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6. 스프링 MVC - 기본 기능 12페이지에 질문이 있습니다.
"@RequestMapping 은 URL 경로를 템플릿화 할 수 있는데, @PathVariable 을 사용하면 매칭 되는 부분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위 내용중에서 URL 경로를 템플릿화한다라는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pringDataJpa를 쓸때 수정 기능
test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test강의 내용으로 게시판 만들기를 병행하고 있습니다.이번 강의에서 Spring Data Jpa로 변경을 하였는데게시글 수정과 같은 수정 기능은인터페이스인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에서 작성하나요?아니면 Service단에서 Repository의 find를 통해서 수정하도록 작성하나요?SpringDataJpa에서 find, delete는 있는데 수정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궁금합니다..d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Configuration 주석 이유
두가지 질문이 있는데요MySpringBootMain띄울때 HelloConfig 클래스에 @Configuration 이 있어도 잘 동작 하던데 주석 처리하는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다른 질문인데요 @Configuration안에 @Component가 있어서 @Component 대신 @Configuration을 써도 되는것 같던데 빈여러개 등록할때 말고 하나의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할때 @Component 대신 @Configuration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찾아봐도 잘 안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실무에서는 로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에서는 로그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지 궁금합니다.
실무에서는 로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간단한 토이 프로젝트에서는 로그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rest일때만 무한 루프 도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그냥 컨트롤러에서 model에 담아서 조회할떄는 무한루프가 안도는데 json으로 반환할떄는 왜 무한로프 도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IntelliJ, Marketplace에 Lombok이 없어 당황하신 분들에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IntelliJ 2020.03 이후 버전에서는 기본 Plugin으로 Lombok이 설치되어 있습니다!확인해 보고 싶으신 분들은 Plugins의 '설치됨' 클릭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6spy 1.9.0 -> 1.8.1 버전 관련 내용 공유
p6spy releases를 확인해보면 1.9.0부터 Spring boot 3을 지원한다고 되어있고 테스트시 로그가 안뜹니다. 다른 질문에서보니 해당 버전이 메이븐에서만 지원되어서 그런 듯 합니다.그래서 바로 아래 버전인 1.8.1을 사용해서 정상적으로 로그가 뜨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래서 앞으로 최신 버전으로 했을때 안뜬다면 버전을 내려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ConnectionTest.java 실행결과가 달라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ckage hello.jdbc.connection;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static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Const.*; @Slf4j public class ConnectionTest { @Test void driverManager()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1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Connection con2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log.info("connection={}, class={}", con1, con1.getClass()); log.info("connection={}, class={}", con2, con2.getClass()); } @Test void dataSourceDriverManager() throws SQLException { //DriverManagerDataSource - 항상 새로운 커넥션 획득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useDataSource(dataSource); } private void useDataSource(DataSource dataSource)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1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2 = dataSource.getConnection(); log.info("connection={}, class={}", con1, con1.getClass()); log.info("connection={}, class={}", con2, con2.getClass()); } }실행결과21:19:15.821 [main] INFO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conn2: url=jdbc:h2:tcp://localhost/~/test user=SA, class=class org.h2.jdbc.JdbcConnection21:19:15.821 [main] INFO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conn3: url=jdbc:h2:tcp://localhost/~/test user=SA, class=class org.h2.jdbc.JdbcConnection(질문)밑에 내용이 나오지 않은데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test] 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test]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OrderControllerV1 인터페이스에서 @RequestParam 작성 관련 질문
