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whitelabel error page 50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회원목록 화면 들어가면 저렇게 Whitelabel Error Page가 뜹니다. properties에 username도 추가했고, localhost로도 바꿨는데 계속 안되네요 ㅠ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
미해결
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오류
스프링부트에서 Thymeleaf를 이용해 회원가입 폼을 만들고 있는데 폼에 입력을 제대로 하면 의도한대로 회원가입이 잘 됩니다.하지만 폼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유효성 검사에서 @NotBlank를 만나서 그에 맞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해야 하는데 저렇게 오류가 뜨네요... 대체 이유가 뭘까요 ㅠㅠ 제 회원가입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User.java (Entity)@Getter @Setter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Entity(name="users") //테이블 이름 public class User { @Id //기본키 = user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userid; @Column(unique = true) //아이디 중복 방지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Column(unique = true) //이메일 중복 방지 private String email; } RegisterDTO.java (DTO)@Getter @Setter @Build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RegisterDTO { @NotBlank(message =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username; @NotBlank(message =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password; @NotBlank(message = "이메일을 입력하세요.") private String email; } UserController.java (컨트롤러)@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GetMapping("/register") // 유저 등록 창 불러오기 public String ShowRegister(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userDTO", new RegisterDTO()); return "register"; } @PostMapping("/register") // 유저 등록 public String Register(@Valid RegisterDTO userDTO, BindingResult result, Model model) { if (result.hasErrors()) { // 유효성 오류 발견 System.out.println("유효성 오류"); return "register"; } try { UserService.saveDTOUser(userDTO); // 유저 등록 } catch (IllegalArgumentException e) { // 중복된 사용자 발견 System.out.println("예외 처리"); model.addAttribute("error", e.getMessage()); return "register"; } return "redirect:/userlist"; } } UserService.java (서비스)@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void saveDTOUser(RegisterDTO userDTO) { if (userRepository.existsByUsername(userDTO.getUsernam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이미 등록된 아이디입니다."); } if (userRepository.existsByEmail(userDTO.getEmai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이미 등록된 이메일입니다."); } User user = User.builder() .username(userDTO.getUsername()) .email(userDTO.getEmail()) .password(userDTO.getPassword()) .build(); userRepository.save(user); } } register.html<!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itle>Register User</title> </head> <body> <h1>Register User</h1> <form th:action="@{/register}" method="post" th:object="${userDTO}"> <label for="username">username:</label> <input type="text" id="username" name="username" th:field="*{username}" /> <div th:if="${#fields.hasErrors('username')}" th:errors="*{username}"></div> <br> <label for="password">Password:</label> <input type="password" id="password" name="password" th:field="*{password}" /> <div th:if="${#fields.hasErrors('password')}" th:errors="*{password}"></div> <br> <label for="email">email:</label> <input type="text" id="email" name="email" th:field="*{email}" /> <div th:if="${#fields.hasErrors('email')}" th:errors="*{email}"></div> <br> <div th:if="${error}" class="error"> <p th:text="${error}"></p> </div> <button type="submit">Register</button> </form> <br> <a th:href="@{/userlist}">Back to User List</a> </body> </html> 컨트롤러에서 작성한 "유효성 오류", "예외 처리" 구문은 잘 나오더라구요. 그러면 유효성 검사는 잘 수행하는거 아닌가요?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패키지 구조에 대한 질문
요즘 가장 많이 쓰는 패키지 구조가 있죠. 아래와 같이 레이어끼리만 모아둔과연 이것이 좋은 패키지 구조일까요? 더 좋은 코드를 위해 추천하는 패키지 구조나 레퍼런스가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pring 3.x 버전 오버라이딩 로그 변화
