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보강 수업까지 수업 완료하고 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로 넘어가면될까요?
보강수업이 버전차이가 조금 나는거 같아서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3
Ingress 에 TLS 추가가 NGINX mTLS 아키텍처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일프로님, 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섹션 4 실습하기 4:13에 나온 tls 설정이 NGINX mTLS 아키텍처와 다른건지 궁금합니다.https://nginxstore.com/blog/kubernetes/nginx-service-mesh-mtls-%EC%95%84%ED%82%A4%ED%85%8D%EC%B2%98/다른 경우 mTLS 아키텍처로 많이 TLS 설정을 하나요? 어떤 경우에 mTLS 아키텍처를 사용하나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1.27 kubernetes에서 docker command가 안쓰입니다
안녕하세요.https://kubetm.github.io/k8s/09-intermediate-architecture/networking/위 부분의 네트워킹 실습 중docker ps 명령어를 입력했는데-bash: docker: command not found^ 위처럼 명령어를 찾을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찾아보니 쿠버네티스 1.27 버전에서는 containerd가 container-runtime으로 변경된듯 합니다. Dockershim이 1.24부터 빠졌다는데 이거랑 관련이 있을까요?: https://kubernetes.io/blog/2022/02/17/dockershim-faq/[root@k8s-master ~]# kubectl get nodes -o wide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INTERNAL-IP EXTERNAL-IP OS-IMAGE KERNEL-VERSION CONTAINER-RUNTIME k8s-master Ready control-plane 35d v1.27.2 192.168.56.30 <none> Rocky Linux 8.9 (Green Obsidian) 4.18.0-513.18.1.el8_9.x86_64 containerd://1.6.21 k8s-node1 Ready <none> 35d v1.27.2 192.168.56.31 <none> Rocky Linux 8.9 (Green Obsidian) 4.18.0-513.24.1.el8_9.x86_64 containerd://1.6.21 k8s-node2 Ready <none> 35d v1.27.2 192.168.56.32 <none> Rocky Linux 8.9 (Green Obsidian) 4.18.0-513.24.1.el8_9.x86_64 containerd://1.6.21혹시 시간되시면 나중에 실습파트의 명령어 부분을 수정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많은 가르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aws ec2에서 jenkins 서버를 만들고 그안에 ansible도 같이 설치해 놓았습니다.다른 ec2에는 쿠버를 설치해놓고 젠킨스에 접속해서 kubectl apply로 yml 파일이 실행되는것은 확인하였습니다.하지만 ansible 명령어인ansible-playbook -i ./k8s/hosts /home/ec2-user/k8s-cicd-deployment-playbook.yml 과 같이 사용했을때는 안됩니다..명령어를 ec2에 접속해서 직접 입력하면 쿠버에서 pod가 생성되는것을 확인하였는데 젠킨스 페이지에 접속해서 명령어를 사용하면 Running as SYSTEM Building in workspace /var/lib/jenkins/workspace/22 [22] $ /bin/sh -xe /tmp/jenkins51145630571830578.sh + /usr/bin/ansible-playbook -i ./k8s/hosts /home/ec2-user/k8s-cicd-deployment-playbook.yml ERROR! the playbook: /home/ec2-user/k8s-cicd-deployment-playbook.yml could not be found Build step 'Execute shell' marked build as failure Finished: FAILURE이 오류가 뜹니다..젠킨스와 ansible이 하나의 ec2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k8s 처럼 ssh server를 잡아줄 필요가 없지 않나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vagrant up 명령어 실행 중 worker#3 kubelet 오류로 설치 실패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kubelet쪽에 문제가 있다고 설치가 안되는데,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w3-k8s-1.30.0: [kubelet-start] Starting the kubelet w3-k8s-1.30.0: [kubelet-check] Waiting for a healthy kubelet. This can take up to 4m0s w3-k8s-1.30.0: [kubelet-check] The kubelet is healthy after 1.504250225s w3-k8s-1.30.0: [kubelet-start] Waiting