OrderControllerV1 인터페이스에서 @RequestParam을 생략하면 안 되고 작성해줘야 한다고 하셨는데, '@RequestParam("itemId")'과 같이 "itemId"라는 속성도 생략하면 안 되는 것인가요? @RequestParam이 아닌 @RequestParam("itemId")로 적어주어야 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i vs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
api: 사람과 컴퓨터 사이에 키보드라는 접점으로 소통하듯이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는 api라는 접점,규약이 있어서 통신할 수 있고 api를 통해서 데이터나 라이브러리를 호출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개발하면서 반복되는 코드들을 모아놓은 것 남이 만들어진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을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증가한다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능동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프레임워크: 개발하면서 반복되는 코드들을 어떤 규칙에 맞게 쓸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해 놓은 것 라이브러리와 차이점은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가 프레임워크에 의해 수동적으로 불려진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RequestURL 이 로그에서 일부 생략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강의 내용중에 http://localhost:8080/log-demo 이런식으로 로그가 남는데저같은 경우는 http://localhost:8080 부분이 생략된 채로 나옵니다.이런식으로요. 다른분이 작성한 글에도 저와 같은 내용인 것을 보긴했는데그분은 인텔리제이를 재실행하니 고쳐졌다고 하시는데저는 재실행 + 재부팅도 해봤는데 안되네요. 작동에는 문제가없는데 이부분만 그러네요.제 MyLogger 부분에 출력부분을 긁어왔습니다.@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public class MyLogger { private String uuid; private String requestURL; public void setRequestURL(String requestURL) { this.requestURL = requestURL; } public void log(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 + uuid + "][" + requestURL + "] " + message);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reate :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lose : " + this); }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스프링 부트3와 카운트 쿼리 분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카운트 쿼리 분리 부분을 듣는 도중에 카운트 쿼리에 LEFT JOIN이 사용되는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처럼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 @Query(value = "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m.team t") Page<Member> findByAge(int age, Pageable pageable); ... } @Test public void paging()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1",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2",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3",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4", 10));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5", 10)); //when PageRequest pageRequest = PageRequest.of(0, 3, Sort.by(Sort.Direction.ASC, "username")); Page<Member> page = memberRepository.findByAge(10, pageRequest); //then List<Member> content = page.getContent(); assertThat(content.size()).isEqualTo(3); assertThat(page.getTotalElements()).isEqualTo(5); assertThat(page.getNumber()).isEqualTo(0); assertThat(page.getTotalPages()).isEqualTo(2); assertThat(page.isFirst()).isTrue(); assertThat(page.hasNext()).isTrue(); }그런데 결과는 강의와는 달리 카운트 쿼리에 LEFT JOIN 이 사용되지 않았고, 심지어 JPQL 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m.team t 을 @Query에 작성했음에도 조회 쿼리도 LEFT JOIN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습니다.이후 스프링 부트 3 이하 버전에서 동일한 코드로 실행해보니 강의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스프링 부트 3 부터 적용된 스프링 데이터 JPA 에서는 이러한 부분의 최적화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일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빌더 사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빌더를 사용하시는 것을 보고 흥미가 동해 질문남깁니다!선생님께서는 예제의 경우 대부분 생성자를 private으로 막아두고 빌더를 통해서만 객체를 생성하시는 것 같습니다.저는 필드 개수가 많아도 public 생성자로 열어두는 편인데, 그 이유는어떤 인자를 전달해야할지 인텔리제이의 힌트로 알아채기도 편하고필드가 null 일 수도 있는 경우 객체를 생성할 때 명시적으로 null 이 보이는게 낫다 라고 생각해서입니다. null을 명시적으로 인자로 전달하는 것이 불편하다면 텔레스코핑을 통해 생성자를 조금 더 만들어두기도 합니다 :)물론 빌더 패턴을 사용하면 이런 코드들이 전부(?) 사라지기는 하지만, 이 외에 빌더로 객체 생성을 강제하는 것에 대한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선생님만의 빌더랑 생성자 선택 기준이 따로 있을까요? 