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2기 CS] 3주차 미션
운영체제
1. 메모리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각 메모리의 특징도 함께 적어주세요.
RAM: 빠른 읽기/쓰기가 가능하지만,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집니다.
ROM: 읽기 전용이며, 내용이 영구적으로 보존됩니다.
캐시: CPU와 가까이 있어 매우 빠르지만, 비용이 높습니다.
가상 메모리: 하드디스크 일부를 RAM처럼 사용합니다. 속도는 느리지만 큰 용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사용자 프로세스가 메모리의 운영체제 영역에 침범하지 못하도록 만든 레지스터는 어떤 레지스터일까요?
경계 레지스터(Boundary Register)입니다. 이것이 없으면 프로그램들이 운영체제 영역을 무단으로 접근할 수 있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메모리 할당 방식에서 가변 분할 방식과 고정 분할 방식의 장단점은 뭔가요?
고정 분할: 설정과 관리가 쉽습니다. 하지만 메모리 낭비가 심할 수 있습니다.
가변 분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관리가 조금 복잡할 수 있습니다.
4. CPU 사용률을 올리기 위해 멀티프로그래밍을 올렸지만 스왑이 더 많이 이루어져 CPU 사용률이 0%에 가까워 지는 것을 뭐라고 할까요?
스래싱(Thrashing)이라고 합니다. 시스템이 너무 바빠서 정작 실제 작업은 못 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5. HDD나 SSD는 컴퓨터를 실행시키는데 꼭 필요한 걸까요? 이유를 함께 적어주세요.
네, 필요합니다.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AM만으로 운영되는 특수한 시스템도 있긴 합니다. 이를 "RAM 디스크" 또는 "메모리 전용 시스템"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아주 빠른 처리 속도가 필요하거나, 데이터의 영구 저장이 필요 없는 특수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6. 파일을 삭제해도 포렌식으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파일을 삭제해도 실제 데이터는 지워지지 않고, 그 공간을 재사용 가능하다고 표시만 합니다. 그래서 덮어쓰기 전이라면 복구가 가능합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1. 지금까지 배운 5개의 정렬 알고리즘의 장단점과 시간 복잡도를 적어주세요.
버블 정렬: 구현이 쉽지만, 속도가 느립니다 (O(n^2))
선택 정렬: 구현이 쉽지만, 역시 속도가 느립니다 (O(n^2))
삽입 정렬: 작은 데이터에 효과적이며, 평균/최악의 경우 O(n^2)입니다
병합 정렬: 안정적이고 항상 O(n log n)의 성능을 보이지만, 추가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퀵 정렬: 평균적으로 빠르며 O(n log n), 최악의 경우 O(n^2)의 성능을 보입니다
2. 메모리가 부족한 시스템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재귀로 쉽게 구현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라면 메모이제이션과 타뷸레이션 중 어떤 걸 이용하실 건가요? 이유를 함께 적어주세요.
타뷸레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이제이션은 재귀 호출을 많이 하기 때문에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어요. 반면 타뷸레이션은 반복문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덜 사용합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