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디비 연결 안돼요 ㅠ
연결이 왜 안될까요 ㅜ #!/bin/bash# ecr 로그인aws ecr get-login-password --region us-east-1 | docker login --username AWS --password-stdin 963475970914.dkr.ecr.us-east-1.amazonaws.com# 컨테이너 실행docker run -p 80:8002 --name user-service-container \-e "spring.datasource.url=jdbc:postgresql://geonmin-rds-db.cn6c8q4o89q7.us-east-1.rds.amazonaws.com:5432/user_database" \-e "spring.datasource.username=postgres" \-e "spring.datasource.password=postgress" \-e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postgresql.Driver" \-t 963475970914.dkr.ecr.us-east-1.amazonaws.com/user-service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workdir 대신에 RUN mkdir /directory COPY 상대경로 /directory/복사할파일 이런식으로 구현해도 되나요 ?
둘 중 뭐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편인지 궁금합니다! 1번 사안WORKDIR /directory 2번 사안 RUN mkdir /directoryCOPY [복사할 파일의 상대경로] [/directory/복사할 파일]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프로메테우스 로그에 no data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cafe: https://cafe.naver.com/kubeops설정다잘되었는데 이상하게 cpu쪽에서 데이터를 불러오지 못해서 까페에서 이벨님의 글을 보고 Prometheus와 Loki-stack 설치 후 grafana에서 loki-stack datasource 연결은 정상적으로 완료했는데,대시보드를 확인할 때 모든 대시보드에서 no data가 뜹니다.kubectl get pod -A로 확인했을 때 모든 파드가 Running 되고 있고 Restart도 모두 0입니다.한가지 의심되는 점은 쿠버네티스 대시보드에서 클러스터 이벤트 로그를 보니까loki-stack이랑 prometheus에서 사진과 같이 unhealthy가 무진장 뜹니다...해당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systemctl restart chronyd.service해봤지만 제경우에는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프로메테우스 대시보드 들어가볼려고 clusterip를 변경해서 접근해볼려고했지만 잘안되네요 ㅜ 혹시 어떤점이 문제일까요? 일단저같은경우는 가상머신으로 하지않고 rocky linux 홈서버에서 작업하고있습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mysql 비밀번호 바꾸기 위해 호스트 저장공간을 지우면 기존의 데이터도 날라가는 게 아닌가요 ?
[실습]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 - 3 에서 마지막쯤에 비밀번호 바꾸기 위해서기존의 비밀번호로 mysql 접속 후 비밀번호 바꾸기호스트 저장 공간에서 파일들 삭제하기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밀번호 바꿀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고민되는 부분이 호스트 저장 공간에서 파일들 삭제해서 새로운 비밀번호로 덮어씌우게 된다면 이건 볼륨의 역할을 활용하지 못한 경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결국 볼륨이란건 호스트 저장 공간의 파일 = 컨테이너 내부의 저장 공간 파일이 동기화되어야 하는 건데 호스트 저장 공간 파일 지우고 새롭게 만드는 거면결국 컨테이너 삭제 생성하는 것과 다를 게 없지 않나요?? 그럼 결국 볼륨의 특성을 살리면서 mysql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려면 1번 방법으로 실행할 수 밖에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ㅠㅠ
-
미해결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user service 실행오류
postgres 컨테이너를 올리고 user service 실행을 하는데 오류가 떠요 ㅜㅠ 왠 구팡 네트워크 이미지를 찾는건지 도와주세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Windows WSL 설치 문구 없음
강의때 버전과 Docker 버전이 달라WSL설치에 대한 경고문구가 나오지않습니다.설치 하지않아도 문제없을까요?아니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할까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섹션 2 - 가상화기술 질문
강의내용가상화 기술 사용 이전에는 하나의 OS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경우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주어진 리소스보다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면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친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서 각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할당된 자원만을 사용하므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라고 이해했습니다.질문하지만 결국 호스트 OS가 뻗어버리면 가상화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들도 모두 뻗어버린다고 생각이 들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얕은 지식으로 생각해본 결과 결국 하나의 컴퓨터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돌아가도록 해야할 것 같은데, 이러면 많은 리소스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관리의 어려움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제가 너무 극단적인 상황을 생각을 생각하는 걸까요? 실무 레벨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관리하는지, 정말 가상화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는지 등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프론트앤드 개발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을 구성해보면서 도커를 공부해보고 싶은데요.실무에서는 이런 식으로 도커를 활용하니 이런걸 중점적으로 공부하고 구성해보세요. 하는 환경이 있다면 몇개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Git Bash Winpty 설정