마지막으로 실무에서도 자주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비관적 락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PA 책 16장 확인하고 질문이 생겨서 글 남깁니다.강의에서 'for update'를 사용하는걸 보면 비관적 락인 'PESSIMISTIC_WRITE'방식인것같아요.그런데 이게 'PESSIMISTIC_READ'랑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검색해보니까 write가 읽기도 막는다고 적혀있는곳이 종종 보이는데,강의에서는 for update하고 다른 트랜잭션에서 읽기가 정상적으로 된것같아서요..제가 스프링에서 두 방식 설정해서 각각 실행시킨 다음에 mysql workbench에서 select문 실행시켰을때도 모두 문제 없이 읽혔어요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ScriptAssert 스프링 3.0.1 이상 / jdk 17 버전 이상 실행 불가 임시방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내쉬혼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 이제 jdk 17에서부터 deprecated 되면서 더이상 지원을 하지 않게 됬지만그래들로 임시방편이더라도build.gradle에 implementation ("org.openjdk.nashorn:nashorn-core:15.3") 로 강제로 연명은 아직 가능합니다..근데 내쉬혼이 현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랑은 좀 머니최신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가진 graalVM 을 임포트해 와서 CustomScriptAssertValidator 클래스를 만들어 @Bean 등록을 하고 싶은데 어렵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2.x - Querydsl 이슈있는분들 참고하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group = 'com.example'version = '0.0.1-SNAPSHOT'sourceCompatibility = '11'ext["hibernate.version"] = "5.6.5.Final"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repositories { mavenCentral()}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javax.validation:validation-api'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 //JdbcTemplate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MyBatis 추가 implementation 'org.mybatis.spring.boot:mybatis-spring-boot-starter:2.2.0' //JPA, 스프링 데이터 JPA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H2 데이터베이스 추가 runtimeOnly 'com.h2database:h2'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테스트에서 lombok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querydsl 추가//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def querydslDir = "src/main/generated"//clean {// delete file(generated)//}querydsl { library = "com.querydsl:querydsl-apt"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sourceSets { main { java { srcDirs = ['src/main/java', querydslDir]} }}compileQuerydsl{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강사님이 올려주신 내용 + 구글링 + 직접 수정했습니다. 간혹, 빌드는 되는데 generated 파일에 QClass 안보이시는 분들은 queryDsl 저장되는 경로에 $buildDir 대신 'src/main/'으로 해보세요
-
해결됨3. 웹개발 코스 [스프링 프레임워크+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무료쿠폰 발급 요청방법
모든 (기존,신규)수강생에 한해 https://www.inflearn.com/course/%EC%9B%B9%EA%B0%9C%EB%B0%9C-%EC%BD%94%EC%8A%A4-ea-%EC%A0%84%EC%9E%90%EC%A0%95%EB%B6%80-%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무료쿠폰드리고 있습니다.현재 강의보다 개선된 강의이며 자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자신의 인프런 닉네임을 적어서 쿠폰요청으로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vmproductor@gmail.com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 특징 중 자동 업데이트 관련
주문 서비스 개발 부분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주문 취소(OrderService.cancelOrder) 부분에서order.cancel() 만 작성하면 JPA 특징으로 인해, 데이터 업데이트 관련 쿼리 로직 없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고 하셨는데요. 주문 생성(OrderService.order)의 EntityManager 가 사용된 orderRepository.save(order); 와 혼동이 와서 질문 남깁니다. 주문 취소 order.cancel() 메서드를 타면서 엔티티의 값(status, count 등) 변경 내역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이라고 하면, 주문 생성도 Order.createOrder(member, delivery, orderItem); 를 타면서 엔티티의 값들을 설정하기 때문에 orderRepository.save(order); 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JPA 를 잘 몰라서 혼란이 오는 것 같은데.. 