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db 미생성 및 NullPointerException 문의
build.grade 파일application.yml 파일Member 파일MemberRepository 파일MemberRepositoryTest 파일Assertions.assertThat 가 안되는부분은 QnA를 통해 해결하였습니다.h2 데이터베이스 접속은 되는상태이며 실행시 member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습니다.그리고 아래와 같은 NullPointerException 이 발생하여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설계할때 순서
안녕하세요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활용1을 듣고있는데요설계할때 순서가 궁금합니다먼저 요구사항을 분석하고도메인모데을 설계한 후에테이블틀을 먼저 설계하는게 우선인가요아니면 엔티티 틀을 설계하는게 우선인가요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 빌드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berRepositoryTest의 testMember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에러 내용이 너무 길어 프로젝트 링크 첨부하였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flmRAYvWXnIY-1BNrdd76dXY6YdL-kHn/view?usp=sharing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트랜잭션 전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중복_회원_예외() 테스트에서 @Rollback(false)를 적용하고 테스트를 돌리면member1 & member2 모두 DB에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는데이유를 생각해 보면 테스트에서 시작하는 중복_회원_예외() 메서드에서 2번의 조인 모두 @Rollback 이랑 @Transactional 모두 1개의 물리 트랜잭션에 묶여 있는 것이고 1개의 논리 트랜잭션인 2번째 join이 실패하였으니첫 번째 논리 트랜잭션은 @Rollback(false)이지만 해당 물리 트랜잭션이 실패 판정되어서 모두 롤백 되는 거겠죠?서비스 레벨에서 join()을 Propagation.REQUIRES_NEW를 통해 신규 물리 트랜잭션을 만드니까 예상대로 member1만 DB에 적용됩니다정리하면 테스트에서 붙이는 트랜잭션 또한 트랜잭션 전파 원리는 동일테스트에 트랜잭션을 붙이면 추가적으로 @Rollback(true)가 default로 붙는데 이 또한 같이 같은 원리로 전파된다가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다대일 ,일대다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er와 Order의 연관관계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Member와 Order 테이블만 보고, 일대 다 양방향 연관관계인지 다대 일 양방향 연관관계인지 정하는 기준이 있을까요?일대 다의 단방향 연관관계매핑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는건 기본편에서 들어서 배웠습니다.그런데 왜? 양방향 연관관계는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요?Member에서 Order를 가진다고 문제될게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db table 생성안됨
h2 db 연결은 되었는데 member테이블 생성이 안됩니다. spring: #띄어쓰기 없음 datasource: #띄어쓰기 2칸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4칸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띄어쓰기 2칸 hibernate: #띄어쓰기 4칸 ddl-auto: create #띄어쓰기 6칸 properties: #띄어쓰기 4칸 hibernate: #띄어쓰기 6칸 show_sql: true #띄어쓰기 8칸 format_sql: true #띄어쓰기 8칸 logging.level: #띄어쓰기 없음 org.hibernate.SQL: debug #띄어쓰기 2칸 # org.hibernate.type: trace #띄어쓰기 2칸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book.getStockQuantity()의 개수가 8인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처음에는 book.getStockQuantity()가 10일것이라 예상하였고, db에서 다시 조회해야 8일것이라 생각했습니다. 8인 이유는 book.getStockQuantity()를 할때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 캐시에서 조회해오기 때문에 8인건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회원 가입 후 DB 저장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잘 듣고있는 학생입니다.질문의 내용은, 회원가입 후 제출을 누른 뒤, 다시 원래대로 redirect:/까지는 return 되지만, H2 database에 저장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제가 생각한 문제의 원인은 3가지입니다.memberrepository.join의 문제인가? (애초부터 저장이 되지 않음.)h2 database의 연결 문제인가?스프링 코드의 문제인가?이렇게 3가지의 문제로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다른분들의 오류도 찾아보고 나름대로 열심히 찾아보았지만,모두 검토해본 결과, 이 3가지의 문제+다른분들과 겹치는 문제가 아니여서 질문드립니다.제가 이 3가지의 문제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없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그렇다면(이것이 맞다면), MemberServiceTest의 저장도 가능하지가 않을 뿐더러, 이것의 데이터도 저장이 되지 않아야 한다.허나 MemberServiceTest를 돌려본 결과, 테스트는 통과하고 .join도 다 가능하다 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코드 ::MemberServiceTest@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public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EntityManager em; @Test //@Rollback(value = false) -->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을때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em.flush(); assertEquals(member,memberRepository.findOne(saveId)); } h2.database의 연결 문제인가?