첫주 환경 구축 중에 Git Bash Winpty 설정하는 부분에서 alsias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아마 이전에 사용하던 git 설정으로 인해 해당 alias가 적용되지 않은 것 같은데, 위 부분을 넘어가도 괜찮을까요? 제가 사용하고 있는 os는 window 10을 사용하고 있고, git bash의 버전은 2.46.0입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localhost 접속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좋은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섹션6.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구성부분을 따라하고 있습니다.prstgreSQL , SpringBoot 백엔드 두개는 컨테이너 구성 및 접속이 잘됩니다.postman 으로 백엔드에 데이터를 날려보니 잘 나옵니다. 하지만 꼭 프론트엔드 접속부분에서 항상 접속이 안됩니다.frontend 컨테이너도 물론 잘실행 됩니다. docker desktop 에서 프론트 로그를 보면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3 (SIGQUIT) received,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7#7: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8#8: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0#10: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11: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7#7: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11: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8#8: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3#13: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3#13: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8#8: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2#12: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4#14: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3#13: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2#12: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9#9: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9#9: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2#12: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9#9: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0#10: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0#10: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11: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4#14: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4#14: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7#7: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1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0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2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29 (SIGIO) received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11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7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9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1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29 (SIGIO) received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8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8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29 (SIGIO) received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14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3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4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exit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using the "epoll" event method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nginx/1.21.4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built by gcc 10.3.1 20210424 (Alpine 10.3.1_git20210424)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OS: Linux 5.15.153.1-microsoft-standard-WSL2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getrlimit(RLIMIT_NOFILE): 1048576:1048576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es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7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8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9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0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1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2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3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4이렇게 나오는데접속 에러 로그도 안나오네요 제가 다른곳에서 80 포트를 사용중인가 싶었지만그렇지도 않습니다.혹시 제가더 살펴볼 다른곳이라도 있을까요?
-
미해결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컨테이너 환경에서 MSA 테스트 (실습) 강의에서..
실습 따라해보려는데 기본적으로 앱 빌드에 필요한 파일들은 어떻게 로컬환경에 받아야 하나요? 수업 자체는 잘 이해가 되는데 실습이 안돼서.. 강의에서 놓친게 있나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rvice 생성 과정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먼저 좋은 강의 만들어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궁금한 게 51강 각 리소스별 동작 에서 서비스 생성 원리에 관한 부분인데요, 제가 이해한 바로는 서비스는 노드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에게 연결된 파드에 트래픽을 분산해주는 객체라고 이해했습니다.또한 kubelet은 자신의 노드에 떠 있는 컨테이너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는게 주요 역할인 것으로 생각했습니다.강의에서는 kubelet이 kube proxy에 네트워크 생성을 요청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서비스는 노드에 종속되는 개념은 아닌 것으로 이해했어서, 의아해서 질문 드립니다.혹시 강의 예시에서는 서비스 타입이 NodePort라서 위와 같이 동작하는 것일까요?ClusterIP 타입인 경우에는 다른 절차를 거쳐서 iptables가 설정되는 걸까요?