쿼리는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업데이트/저장/삭제 등 DB 조작이 일어나려면 EntityManager 를 통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주문 취소는 EntityManager 없이 업데이트 되고, 주문 생성은 EntityManager의 persist() 를 사용해서 저장하는 것 이 2가지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19:04 초 where in 쿼리 대신 where array_conatins 쿼리가 나왔습니다. (스프링 부트 3.1)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현재 스프링 부트 3.1 로 강의를 따라가고 있습니다.default_batch_fetch_size:10 을 설정해서 나가는 쿼리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만, 쿼리가 두 개가 아니고 총 세 개가 나왔습니다.023-06-13T23:24:02.666+09:00 DEBUG 6875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d1_0.delivery_id, d1_0.city, d1_0.street, d1_0.zipcode, d1_0.status, m1_0.memeber_id, m1_0.city, m1_0.street, m1_0.zipcode, m1_0.name,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eber_id=o1_0.member_id join delivery d1_0 on d1_0.delivery_id=o1_0.delivery_id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2023-06-13T23:24:02.676+09:00 INFO 68750 --- [nio-8080-exec-5] p6spy : #1686666242676 | took 2ms | statement | connection 8| url jdbc:h2:tcp://localhost/~/springbootjpa select o1_0.order_id,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m1_0.meme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eber_id=o1_0.member_id join delivery d1_0 on d1_0.delivery_id=o1_0.delivery_id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select o1_0.order_id,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m1_0.meme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eber_id=o1_0.member_id join delivery d1_0 on d1_0.delivery_id=o1_0.delivery_id offset 0 rows fetch first 100 rows only; 2023-06-13T23:24:02.681+09:00 DEBUG 6875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order_item_id, o1_0.count, o1_0.item_id, 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o1_0.order_id) 2023-06-13T23:24:02.689+09:00 INFO 68750 --- [nio-8080-exec-5] p6spy : #1686666242689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8| url jdbc:h2:tcp://localhost/~/springbootjpa select o1_0.order_id,o1_0.order_item_id,o1_0.count,o1_0.item_id,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o1_0.order_id) select o1_0.order_id,o1_0.order_item_id,o1_0.count,o1_0.item_id,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ar2: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o1_0.order_id); 2023-06-13T23:24:02.690+09:00 DEBUG 68750 --- [nio-8080-exec-5] org.hibernate.SQL : select i1_0.item_id, i1_0.dtype, i1_0.category_item_id, i1_0.name, i1_0.price, i1_0.stock_quantity, i1_0.author, i1_0.isbn, i1_0.artist, i1_0.etc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i1_0.item_id) 2023-06-13T23:24:02.691+09:00 INFO 68750 --- [nio-8080-exec-5] p6spy : #168666624269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8| url jdbc:h2:tcp://localhost/~/springbootjpa select i1_0.item_id,i1_0.dtype,i1_0.category_item_id,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uthor,i1_0.isbn,i1_0.artist,i1_0.etc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i1_0.item_id) select i1_0.item_id,i1_0.dtype,i1_0.category_item_id,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uthor,i1_0.isbn,i1_0.artist,i1_0.etc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ar3: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 CAST(3 AS BIGINT), CAST(4 AS BIGINT),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i1_0.item_id); 수강 중에 제가 따라 작성한 코드를 스프링부트 2.4.1에 그대로 옮겨보니 강의 내용대로 where in 쿼리가 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스프링부트 버전 차이에서 나오는 쿼리가 달라진 것 같은데, 제 생각이 맞을까요? 답변 확인 : 빠르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덕분에 array_contains 로 최적화된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Hibernate에서 최적화를 했었었군요!)아 그리고 강의 내용에서 쿼리 세 개 나온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잘못 본 것에 대해 질문글에서 수정을 해놨어야 했는데 빼놓지 않았었네요 ㅠㅠ)다시 한번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초기화, 소멸 인터페이스의 단점에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초기화, 소멸 인터페이스의 단점부분에서 아래의 내용이 언급 되었습니다. 내가 코드를 고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에 적용할 수 없다클래스파일로 컴파일되어있는 수정이 불가한 라이브러리를 받았다고 가정해보자. 이 라이브러리의 초기화와 종료 메서드를 무조건 호출 해주어야 한다. 스프링 빈으로 이미 등록 했는데 우리는 코드를 고칠 방법이 없다. 위에 주어진 예시가 잘 이해가 안가서 좀 더풀어서 설명 가능하실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