안녕하세요. 정말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오버라이딩 로그가 최신 버전에서는 다르게 출력되고 앞으로 이런 변하는 어떡해 알아가야 하나요? 강의에서는 스프링부트 2.x 버전으로 되어있어 오버라이딩 메시지가 명확합니다. ㄴ 빈에서 오버라이딩이 발생하면 메시지로 명확하게 알려줌하지만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스프링부트 버전은 3.x로 되어 있어서 오버라이딩 메시지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ㄴ 명확하게 오버라이딩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고, 다른 메시지로 표기됨 스프링 부트를 다운그레이드 하여 2.x로 하면 명확한 오버라이딩 메시지를 확인가능 하지만 업그레이드를 3.x로 진행하면 명확한 오버라이딩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아주 사소한 변화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환된 정보는 어떡해 얻을 수 있을까요?spring 공식문서를 뒤적 거려봤지만 해당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없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9:28 패턴 3의 경우 마지막으로 설정한 것만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스프링 부트 3.4.3, 스프링 시큐리티 6.4.3 기준입니다.다음과 같이 설정하게 되면 api/**는 적용되지 않고 oauth/**에만 적용됩니다.http.securityMatchers(matchers -> matchers.requestMatchers("/api/**") ) .securityMatchers(matchers -> matchers.requestMatchers("/oauth/**") );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findProductsBy 메소드에서 왜 Map 을 만들어 찾는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private List<Product> findProductsBy(List<String> productNumbers) { return product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productNumbers); } 그냥 이렇게 바로 리턴 해도 되지 않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Bean Deprecated
@MockBean 이 Spring Boot 3.4.0 버전부터 Deprecated 되었다고 경고를 띄워주는데요이런 경우 @MockitoBean 을 사용하면 되나요?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PDF 문서에 오타가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PDF 문서에 오타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divideTest()인데 minus(3)으로 되어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 시큐리티 & JWT 강의
Jwt쓰면 스프링시큐리티는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하나요?
소셜 로그인을 가지고있는 서비스를 만들고있는데 jwt를 도입하려고 합니다oauth2와 시큐리티는 안쓰고 API호출로만 소셜로그인은 완료했습니다JWT강의 듣는데 시큐리티쓰시길래 혹시 꼭 필요한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ServiceTest에서 상품주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Book setName, setPrice, setStockQuantity 할 때 오류가 뜨는데 Item은 추상클래스에 Book이 상속을 받으니까 Book에만 setter를 설정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item에 setter를 적용해야 오류가 풀리는데 왜 이러는지 궁금합니다.Book book = new Book(); book.setName("시골 JPA"); book.setPrice(10000); book.setStockQuantity(10);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enum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enum에 관해서 질문이 있는데 enum을 Intger로 바꿔서 저정하는 경우도 현업에서 많이 봤는데혹시 선생님은 어느쪽을 선호하시나요??각자 장단점이 있는건 인지하고 있고 선생님의 선호하는 방향이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저는 왜 OrderCreateRequest 에 기본 생성자가 없는데도 주문 신규 생성 호출이 되는건가요??
영상에서 OrderCreateRequest 클래스에 @NoArgConstructor 붙이던데.. 저는 안 붙인 상태로 돌렸는데도 돌아가는건 왜 그런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generat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와 달리 메서드가 안 나오더군요하나씩 따라서 치고있는데 구글링해도검색을 잘 못해서 그런지 안 나오더라고요단축키도 똑같이 맞춰둔 상태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w build test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ava -version에서 21인거 확인했고환경변수,path 설정도 제대로 된것 확인하였습니다.인텔리제이에서 tool 설정에서 실행이 인텔리제이로 되어있는것도 확인했습니다 근데 왜 자꾸 test부분에서 오류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혹시 build.gradle 파일 안에 junit 부분이 인텔리제이에서 밑줄 쳐진것처럼 이상하게 보이긴 했는데 거기가 문제인걸까요?gradlew 까지는 잘 실행되는데gradlew build를 입력하면 항상 실패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H2-IATqwNphgZoDcjcEQXkbAmcfELT8D/view?usp=sharinghello-spring이 들어있는 zip 입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pring boot 3.0 이상에서 p6spy 적용이 안됩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3.4.4'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오류 화면같은 문제인거 같아서요 https://inf.run/ZzfxG추가하라는 내용을 pdf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나요? 아래 질문글로 해결했습니다!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https://inf.run/jdbjL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Bean UserDetailsService
만약에 CustomProvider를 빈으로 정의한다면 DAOProvider를 저희가 만든 CustomProvider 가 대체하는것으로 이해 했는데 그렇게 되면 저희가 빈으로 정의한 UserDetailsService는 사용하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 & Stub 에 대한 이해
두 가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Mock과 Stub에서 혼란을 느끼는지?Mock & Stub 에 대한 이해를 하였는지? // OrderTest.java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public class OrderTest { @Test void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 { Product apple = new Product("사과", 1000); Product banana = new Product("바나나", 2000); Order order = new Order(); order.addProduct(apple); order.addProduct(banana); assertEquals(3000, order.totalPrice()); } }// OrderTest.java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mockito.Mockito.