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ec2인스턴스를 다시 켜서 ip가 바뀌면 인증값도 바뀌나요?
개인프로젝트로 하는데 t2.micro는 너무작아서 유료 인스턴스 유형을 사용해야하는데 탄력적 ip를 사용하지않으면 인스턴스를 끄고 켤때마다 주소값이 바뀌는데만약 주소값이 바뀌면 각 ec2인스턴스의 ssh-keygen으로 인증 받은 값들도 전부 바뀌는 건가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Built-In Node가 오프라인 상태일때
This is the Jenkins controller's built-in node. Builds running on this node will execute on the same system and as the same user as the Jenkins controller. This is appropriate e.g. for special jobs performing backups, but in general you should run builds on agents. Learn more about distributed builds.Disk space is below threshold of 1.00 GiB. Only 471.52 MiB out of 474.81 MiB left on /tmp.강의를 그대로 따라했는데 빌드상태가 오프라인으로 떠요로컬호스트 환경에서는 문제없었습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API Timeout 발생하면서 연결 오류 발생
안녕하세요. 강사님.어느날 서버에 접속해보니 api timeout이 발생하면서 node / pod 등 조회가 안되고 있습니다. E0605 17:20:35.425038 3424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37.169:6443/api?timeout=32s": dial tcp 192.168.37.169: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E0605 17:20:35.425350 3424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37.169:6443/api?timeout=32s": dial tcp 192.168.37.169: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E0605 17:20:35.426888 3424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37.169:6443/api?timeout=32s": dial tcp 192.168.37.169: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E0605 17:20:35.428316 3424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37.169:6443/api?timeout=32s": dial tcp 192.168.37.169: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E0605 17:20:35.429744 3424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92.168.37.169:6443/api?timeout=32s": dial tcp 192.168.37.169:6443: connect: connection refused 위와 같이 api timeout이 발생하면서 연결 거부가 발생하여서구글링하여보니 /etc/kubernetes/admin.conf를 $HOME/.kube/config에 복사하여 해결한 사례를 보고 똑같이 하였으나 증상이 동일합니다.혹시 이런 상황에서 어떤쪽을 확인해보면 좋을까요?(kubelet쪽도 확인하여보았지만 정상 running 상태였습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cronjob을 생성 후 대시보드를 통한 접근시 404오류가 발생합니다.
xshell을 통해서 yaml 파일 작성 후 cronjob을 생성해보기도 하였고 대시보드를 통해 cronjob을 생성해보기도 하였습니다. 생성까지는 다음과 같이 무사히 되는데 클릭하고 들어갈 경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다음과 같이 별 이상은 없는데 대시보드로 접근만 불가한 상황이네요... stackOverFlow에도 관련 오류가 있길래 좀 찾아봤는데 별다른 해결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ㅜ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관련강의를 통하여 쿠버네티스를 많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림과 실습으로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으로 (굉장히 기본적인 내용인 것 같은데요 ㅎ) 대쉬보드 에서 클러스터 롤바인딩(ex. kubernetes-dashboard2)을 수정할때는 버튼으로 수정이 편한데요. OS 상에서는 어떻게 수정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대시보드 접속 오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k8s master 노드와 node1,2를 모두 정상적으로 생성한 상태인데, 대시보드 접근이 안되어 문의글 남깁니다. 대시보드 url을 입력해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kubectl get pods -A 했을 때 모든 pods가 정상적으로 running 상태입니다. 문제가 무엇일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vagrant 설치중 404 오류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vagrant upBringing machine 'master-node' up with 'virtualbox' provider...==> master-node: Box 'rockylinux/8' could not be found. Attempting to find and install... master-node: Box Provider: virtualbox master-node: Box Version: >= 0==> master-node: Loading metadata for box 'rockylinux/8' master-node: URL: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rockylinux/8==> master-node: Adding box 'rockylinux/8' (v9.0.0) for provider: virtualbox master-node: Downloading: https://vagrantcloud.com/rockylinux/boxes/8/versions/9.0.0/providers/virtualbox/unknown/vagrant.boxDownload redirected to host: dl.rockylinux.org master-node:An error occurred while downloading the remote file. The errormessage, if any, is reproduced below. Please fix this error and tryagain.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4 설치중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ㅠ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다음 강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너무 잘 수강했습니다. 다음 강의가 궁굼한데언제쯤 나오나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젠킨스에서 properties 방법을 알고싶다는거 였습니다.
