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2주차 발자국](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9cd6e416-42ce-42fe-99ab-ad7cbef99551/PM.png)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2주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3기 PM/PO] 2주차 발자국
📚 주간 학습 내용 요약
1. 고객을 직접 만나기의 중요성
PM은 '고객 전문가'가 되어야 성공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음
간접적으로 고객 의견을 전달받는 것(VOC, 영업팀 보고)보다 직접 만남이 필수적
고객의 경험, 생각, 감정을 생생하게 이해하고 정확한 멘탈 모델 구축 가능
2. 효과적인 고객 리서치 설계 방법
명확한 리서치 목적과 해결하려는 문제 정의가 먼저
적절한 리서치 방법론(정성적/정량적) 선택 중요
타겟 고객 선정과 실행 계획 수립이 성공적인 리서치의 기본
3. 심층 인터뷰 기법
1대1 심층 인터뷰는 고객을 파악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
실제 행동, 최근 경험, 구체적 상황을 중심으로 질문 설계
비즈니스 질문 → 리서치 질문 → 인터뷰 질문으로 단계적 발전
4. 사용성 테스트의 중요성
사용자가 제품을 얼마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평가
5명 정도의 소수 참가자로도 대부분의 사용성 문제 발견 가능
'지식의 저주'를 극복하는 방법: 개발자는 제품을 잘 알지만 사용자는 그렇지 않음
5. 데이터 활용의 핵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프로세스 구축
사용자 행동을 로그와 이벤트로 체계적으로 기록
의미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질적인 인사이트 도출
🌟 핵심 학습 인사이트
배운 점
소수의 심층 인터뷰가 대규모 설문보다 더 가치 있는 경우가 많음
제품 개발자는 사용성을 50% 이상 예상하지만, 실제 사용자 정답률은 2.5%에 불과한 경우가 많음 (지식의 저주)
사용자 경험을 직접 관찰하고 데이터로 검증하는 이중 접근법의 중요성
인터뷰에서 추상적인 질문보다 구체적인 경험을 물어보는 것이 더 정확한 정보를 얻는 방법
💭 미션에 대한 회고
코촉촉 서비스를 위한 고객 조사 계획을 설계하면서 반려동물 주인들의 실제 니즈와 페인 포인트를 정확히 파악하는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신뢰와 안전이 핵심인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에는 심층 인터뷰와 사용성 테스트가 설문조사보다 효과적임을 인식했습니다.
처음에는 기술적 측면에 너무 집중했지만, PM은 기술 스택보다 사용자 니즈와 제품 방향성에 집중해야 함을 배웠습니다. '지식의 저주' 개념을 통해 개발팀이 사용자의 제품 이해도를 과대평가하기 쉽다는 점을 이해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사용성 테스트의 가치를 깨달았습니다.
비즈니스 질문에서 구체적인 인터뷰 질문으로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는 방법론을 통해 코촉촉의 핵심 가치에 집중한 실용적인 질문들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는 이론적 계획을 실제 실행해보고, 정성적 인사이트와 정량적 데이터를 균형 있게 활용하는 역량을 키우고 싶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