.find로 DB를 통해 team객체를 받아와야 members를 참조하는 구조로 되어있더라구요.JPA에서 이부분은 지원이 되지 않는 부분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관련 질문입니다.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order_id", nullable = false)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연관관계 주인 @JoinColumn(name = "user_id") private User user;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배송정보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ORDER, CANCEL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주문 날짜 public Order(User user) { this.user = user; } @Builder public Order(User user, Delivery delivery, OrderStatus status, LocalDateTime orderDate) { this.user = user; this.delivery = delivery; this.status = status; this.orderDate = orderDate; } //--- 양방향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 편의메서드는 컨트롤 하는 쪽에 만들어주면 됨 // 다 쪽이 연관관계 주인으로 값 의 변경사항은 주인쪽에서 함 // 다 쪽이 set // 일쪽이 add public void setUser(User user) { this.user = user; user.getOrders().add(this); }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 } public void SetDelivery(Delivery delivery) {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 } }중 public void SetDelivery(Delivery delivery) {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 } 에서 연관관계 주인은 order 이면 delivery.setOrder(this); 해도 변경사항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이 안되는 것 아냐?이것도 setUser() 와 동일하게 delivery.getOrder().add(this); 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헷갈리는게 연관관계 주인쪽에서만 변경사항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말의 정확한 예시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외부 계층으로 분리한다'는 말이 궁금합니다.
강의에서 LocalDateTime.now()를 파라미터로 받게끔 해서 분리하는 걸 예시로 들어주셨는데요.'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외부 계층으로 분리한다'는 말씀이 위 예시처럼 파라미터로 받게끔한다는 것인가요?외부 계층이라는 말이 잘 이해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테스트하기 어려운 메서드를 호출하는 상위 레벨의 메서드를 외부 계층이라고 하는 것일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앱 배포시 jar 질문
앱을 배포하는 도중 계속 에러가 나 질문 올립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security'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 implementation 'io.jsonwebtoken:jjwt-api:0.11.5' implementation 'io.jsonwebtoken:jjwt-impl:0.11.5' implementation 'io.jsonwebtoken:jjwt-jackson:0.11.5' implementation 'com.auth0:java-jwt:3.19.2'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위와 같이 build.gradle 파일을 설정하였는데 ./gradlew build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계속 뜹니다. *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bootJar'.> Entry META-INF/MANIFEST.MF is a duplicate but no duplicate handling strategy has been set.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7.6.1/dsl/org.gradle.api.tasks.Copy.html#org.gradle.api.tasks.Copy:duplicatesStrategy for details.해결방법이 있을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find 시 쿼리문 2번 수행
영속성 컨텍스트 2 강의의 약 7분 쯤 em.find를 2번하게 되어도 1차캐시 조회에 의해 쿼리문이 한번만 출력된다고 하셨는데저는 2번 출력되네요.. 문제가 뭘까요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rLlWTlGVWyFRoL-HXbvyWREnpHBC7OBe?usp=sharing 추가로 질문이 하나 더 있는데강의에서는 JPAMain 자바 파일의 try문을 수행하면 db에 바로 저장이 되는데저는 저장이 안됩니다.이것도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