for the kubelet to perform the TLS Bootstrap w3-k8s-1.30.0: w3-k8s-1.30.0: Unfortunately, an error has occurred: w3-k8s-1.30.0: context deadline exceeded w3-k8s-1.30.0: w3-k8s-1.30.0: This error is likely caused by: w3-k8s-1.30.0: - The kubelet is not running w3-k8s-1.30.0: - The kubelet is unhealthy due to a misconfiguration of the node in some way (required cgroups disabled) w3-k8s-1.30.0: w3-k8s-1.30.0: If you are on a systemd-powered system, you can try to troubleshoot the error with the following commands: w3-k8s-1.30.0: - 'systemctl status kubelet' w3-k8s-1.30.0: - 'journalctl -xeu kubelet' w3-k8s-1.30.0: error execution phase kubelet-start: context deadline exceeded w3-k8s-1.30.0: To see the stack trace of this error execute with --v=5 or higherThe SSH command responded with a non-zero exit status. Vagrantassumes that this means the command failed. The output for this commandshould be in the log above. Please read the output to determine whatwent wrong.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질문 하기]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때
안녕하세요 강의 영상처럼 192.168.56.3x (nat방식)으로 master, worker1, worker2 노드로 클러스터를 만들고 거기에 wifi로 할당받은 ip를 사용중인 gpu 노드에 토큰을 입력하여 클러스터에 총4대의 노드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어낼 수 있나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 MetalLB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맥 실리콘 지원 소식을 듣고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2.4의 Vagrant + VMware Fusion 으로 맥에서 환경을 구성해서 듣고 있는데요, 환경 설정할 때 다른 분들이 올려주신 질문(Tabby 문제 등)이 저에게도 발생해서 이를 참고하면서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4.외부로 노출하는 더 좋은 방법인 로드밸런서강의 초반에 `kubectl apply -f ~/_Lecture_k8s_starter.kit/ch2/2.4/metallb.yaml' 을 실행하라는 말씀을 해주시는데요, 현재 1.30 버전 폴더에는 해당 metallb.yaml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github branch의 1.25 버전에 있는 metallb.yaml 파일을 복사하여 적용한 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다른 분들을 위하여 metallb.yaml 파일 추가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2.4.베이그런트(Vagrant)+VMware Fusion으로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하기 (비상업적, arm64 사용자)-v1.30강의 후반에 환경이 잘 구축되었는지 확인하는 부분이 있는데 시작쿠버 강의의 경우 MetalLB가 설치되지 않아 LoadBalancer IP가 계속 Pending으로 나와 환경구축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혼동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제가 헤매서요.. ㅎ) 이 부분에 대한 설명도 추가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시작쿠버는 metallb가 없는게 맞나요?
현재 이부분에서 sleep 도 안보이고metallb도 없고 강의 화면에서 "시작 쿠버는 최소한의 설치로 저부분은 존재하지않습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라고 쓰여있는뜻이 시작쿠버는 metallb부분은 생략해도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Tabby 가 실행이 되지않습니다.
.cmd 실행파일에 있는 명령어로 tabby로 설정하고 바탕화면에 있는 이걸 실행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봐도 아무런 반응이 없고컴퓨터를 포맷하고 다시해봐도 아무런 반응이 없는데방법이 없을까요?구글링해봐도 원인을 모르겠습니다.운영체제는 윈도우1 1 입니다. -- 현재 어떻게 해결됐습니다. tabby에서 이부분이 뜨면서 접속이 안되는데 config.yaml파일을 복사 해왔는데 이부분에서 막혀서 진행이 안되고있습니다.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3
안녕하세요, 로컬 환경 세팅 질문입니다.