이것에 대해 제가 아니라고 생각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그 이후의 강의인 상품 등록을 했을때, 신기하게 상품 등록은 정상적으로 되었습니다.h2 database에도 등록이 되었고 상품 목록도 나타났습니다.이렇게 등록을 했을때.이렇게 데이터베이스에도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상품 목록도 제대로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2번도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3.스프링 코드의 문제인가?:: MemberController 코드package jpabook.jpashop.controller; import jakarta.validation.Valid; import jpabook.jpashop.domain.Address;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jpabook.jpashop.service.Member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BindingResul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java.util.Li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GetMapping(value = "/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Form(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memberForm", new MemberForm()); return "members/createMemberForm"; } @PostMapping(value = "/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Valid MemberForm form, BindingResult result) { if (result.hasErrors()) { return "members/createMemberForm"; } Address address = new Address(form.getCity(), form.getStreet(), form.getZipcode());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form.getName()); member.setAddress(address); memberService.join(member); return "redirect:/"; } @GetMapping(value = "/members")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List<Member> members = memberService.findMembers(); model.addAttribute("members",members); return "members/memberList"; } }::creatememberForm.html코드<!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h:replace="fragments/header :: header" /> <style> .fieldError { border-color: #bd2130; } </style> <body> <div class="container"> <div th:replace="fragments/bodyHeader :: bodyHeader"/> <form role="form" action="/members/new" th:object="${memberForm}" method="post">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name">이름</label> <input type="text" th:field="*{nam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이름을 입력하세요" th:class="${#fields.hasErrors('name')}? 'form-control fieldError' : 'form-control'"> <p th:if="${#fields.hasErrors('name')}" th:errors="*{name}">Incorrect date</p>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city">도시</label> <input type="text" th:field="*{city}" class="form-control" placeholder="도시를 입력하세요">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street">거리</label> <input type="text" th:field="*{street}" class="form-control" placeholder="거리를 입력하세요">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zipcode">우편번호</label> <input type="text" th:field="*{zipcod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우편번호를 입력하세요"> </div> <button type="submit" class="btn btn-primary">Submit</button> </form> <br/> <div th:replace="fragments/footer :: footer" /> </div> <!-- /container --> </body> </html>여러번 비교해 본 결과 강의자료와 강의에 있는 코드와 다름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오류 내용이 나타나면 해결하기가 더 쉬운데, 오류내용이 나오지 않아서 해결하기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사실 이후에 강의도 듣고 있다가 이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아서 계속 막혀서 고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활용 2들어가기 전에 질문
JPA에 대한 기본적인 CRUD는 알고 있는 상태입니다.자바 ORM표준 JPA프로그래밍이라는 강의 수강해야 JPA2강의를 이해할 수 있는걸까요? 강의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Like 검색으로 구현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강의대로 구현하니 제목과 설명의 full text를 입력했을 때만 검색이 되는데요Like 검색으로 구현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객체 id 생성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테스트를 실행할 때마다 member 객체가 초기화되고, repository에 저장이 되는데, 그럼 db에 userName=memberA로 갖는 객체가 여러 개 저장되야 하는 거 아닌가요?왜 테스트를 계속 실행해도 DB엔 userName=memberA인 객체 하나만 저장되어 있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서비스 개발 할 때, 주문 상품 생성에 관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예[질문 내용]주문 생성 시에 매개변수로 OrderItem을 여러개 받을 수 있게 했었는데 그렇다면 주문 서비스도 ItemId를 여러 개 받게 해야 하지 않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yml 과 properties의 차이가 큰가요?