질문 답변에 properties를 불러오는 방법들이 나열되었는데 답변 내용은 이미 아는 내용들입니다..Jenkins와 같은 CI/CD 도구를 이용할 때는 빌드 또는 배포 과정에서 외부의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환경 변수를 이용하여 필요한 설정 값을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고 있는데여기서 외부 설정파일을 어떻게 참조하는지 그 방법을 알고싶었습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ssh-copy-id를 사용해도 비밀번호를 계속 요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문제가 발생해 문의 남기게 되었습니다. [Ansible 기본명령어] 파트를 보고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hosts 파일 생성 후 [devops] 에 ansible-server 와 docker-server ip 등록ssh-keygen 명령어 수행ssh-copy-id root@[접속IP] 명령어 수행접속은 정상적으로 잘 됩니다.그러나 ssh-copy-id 실행 후에도 ssh root@172.17.0.3 과 같이 접속하려고하면 비밀번호를 입력을 요구합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아래는 ssh-copy-id 실행 후 ssh root@172.17.0.3를 입력시 출력되는 메시지입니다.Enter passphrase for key '/root/.ssh/id_rsa': 참고로 ssh-copy-id root~ 수행시/root/.ssh 하위에 있는 known_hosts 파일에 각 호스트IP 에 대한 키값같은게 추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 되는 것을 보면 정상적으로 동작은 한 것 같은데 ... 왜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뜰까요?간과하고 있는 부분을 알려주시면 수업 시청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추가1강의를 계속 진행하다보니 ansible all -m ping 시에 docker-serv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ermssion denied가 발생합니다. ( ssh 로 docker-server 직접 접근시 문제 없습니다. )관련하여 커뮤니티 Q&A 에서/root/.ssh 하위의 authroized-keys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과 id_rsa_pub 내용이 일치 해야 한다고 해서 확인했더니 동일한걸로 판단 됩니다. 혹시 몰라 .ssh 하위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ssh-keygen 부터 수행하였으나 결과는 동일합니다.authrorized_keys 내용id_rsa.pub 내용 known_hosts 내용 이상입니다.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OVA이미지 실습시, kubectl run nginx 안됨
도저히 실습에 진도가 나가지않아서 삽질하다가 질문드립니다. 사내에서 실습하는데, 사내 Proxy로 인해 Vagrant로 동작이 안되서 만들어놓으신 Vagrantfile, sh 스크립트 파일까지 고쳐가면서 하나씩 뚫고 가다가 결국은 포기했습니다. 그래서 강의대로 OVA이미지 파일 4개를 Windows의 VirtualBox에 import하고 실행했는데요.강의처럼 테스트로 nginx pod 하나 뛰워보면, 계속 상태가 아래와 같이 ContainerCreating에서 변하지 않습니다. [root@m-k8s ~]# kubectl run nginx --image=nginx pod/nginx created [root@m-k8s ~]# kubectl get po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nginx 0/1 ContainerCreating 0 14s <none> w3-k8s <none> <none> 그래서 인터넷 뒤져서 descibe 명령을 해보면 아래와 같고요[root@m-k8s ~]# k describe pods Name: nginx .... Events: Type Reason Age From Message ---- ------ ---- ---- ------- Normal Scheduled 3m11s default-scheduler Successfully assigned default/nginx to w3-k8s Warning FailedCreatePodSandBox 3m10s kubelet Failed to create pod sandbox: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setup network for sandbox "98c8cd593834608f6b964442a4253da3b4d5c8936ee5ba0b01d2b37dd58f7f07": plugin type="calico" failed (add): stat /var/lib/calico/nodename: no such file or directory: check that the calico/node container is running and has mounted /var/lib/calico/ kubelet.service 로그를 보면 아래와 같이 rpc error가 발생합니다.[root@m-k8s ~]# journalctl -f -u kubelet.service -- Logs begin at Fri 2024-05-31 13:58:40 KST. -- May 31 13:59:30 m-k8s kubelet[1170]: E0531 13:59:30.245464 1170 kuberuntime_gc.go:176] "Failed to stop sandbox before removing" err="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destroy network for sandbox \"684257523f2fa5084b4176cb38db77da2b32eaede58d0e565eafa9cd0a606167\": plugin type=\"calico\" failed (delete):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Get \"https://[10.96.0.1]:443/apis/crd.projectcalico.org/v1/clusterinformations/default\": dial tcp 10.96.0.1:443: i/o timeout" sandboxID="684257523f2fa5084b4176cb38db77da2b32eaede58d0e565eafa9cd0a606167" May 31 13:59:40 m-k8s kubelet[1170]: E0531 13:59:40.856695 1170 