현재 re-login으로 시도해 봤는데 계속 팅기는 것 같습니다.토큰으로 해봐도 안 되더라구요.위에 페이지도 봤는데위 빨간색 문구가 나오네요..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k8s-master 설치 후 yum update가 안됩니다.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m1 max 로 설치 하고 있습니다. 이더넷 설정최초 설정 이후 yum -y update 를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가상환경 네트워크 설정 <> 맥1 max ifconfig 해본것 ping test - google.com 안되어서 dns 이슈인가 싶었습니다.networkmanager 에 구글 dns 8.8.8.8 추가하니 요청이 가는것처럼 보이는데 443이 뜹니다. ping -c4 mirrors.rockylinux.org 는 ping 가고요.도와주세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쿠버네티스 for SWE
NAT을 사용하면 안되는 규칙에 대한 질문입니다. (Cluster Network(클러스터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
강의 중 NAT을 사용하면 안된다는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다른 노드간 통신을 하려고 합니다.서버A - 공인 아이피(242.53.436.93), 사설 ip(192.168.1.108)서버 B - 공인 아이피(215.26.372.38), 사설 ip(192.168.1.4)NAT을 사용하면 안되는 거면 사설 ip를 이용하는 환경은 노드와 노드끼리 통신이 안되는 건가요?만약 불가능 하다면 직접 통신은 못해도,nginx를 통해 http 통신은 가능할까요?서버A - 노드 1 - 파트(웹어플리케이션이)에서서버 B - 노드 1 - 파트(웹어플리케이션이)에게 215.26.372.38:80/auth/user라는 통신을 요청하는게 가능할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쿠버네티스 실습
안녕하세요. 쿠버네티스 수강생입니다.혹시 실습이 계속 대시보드에서 진행되나요..?터미널로 실습 하고 싶어서 그런데 다른 강의나 강의자료가 있으실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ssh root@192.168.56.31 실행시 Operation timed out이 뜹니다
guest network도 192.168.64.1로 변경해봤는데 ssh root@192.168.56.31 커맨드 실행시 반응이없다가 ssh: connect to host 192.168.56.31 port 22: Operation timed out 오류가 나옵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etcd restore시 etcd static pod pending status
안녕하세요. etcd 백업/리스 투어 진행하고 있는데 정상적으로 etcd snapshot 생성 후 resore 시 etcd pod가 pending 상태를 유지합니다. 혹시 이류를 알 수 있을까요?스냅샷 생성 명령어$ ETCDCTL_API=3 etcdctl --endpoints https://127.0.0.1:2379 --cert=/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key=/etc/kubernetes/pki/etcd/server.key --cacert=/etc/kubernetes/pki/etcd/ca.crt snapshot save /home/k8sadm/20240610.db 스냅샷 정상 확인$ ETCDCTL_API=3 etcdctl --write-out=table snapshot status 20240610.dbDeprecated: Use etcdutl snapshot status instead.+----------+----------+------------+------------+| HASH | REVISION | TOTAL KEYS | TOTAL SIZE |+----------+----------+------------+------------+| 1c359138 | 2024399 | 888 | 3.8 MB |+----------+----------+------------+------------+ 스냅샷 리스토어 명령어ETCDCTL_API=3 etcdctl --data-dir /var/lib/etcd-backup snapshot restore 20240610.db4. descirbe etcd podkubectl describe pod etcd-k8s-jyhyun -n kube-systemName: etcd-k8s-jyhyunNamespace: kube-systemPriority: 2000001000Priority Class Name: system-node-criticalNode: k8s-jyhyun/Labels: component=etcd tier=control-planeAnnotations: kubeadm.kubernetes.io/etcd.advertise-client-urls: https://10.6.20.130:2379 kubernetes.io/config.hash: fa7fbc532f6755b3221eb69e85a2d135 kubernetes.io/config.mirror: fa7fbc532f6755b3221eb69e85a2d135 kubernetes.io/config.seen: 2024-06-10T11:30:54.682732539+09:00 kubernetes.io/config.source: fileStatus: PendingSeccompProfile: RuntimeDefaultIP:IPs: <none>Controlled By: Node/k8s-jyhyunContainers: etcd: Image: registry.k8s.io/etcd:3.5.12-0 Port: <none> Host Port: <none> Command: etcd --advertise-client-urls=https://10.6.20.130:2379 --cert-file=/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client-cert-auth=true --data-dir=/var/lib/etcd --experimental-initial-corrupt-check=true --experimental-watch-progress-notify-interval=5s --initial-advertise-peer-urls=https://10.6.20.130:2380 --initial-cluster=k8s-jyhyun=https://10.6.20.130:2380 --key-file=/etc/kubernetes/pki/etcd/server.key --listen-client-urls=https://127.0.0.1:2379,https://10.6.20.130:2379 --listen-metrics-urls=http://127.0.0.1:2381 --listen-peer-urls=https://10.6.20.130:2380 --name=k8s-jyhyun --peer-cert-file=/etc/kubernetes/pki/etcd/peer.crt --peer-client-cert-auth=true --peer-key-file=/etc/kubernetes/pki/etcd/peer.key --peer-trusted-ca-file=/etc/kubernetes/pki/etcd/ca.crt --snapshot-count=10000 --trusted-ca-file=/etc/kubernetes/pki/etcd/ca.crt Requests: cpu: 100m memory: 100Mi Liveness: http-get http://127.0.0.1:2381/health%3Fexclude=NOSPACE&serializable=true delay=10s timeout=15s period=10s #success=1 #failure=8 Startup: http-get http://127.0.0.1:2381/health%3Fserializable=false delay=10s timeout=15s period=10s #success=1 #failure=24 Environment: <none> Mounts: /etc/kubernetes/pki/etcd from etcd-certs (rw) /var/lib/etcd from etcd-data (rw)Volumes: etcd-certs: Type: HostPath (bare host directory volume) Path: /etc/kubernetes/pki/etcd HostPathType: DirectoryOrCreate etcd-data: Type: HostPath (bare host directory volume) Path: /var/lib/etcd-backup HostPathType: DirectoryOrCreateQoS Class: BurstableNode-Selectors: <none>Tolerations: :NoExecute op=ExistsEvents: Type Reason Age From Message ---- ------ ---- ---- ------- Normal Pulled 11m kubelet Container image "registry.k8s.io/etcd:3.5.12-0" already present on machine Normal Created 11m kubelet Created container etcd Normal Started 11m kubelet Started container etcd Normal Killing 9m46s kubelet Stopping container etcd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Xshell
안녕하세요! 쿠버네티스 수강생입니다.쿠버네티스 설치 할 때 Xshell 말고 putty로 사용 가능한가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pc 사양 문제로 cpu core 수 낮춰도 될까요??
현재 학습에 사용하고 있는 PC의 CPU 수가 4개 입니다. (11세대 i7) 3개 vm을 돌리니 cpu 사용량 100%찍어 종종 뻗곤 합니다. vagrant 파일 수정해서 cpu core수 낮춰도 나중에 강의 진행하는 데 문제 없을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도커 이미지 쿠버네티스 위에 올릴 때 디플로이먼트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도커파일을 쿠버네티스에 올려보고싶습니다.docker pull python:3.8.3-slimdocker run -it python:3.8.3-slimkubectl create deployment python-app --image=python:3.8.3 하여deployment.apps/python-app created 까지 확인했습니다. 하지만와 같은 CrashLoopBackOff가 뜨며 파드가 올라가지 않습니다.혹시 디플로이먼트 파일을 따로 작성해야하나요 아니면 다른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Jenkins 내용 추가
수강전 질문에 Jenkins Webhook 기능을 추후에 필요하면, 추가 강의로 포함해 놓도록 하겠습니다고 하셨습니다. 기대하겠습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쿠버네티스 for SWE
한번에 다운 받기 자료 요청
혹시 한번에 다운 받을수 있게 압축파일로 해주실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