-
미해결처음 시작하는 도커와 컨테이너
Bind Mount에서 마운트가 되지 않습니다. (파일/경로 동일)
1.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강좌 bind mount에서 로컬과 도커 컨테이너간의 파일 또는 경로를 공유 (/usr/local/apache2/htdocs/) 를 하고자 하는데 계속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2. 언제, 어떤 오류가 발생하시나요? [doyoung@dockers-m:/test]$ sudo docker run --rm --name httpd -p 8080:80 \> -v "$(pwd)"/index.html:/usr/local/apache2/htdocs/index.html:rw \> -d httpd:2.4a6223fce61285c77f71be99f448e28b4cdba768662030e240db12c6c3d827b55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failed to create task for container: failed to create shim task: OCI runtime create failed: runc create failed: unable to start container process: error during container init: error mounting "/test/index.html" to rootfs at "/usr/local/apache2/htdocs/index.html": mount /test/index.html:/usr/local/apache2/htdocs/index.html (via /proc/self/fd/6), flags: 0x5000: not a directory: unknown: Are you trying to mount a directory onto a file (or vice-versa)? Check if the specified host path exists and is the expected type.[doyoung@dockers-m:/test]$ 3.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로컬 index.html의 권한 변경 chmod 777 index.html 파일 경로 변경 /home/doyoung/~~~/~--> /test/ 4. 작성한 코드를 공유해주세요.sudo docker run --rm --name httpd -p 8080:80 \-v "$(pwd)"/index.html:/usr/local/apache2/htdocs/index.html:rw \-d httpd:2.4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ArgoCD와 docker hub 연동에 관해서 질문 있습니다.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해결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ArgoCD와 docker hub를 연동하는 부분이 잘 진행되지않아 질문드립니다. 현재 2232 실습을 따라하고 있는데요 argo cd와 docker hub 연동하는 부분이 잘 진행되지않는데 원인을 정확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우선 git repository를 api-tester 소스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제 git으로 fork해서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docker image가 push되는 것 까지는 확인했는데요, argoCD가 변경을 감지하고 받아오는 부분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제가 이해한바로는 argocd와 docker hub가 연동될 때 필요한 인증 정보는 아래 설정에서 주입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해당 부분은 아래 설정으로 인해 jenkins credential에서 주입받는 것으로 이해하였구요.. jenkins에서 파이프라인을 돌렸을 때, 이미지 push가 정상적으로 진행됐다는 의미니깐 jenkins의 credential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결론적으로 argocd가 감지를 못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argocd와 dockerhub 연동 관련해서 제가 직접 설정한 부분은 annotation을 제 docker hub 이름으로 바꾼 것 밖에 없는데요.. 혹시 제가 놓친 것이 있을까요?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솔루션 수정)'tsyringe' Error: TypeInfo not known for "클래스명"
진작에 질문을 남겼어야 했는데, 애러 해결이 어려워 너무 지체되네요. 첫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문제의 요지: 추측 하기로container.resolve 가 vue 와 라이프사이클 에 순서때문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DI 가 안됩니다. Menu.vue 디버깅강의내용에도 있듯 tsyringe 는@singleton 이 달려있는 클래스를 컨테이너에 등록 후, 클래스 자체를 DI 키로 사용할 수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디버깅 상황에서 보다시피container 내부 _registryMap 안에 AuthorityApi 클래스가 정상등록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Break-point 된 container.resolve 처리가 안되어 아래처럼 애러가 발생합니다. 아래는 다음줄로 가지않고, 이벨류에이터로 실행한 모습이구요, AuthorityApi를 찾아올 수 없다 합니다.Error: TypeInfo not known for "AuthorityApi" at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tsyringe.js?v=a355aabe:746:17 at InternalDependencyContainer2.construct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tsyringe.js?v=a355aabe:751:6) at InternalDependencyContainer2.resolveRegistration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tsyringe.js?v=a355aabe:573:90) at InternalDependencyContainer2.resolve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tsyringe.js?v=a355aabe:500:25) at eval (eval at setup (http://localhost:4000/src/widgets/Menu.vue:28:26), <anonymous>:1:11) at setup (http://localhost:4000/src/widgets/Menu.vue:28:26) at callWithErrorHandling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chunk-VJROVW5H.js?v=a355aabe:1884:19) at setupStatefulComponent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chunk-VJROVW5H.js?v=a355aabe:8253:25) at setupComponent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chunk-VJROVW5H.js?v=a355aabe:8214:36) at mountComponent (http://localhost:4000/node_modules/.vite/deps/chunk-VJROVW5H.js?v=a355aabe:5604:7) 해결방법을 tsyringe 공식 깃헙이슈, 구글링, 스택오버플로 몽창 뒤져봐도 힌트얻기가 참으로 힘드네요. AI 센세는 그저 스택오버플로 내용만 읊어줍니다.이것에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 실마리만 얻어도 해결하기 수월할텐데, 몇일 째 어째야 되나 고민입니다.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요? : Source-Codesrc-front 소스코드주의: 개인 npm lib 가 포함되어 node_modules 을 포함한 체 그대로 압축된 파일입니다. npm i 인스톨 없이 앱을 실행해야될거라 예상합니다. 도움을 구합니다. 감사드려요.