현재 MemberRepository test를 진행하고 있습니다.데이터베이스 같은 경우는 mysql로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properties를 사용할 경우에는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는데 yml로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jdbc에서 dialect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BeanCreationException 오류가 생깁니다. 분명 둘다 시스템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인데 왜 이런 차이가 생기나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오늘 결제 했습니다!
오늘 결제 했습니다! 잘 들을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
강의 내용 중 엔티티에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시키셨는데 여러 사이트를 보면서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최종적으로 이런 결론을 지었습니다. Q. 어떤 비즈니스 로직을 서비스 계층에서 구현해야 하고 어떤 비즈니스 로직을 도메인에서 구현하는 것이 맞을까?A. 상품과 관련된 비즈니스 로직(주문 접수에 따른 재고 감소, 주문 취소에 따른 재고 증가)에서는 하나의 도메인만 활용이 되므로 하나의 도메인만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상황이라면 도메인에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해도 괜찮지만 여러 도메인을 활용해야하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거나 회원가입이나 로그인과 같이 리포지토리와 직접적 관련을 맺고 있는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라면 서비스 계층에서 구현하는 것이 맞다.질문에 대한 대답이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파일 등록하면 이미지는 안나오고 파일명만 나와요..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Dropzone from 'react-dropzone'; import axiosInstance from '../utils/axios'; const FileUpload = ({ onImageChange, images }) => { const handleDrop = async (files) =>{ let formData = new FormData(); const config = { header: {'content-type': 'multipart/form-data'} } formData.append('file', files[0]); try{ const response = await axiosInstance.post('/products/image', formData, config); onImageChange([...images, response.data.fileName]); }catch(error){ console.error(error); } } return ( <div className='flex gap-4'> <Dropzone onDrop={handleDrop}> {({ getRootProps, getInputProps }) => ( <section className='min-w-[300px] h-[300px] border flex items-center justify-center' > <div {...getRootProps()}> <input {...getInputProps()} /> <p className='text-3xl'> + </p> </div> </section> )} </Dropzone> <div className='flex-grow h-[300px] border flex items-center justify-center overflow-x-scroll overflow-y-hidden'> {images.map(image => ( <div key={image}> <img className='min-w-[300px] h-[300px]' src={`${import.meta.env.VITE_SERVER_URL}/${image}`} alt={image} /> </div> ))} </div> </div> ); }; export default FileUpload; 파일도 uploads에 다 들어가는데 파일명만 계속 나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 비즈니스 로직 vs 서비스 비즈니스 로직
강의에서 DDD의 개념을 적용하시면서 엔티티에 비즈니스 로직을 넣으셨었는데요.아직까진 DDD에 대한 개념이 완벽히 정립되지 않아 별도의 자료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공부하는 차원에서 서비스 계층에서의 비즈니스 로직 개발로 코드 리팩토링을 스스로 해보고 강의에 나오지 않았던 상품 서비스 테스트 코드 작성 결과 일단 통과가 나오긴 했습니다만... 잘 한 것인지 몰라서 코드 평가를 좀 받아보고 싶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테스트 코드 역시 각 계층별로 지켜야 하는 테스트 코드 원칙이 있으나 이 부분도 같이 공부하느라 제대로 적용해보기 아직 어려운 단계라 @SpringBootTest를 사용했습니다. 이 부분은 감안해주세요..! 또 다른 추가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에서 엔티티에 구현한 비즈니스 로직을 서비스 계층에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엔티티를 직접 이용하는 것보다는 DTO를 만들어서 전달하는게 엔티티에 많은 변화를 가하지않는 유일한 방법일까요?ItemService 코드package spring.project.