*;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public class OrderTest { @Test void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 { Product apple = mock(Product.class); Product banana = mock(Product.class); when(apple.getPrice()).thenReturn(1000); when(banana.getPrice()).thenReturn(2000); Order order = new Order(); order.addProduct(apple); order.addProduct(banana); assertEquals(3000, order.totalPrice()); } } 두 테스트에서 생각을 정리하다 보니 저는 마틴 파울러의 test double의 stub 과 mock 에 대한 개념보다TTD or BDD 스타일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가 테스트의 편의성을 위해 Mokito을 통한 Mock 테스트를 먼저 접하게 된 후 마틴 파울러의 test double의 개념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마틴 파울러의 Mock 과 Stub 테스트에서 혼란스러운 이유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자연스럽게 then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 상태(값)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위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되는거 같습니다.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 -> 단위 테스트로 상태(값)을 검증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 -> 나는 Mockito의 mock 테스트로 상태(값)을 검증 test doublestub -> 상태(값) 검증mock -> 행동 검증위 와 같이 상태(값)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하다보니 stub 테스트와 Mockito 의 mock을 사용한 테스트을 동일시 보게 된거같습니다.Mockito의 mock 테스트의 개념과 test double의 mock 테스트가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Mokito의 mock을 사용하여 상태(값)을 검증하는 테스트를 하다보니 test double의 stub 테스트를 Mock 테스트 하였다라고 생각한게 아닌가? 테스트 케이스 stub 과 mock 테스트 구별하기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해당 테스트는 실제 객체를 이용하여 상태(값)에 대한 검증을 한다. -> Stub 테스트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해당 테스트는 Product 를 Mock 하여, order의 totalPrice 을 검증 한다. -> Mock?, Stub?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를 어떻게 바라 볼 것인가?test double의 mock 테스트를 준비 하였지만 검증 부분을 잘못하였다. test double의 stub 테스트를 실제 객체가아닌 가짜객체로 테스트 하였다.@Test void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 { // given Product apple = mock(Product.class); Product banana = mock(Product.class); when(apple.getPrice()).thenReturn(1000); when(banana.getPrice()).thenReturn(2000); Order order = new Order(); order.addProduct(apple); order.addProduct(banana); // when int total = order.totalPrice(); // then verify(apple).getPrice(); // apple.getPrice()가 호출되었는지 검증 verify(banana).getPrice(); // banana.getPrice()가 호출되었는지 검증 }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를 위와 같이 수정한다면 test double에서 이야기하는 mock 테스트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물론 모든 테스트를 test double의 Mock, Stub 테스트라는 틀에 맞춰 작성해한다는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주문_총_금액을_계산한다_Product_Mock_사용()가 마틴 파울러가 이야기하는 test double의 개념에서 어떻게 생각해 볼 것인가? 에대한 궁금증 우빈님의 생각이 궁금하기도 합니다. 제가 잘 이해를 하였는지 확인이 필요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안녕하세요 이것이 내부호출 예제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인증 번호 확인@Transactionalpublic void confirmAuthenticationInfo(AuthenticationRequest.Confirm request){MemberCertificationHistory history = findById... // 엔티티 조회...validateExpiration(history);...}// 만료 일시 검증@Transactionalprivate void validateExpiration(MemberCertificationHistory history){if(history.isExpired()){processExpiration(history); // 만료 처리 . 트랜잭션 분리throw new ServerException("만료됨"...);}}// 인증 정보 만료 처리@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private void processExpiration(MemberCertificationHistory history){history.getMemberCertificationInfo().processExpiration();memberCertHisRepository.save(history); // 엔티티 저장}안녕하세요 위 코드에서 궁금한점이 있는데 내부호출에 관한 내용인지 질문드립니다.간단하게 confirmAuthentication() , validateExpiration() , processExpiration() 3가지 메서드가 있는상황이구, 차례로 호출하며 validateExpiration()에서 throw를 던지는 상황입니다. 문제는validateExpiration()를 내부에서 트랜잭션이 분리 처리(REQUIRES_NEW)되어 있는 processExpiration()를 타게되고, processExpiration()는 분리된 트랜잭션이니 .save()를 통해 저장이되고, 다시 validateExpiration()으로 돌아와 throw를 처리하게 되어 processExpiration()에서 저장된것은 롤백되지 않을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그런데 로그를보니 insert쿼리도 나가지 않고, 따로 롤백에 관한 내용도 찍히지 않았습니다.따라서 내부호출이 된건가 생각을해보니 제가 아는 내부호출이라는 문제는동일한 클래스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은 메서드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된 메서드 호출시 내부 호출이 발생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위 예제에선 이미 최상위 메서드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상태인데 따로 생성된 트랜잭션이 실행되지 않아서 혹시 이건 내부호출 문제가 맞는것인지, 아니면 다른 제가 간과한것이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
해결됨실무 환경 그대로 주문게시판 만들기 웹개발 기초 마스터
p5 구글드라이브 url 404 에러 발생
p5 구글드라이브 url 404 에러로 인해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RACE 레벨의 로그가 찍히지 않는 것 같아요( 해결완료 )
