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뜨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실무 가이드
정량적인 내부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없을 때,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면 좋을까요?
정량적인 내부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없을 때,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고민이 생겨 질문을 남겨봅니다!저는 상품기획 디자이너, 콘텐츠 디자이너로 실무 경험이 있으나 UXUI디자이너 직무는 처음이라 멘토님 강의를 듣고 프로덕트 디자이너 포트폴리오를 제작중입니다!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 문제정의와 가설수립, 데이터 기반의 사고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현실적으로 취업준비를 하면서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출시해보지 않는 이상 내부 데이터 지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문제 현상을 확인하고 파악하는 과정이 어렵다고 느껴졌습니다. ㅠㅠ때문에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서비스를 선정하고, 그 서비스의 내부 디자이너가 되었다는 생각으로 사용자 인터뷰, 유저인터뷰를 진행하고,구글 플레이스토어 리뷰를 정리하여 분류하는 방식으로 정성적인 데이터를 모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성적인 데이터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보니 분석 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어려움이 있습니다. 때문에 문제 인식 및 가설을 세울 때, 다소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느껴지거나 불안 할 때가 많은데요..ㅠㅠ정량적인 데이터를 볼 수 없는 경우,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좋을지?정성적인 데이터로 포트폴리오를 만들 경우,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 하는지?알려주실 수 있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