-
해결됨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EC2 하나만 운용시 로드밸런서를 설정해야하는지
만약 스프링 부트 서버용 EC2 한 개만 운용한다면 굳이 로드밸런서를 설정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만약 스프링부트 서버용 EC2를 2, 3개 더 만든다면 프리티어단계에선 탄력적 IP에 대한 요금만 부과되는 것인지, EC2 인스턴스 갯수만큼 요금이 나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안녕하세요 혹시 해당 에러에 대해 아시는 것 있을까요?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제가 다음 프로젝트에서 쿠버네티스를 도입하려고 강의에서 알려준거랑 환경을 다르게 구성해서 연습중입니다.현재 맥북 + 페러럴즈 + 우분투 ARM 사용해서 환경을 구성했는데요.. 가상 머신을 껐다키면 쿠버네티스가 동작을 안하네요. 환경이 달라서 원인을 파악하기 힘드시겠지만.. 혹시 관련 로그에 대해 아시는 것 있을까 싶어 여쭤봅니다.컴퓨터를 껐다 켰을 때, 대쉬보드에 들어가면 기존에 쿠버네티스에서 동작중인 모든 오브젝트들은 살아있습니다. 다만 kubectl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E0905 20:15:10.171672 276979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s://10.211.55.15:6443/api?timeout=32s": tls: failed to verify certificate: x509: certificate signed by unknown authority (possibly because of "crypto/rsa: verification error" while trying to verify candidate authority certificate "kubernetes") 또 pod를 죽였다 살릴 때도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는데요..Failed to create pod sandbox: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setup network for sandbox "dc4cf5655bccd6b273ffc61819e4bbded2684d83fd06b4868e0f9de836d7d9c0": plugin type="calico" failed (add):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connection is unauthorized: Unauthorized 둘 다 권한에 의해 생기는 문제인 것 같은데 혹시 짐작가시는 것 있을까요? 다시 설치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긴 하는데.. 원인을 정확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스크립트 오류
#!/bin/bash git clone -b 5_1_monolithic_s3 https://github.com/burger-2023/aws-operation-prac.git cd /aws-operation-prac ./gradlew build sudo java -jar build/libs/aws-msa-monolithic-prac-0.1.jar \ --spring.datasource.url=jdbc:postgresql://비밀:5432/geonmin_database \ --spring.datasource.username=postgres \ --spring.datasource.password=postgress \ --cloud.aws.s3.bucket=geonmin-bucket-test \ --cloud.aws.region.static=us-east-1빌드까지는 잘되는거 같은데 마지막줄이 오류납니다 ㅜㅠ 원인을 모르겠어요 그리고 강사님이 밑에 써준 스크립트 예시에 버킷 들어가기전에 \ 하나가 빠진거 같아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364596/access-denied-for-user-root-localhost-using-password-yes위 글에서 재성님이 제시해주신 해결방법을 적용해보았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root 계정에 접속이 안됩니다. docker compose down -v 명령어를 통해 볼륨을 제거해도 여전히 해결이 안됩니다. 스프링부트 역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지 않았다는 오류가 로그에 남습니다.
-
미해결AWS로 쉽고 빠르지만 아주 견고한 서버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rds 사용자 구성 명령어가 실행이 안되요
영상처럼 시작 템플릿 바꾸고 오토스케일링 그룹 설정 새로운버전으로 바꾸고 로드밸런서 dns 주소로 health체크를 해봤는데 502에러가 뜨고 안되서 여러가지 다 확인해봤는데ec2 만들어지고 git clone 자체가 안되었더라고요 사용자 데이터 명령어 자체가 실행이 안됩니다 직접 들어가서 명령어를 치면 먹습니다 네트워크 문제도아니고 패키지 다운로드 안한것도 아닌데 사용자 데이터 명령어가 git clone 시작도 안되면 어떻게 해결해야될까요? git clone은 되었지만 괜한 root 계정 밑에서만 조회해서 못봤던거... 강사님 해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도커 컴포즈: volumes는 어떻게 적는 건가요
도커 컴포즈 강의 중 스크린샷에 대한 질문이 2가지 있습니다.Q1. 해당 스크린샷의 코드는 어디가면 찾아볼 수 있나요?깃헙의 Daintree-henry 유저의 리포지터리에서 찾아보려고 해도 찾아볼 수가 없어서 질문드립니다.Q2. Yaml 코드에서 Volumes는 왜 2번 나오는 건가요?컨테이너 2개 각각의 image 바로 밑에 volumes라는 항목이 이미 존재하잖아요. (e.g. postgres_primary_data:/bitnami/postgresql)그런데 밑에서 보이는 또 다른 volumes 코드는 왜 존재하는 건가요?volumes: postgres_primary_data: postgres_standby_data: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