remote_runtime.go:269] "StopPodSandbox from runtime service failed" err="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destroy network for sandbox \"e2e9812b51ac2134f3a12109f08b56c4475de7206dde4b4a127ca8ed418653b0\": plugin type=\"calico\" failed (delete):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Get \"https://[10.96.0.1]:443/apis/crd.projectcalico.org/v1/clusterinformations/default\": dial tcp 10.96.0.1:443: i/o timeout" podSandboxID="e2e9812b51ac2134f3a12109f08b56c4475de7206dde4b4a127ca8ed418653b0" May 31 13:59:40 m-k8s kubelet[1170]: E0531 13:59:40.856857 1170 kuberuntime_manager.go:954] "Failed to stop sandbox" podSandboxID={Type:containerd ID:e2e9812b51ac2134f3a12109f08b56c4475de7206dde4b4a127ca8ed418653b0}무엇이 문제일까요? ㅠ위 로그에 "https://[10.96.0.1]:443/apis/crd.projectcalico.org/v1/clusterinformations/default"이 10.96.0.1 IP는 처음보는 IP인데 정상적인 IP는 맞을까요?OVA이미지 import할때 VirtualBox에 설정이 문제일까요?kubectl run nginx --image=nginx 할때 외부사이트에서 이미지를 받아오나요? 외부 사이트라면 ID/패스워드 인증없이 받아오는걸까요? 외부 registry면.. 또 Proxy 설정이나, SSL 인증이 문제가 될거 같기도 한데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application.properties는 어떻게 불러오나요?
제가 따로 만든 프로젝트로 젠킨스와 연동중입니다.git 허브에 프로젝트를 push할때 properties에는 aws계정 등이 포함되어 따로 올라가지않습니다.properties는 어떻게 불러와야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일부 event는 디폴트 브랜치에서만 동작한다 ?
일부 event는 디폴트 브랜치에서만 동작한다고 하셨는데 디폴트 브랜치를 pr-test로 바꾸면 pr-test가 디폴트 브랜치니까 issue 생성 시 event가 일어나야 하는 것 아닌가요? 제가 잘못 이해한 걸 까요..?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gh auth login 관련 질문드립니다!
Run echo | gh auth login --with-token! First copy your one-time code: 0937-4E42Open this URL to continue in your web browser: https://github.com/login/device이런식으로 계속 코드를 입력해줘야 다음 step이 시작이 되던데 입력하지않고 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Pod 생성시 질문입니다
팟 생성시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저는 노드가 node1이아닌 node2로 작동되는데 설정을 어떻게 변경하여야 node1로 작동할까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kubectl get pod/pods, node/nodes 명령어는 같은 명령인가요?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6. ARM 계열의 m1 , m2 계열은 VirtualBox를 통한 구성이 원할하지 않고, 실습 환경의 다변화는 추후 대처하기 어려워서 현재 과정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15529)[질문 하기]강의에서 보면 처음엔 kubectl get pod를 사용하다가 deployment를 사용할 때는 kubectl get pods를 사용하던데 입력해보면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던데요. 같은 명령인가요?node와 nodes도 결과가 같긴하네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베이그런트 설치후 Xshell로 cat join.sh 할때입니다
k8s-master와 node2 까지는 join.sh가 잘됩니다만node1은 -bash: kubeadm: command not found 라고나오면서 마스터 서버에 조인이 불가능합니다 Xshell에서 node1을 지우고 새로 생성해봐도 똑같이 뜨는데 아무래도 커버네티스가 Node1에서 제대로 설치가 안된것같은데Vagrant 파일안에 있는 명령문들로 개별적으로 설치중이긴한데상관없을까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폐쇄망(offline)환경 쿠버네티스 구축 문의
안녕하세요,강의를 열심히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폐쇄망(Offline) PC 에서 동일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나,vagrant에서 부터 막혔습니다.인터넷이 되는 PC에서 수동으로 옮겨 문제가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하나하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오프라인으로 환경을 구성하려면 수동으로 vagrant file에 있는 패키지들을 다운받아서 옮겨야 하나요?오프라인 환경으로 구축하는 수강생도 많을거라 생각하여, 이에 질문드립니다!추가로, vagrant file을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좋겠죠?!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빌드된 결과물..이 없어요
my-third-pipeline에서메이븐으로 빌드한 결과물은 왜 작업공간이 안나올까요?이게 보이질 않네요 ㅠ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exec command 콘솔 아웃풋..
jenkins "Send build artifacts over SSH" - "exec command " 에서 출력을 하면 왜 젠킨스 사이트의 콘솔아웃풋에 아무것도 안나올까요ㅠㅠ이렇게 출력해도 아무것도 안나옵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