JPA 와 DB 설정, 동작확인 강의에서 리뉴얼된 메뉴얼을 따라서 진행하고 있는데 24분 34초에 나오는 BasicBinder 와 관련한 로그가 TRACE 레벨인 것 같은데 해당 로그가 찍히지 않습니다.또한 org.hibernate.SQL 과 관련한 로그도 영상과는 다르게 찍히는데 이유가 뭘까요?p6spy를 적용하여 나오는 결과 로그도 영상과 다릅니다 ( 27분 28초 )p6spy 를 적용하면서 동일한 쿼리 내용이 2번 찍히는 것 같기도 하고 문제를 모르겠습니다.2025-03-25T23:48:11.976+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 2025-03-25T23:48:12.165+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nn0: url=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SA 2025-03-25T23:48:12.168+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 2025-03-25T23:48:12.225+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orm.connections.pooling : HHH10001005: Database info: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p6SpyDataSourceDecorator [com.p6spy.engine.spy.P6DataSource] -> dataSource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2.2.224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2025-03-25T23:48:12.864+09:00 DEBUG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id bigint,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 2025-03-25T23:48:12.869+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2869 | took 2ms | statement | connection 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id bigint,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 create global temporary table HTE_member(rn_ integer not null, id bigint,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rn_)) TRANSACTIONAL; 2025-03-25T23:48:12.976+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 2025-03-25T23:48:12.988+09:00 DEBUG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2025-03-25T23:48:12.990+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2990 | took 1ms | statement | connection 2|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 2025-03-25T23:48:12.990+09:00 DEBUG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 2025-03-25T23:48:12.991+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299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2|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 drop sequence if exists member_seq; 2025-03-25T23:48:12.995+09:00 DEBUG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sequence member_seq start with 1 increment by 50 2025-03-25T23:48:12.996+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2996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3|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create sequence member_seq start with 1 increment by 50 create sequence member_seq start with 1 increment by 50; 2025-03-25T23:48:13.000+09:00 DEBUG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table member ( id bigint not null,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 2025-03-25T23:48:13.002+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3002 | took 2ms | statement | connection 3|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create table member ( id bigint not null,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 create table member ( id bigint not null,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 2025-03-25T23:48:13.005+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5-03-25T23:48:13.328+09:00 WARN 12200 --- [ Test worker]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 2025-03-25T23:48:13.368+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o.s.b.a.w.s.WelcomePageHandlerMapping : Adding welcome page: class path resource [static/index.html] 2025-03-25T23:48:13.881+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 : Started MemberRepositoryTest in 4.281 seconds (process running for 5.626) 2025-03-25T23:48:14.568+09:00 DEBUG 1220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2025-03-25T23:48:14.589+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4589 | took 13ms | statement | connection 4|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select next value for member_seq; 2025-03-25T23:48:14.685+09:00 INFO 12200 --- [ Test worker] p6spy : #1742914094685 | took 0ms | rollback | connection 4|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 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2025-03-25T23:48:14.710+09:00 INFO 12200 --- [ion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5-03-25T23:48:14.716+09:00 INFO 12200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 2025-03-25T23:48:14.730+09:00 INFO 12200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현재 설정 파일 내용들입니다.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 create properties: hibernate: #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org.hibernate.orm.jdbc.bind: traceJunit5를 사용하기 위해서 Junit4를 추가하지 않았습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10.0'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