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pring.project.domain.Item; import spring.project.exception.NotEnoughStockException; import spring.project.repository.ItemRepository; import java.util.List;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class ItemService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 public ItemService(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this.itemRepository = itemRepository; } @Transactional public Long saveItem(Item item, int quantity) { addStock(item, quantity); itemRepository.save(item); return item.getId(); } private void addStock(Item item, int quantity) { item.setStockQuantity(item.getStockQuantity() + quantity); itemRepository.save(item); } @Transactional public void removeStock(Item item, int quantity) { int restStock = item.getStockQuantity() - quantity; if (restStock < 0) { throw new NotEnoughStockException("재고가 부족합니다."); } item.setStockQuantity(restStock); itemRepository.save(item); } public Item findOne(Long itemId) { return itemRepository.findOne(itemId); } public List<Item> findAll() { return itemRepository.findAll(); } }ItemServiceTest 코드package spring.project.service;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spring.project.domain.Album; import spring.project.domain.Book; import spring.project.domain.Item; import spring.project.repository.ItemRepository; @SpringBootTest class Item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 private ItemService itemService; @Test @DisplayName("상품 저장 시 상품 저장과 동시에 재고 수량이 증가해야 한다.") void save() { // given Book book = new Book(); book.setAuthor("홍길동"); // when Long id = itemService.saveItem(book, 3); // then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d); Assertions.assertThat(item.getName()).isEqualTo(book.getName()); Assertions.assertThat(item.getStockQuantity()).isEqualTo(3); } @Test @DisplayName("상품 주문이 들어가면 재고 수량에서 주문 수량만큼 차감이 되어야 한다.") void remove() { // given Album album = new Album(); album.setName("영원"); Long id = itemService.saveItem(album, 100); // when itemService.removeStock(album, 4); // then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d); Assertions.assertThat(item.getStockQuantity()).isEqualTo(96);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를 다른 서비스로 바로 넘겨도 될까요?
a도메인 서비스에서 jpa로 가져온 엔티티를b도메인 서비스로 넘겨도 될까요?dto를 쓰지 않고 엔티티 타입을 그냥 바로 넘기려구요 이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끊어주려고 OSIV off하고 데이터커넥션 끊기도록 설정할겁니다 이렇게만 하면 다른 서비스로 넘어가도 괜찮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to와 공통되는 클래스가 있을 때
안녕하세요 Dto클래스가 있을 때, 다른 곳에서도 그와 동일한 스펙의 클래스가 필요하다면 재사용을 해도 되는지, 아니라면 각각 구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컨트롤러에서 요청을 통해, Coordinate(위도와 경도를 필드로 갖는)라는 타입으로 좌표를 받아서 사용하는데, 다른 패키지에서도 동일한 스펙을 갖는 클래스가 필요하다면 Coordinate를 재사용해도 되는 걸까요? 아니면 CoordinateForXXXXDto와 같이 동일한 스펙의 클래스를 이름만 다르게 구현하여 사용해야 할까요? webdtorequestCoordinateDto Dto로만 사용되면 위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만약 재사용이 가능하여 Dto의 역할(계층간의 데이터 전송)이 아닌, 오로지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만 사용되는 경우도 포함돼 있다면 어떤 패키지에 놓아야 할지도 궁금합니다!public class CoordinateDto { private double latitude; private double longitude;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 코드에서 플러시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ackage jpabook.jpashop.service; import jpabook.jpashop.domain.Member; import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junit.jupiter.api.extension.Extend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assertEquals(member,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에외() throws Exception { //given //when //then } }해당 코드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으로 롤백이 일어나는 것은 이해했으나 이것이 Flush 자체가 일어나지 않는 다는 것이 이해 되지 않습니다. 회원가입시 em.persist()가 호출이 되면 자동으로 Flush발생했다가 다시롤백되는게 아니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