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 용어 이야기 (8) - "팀"

아마도 어릴 때 프로 스포츠들로 팀을 접해서 은연중에 아래와 같은 고정 관념들이 있어 왔다. 1) 적으면 5명, 대개 9명, 많으면 후보 포함 25명, 2) 공통의 목표가 있고, 경쟁을 해서 이겨야 할 상대방이 있음.... 3) 비슷한 규모의 다른 팀이 언제나 있음. 이후 대학교에 들어가서야 팀 프로젝트 같은 걸 접하게 되었고, 다른 단어 고민 없이 여러 가지 문맥에 상관 없이 팀이라는 단어를 접해 왔었다. 아래는 사회 생활을 하면서 접하게 된 "팀"에 대한 몇가지 이야기들..

팀장과 팀원

사회 생활을 하며 팀장이라는 직함을 쉽게 접하게 되었는데, 삼성전자의 경우 상무이사급 임원이 팀장으로 200명을 거느리고 있는 경우가 있었고, 자그마한 회사에서 1인 팀의 팀장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기도, 혹은 3-4명 조별과제 정도 크기의 일들이 있었더랬다. 이 경우 팀장의 역할이라는 것도 스펙트럼이 넓었고, 인사권을 총괄하는 의미부터 간단한 POC 까지 다양했다. scope는 매번 눈치껏 알아서 챙겨야 했지만, 팀장의 호출 하에 한 자리에 모일 정도 되면 하나의 팀원으로 생각하는 정도...?

대화 상대로서 ### 팀장이라는 사람을 만났을 때 어디까지를 기대해야 할까 ? 반대쪽의 입장에서 기대하는 정도에 따라서 난이도가 있었던 기억이고, 종종 '팀장이라는 당신 말고 책임자와 이야기하고 싶다' 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다.

미국에서의 팀

생각보다 광범위하게 쓰여서 다른 의미로 눈치가 필요했었다. 식당에 가면 종업원들이 팀 혹은 crew 로 불리우고 only team member allowed from here 등으로 뭐랄까 그룹지어질 수 있는 모든 규모를 다 팀으로 부르고 있었던 거 같다.

회사에서 팀이 커지거나 해서 여러 계층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 매번 이름을 짓는 것도 일인데, 행정적 편의로 누구누구네 팀을 그냥 불러서 쓰곤 했었다. Rajan's team, Jen's folks, Michael's guys 등등.. report line 을 통째로 들고 생각하는 모습이라 관리하는 측면에서 많은 이득이 있었다.

조직도가 다른 사람들을 차출의 형식으로 모아 일하게 될 때 코드 네임 등을 유용하게 썼던 기억이다. 이전에 구글 플레이스토어 한국/일본 과제를 할 때 미국에서 일하는 한국어/일본어 능력자들을 차출한 후 "dragonball" 이라는 한일관계에 나름 중립적인 팀 이름으로 모인 적도 있었고, 그 이전에 한동안 Calypso 라는 이름으로 50명 정도의 팀이 알려진 적도 있었더랬다. 만나는 거의 모든 사람들과의 대화에 "What is Calypso?" 로 시작했어야 하지만, 나쁘지 않았고, 당시 이름이 과제의 주제와 꽤 잘 맞아서 많이들 좋아했던 기억이다. 검색, 유튜브 등과 같이 거대한 게 되지 않는다면 영원한 것은 없고, 결과적으로 과제 별로는 2-3년 정도가 적당한 life cycle 이었던 거 같다.

목적 조직/기능 조직, squad, chapter, task force

한국에 다시 조인하고 나서 가장 어색하게 적응했던 것이 목적 조직, squad, chapter, 등의 유사 팀의 운용에 대한 내용이다. 10년 넘게 구글에서 speed & flexibility 에서 전혀 손해를 보았다는 생각이 없는 상태여서 개인차가 물론 있을 것인데, 한국에서 대다수의 회사들이 agile, velocity 등의 명분으로 squad, chapter, silo 등의 이름으로 팀들을 다양하게 나누어 정의하고 운용하고 있음에 많이 어색해 한다.

개인적인 선입견이 강하게 있다. 먼저, spotify 에서 시도했지만 실패로 기록이 남았다고 하는데, 그에 비해 너나 할 거 없이 쓰고 있는 게 이해가 잘 안 된다. 그리고 스쿼드의 형태로 운용되려면 아래 3가지 정도는 챙겨 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1) 해체를 포함한 기간을 담보한 직원들 rotation 보장, 2) 모든 직군 별 commitment level ( up to 100% ) 3) 최소한의 코드 quaitly ... 더 깊은 이야기는 케바케일 거 같으니 여기서는 이 정도만 ...

당장 치루어야 할 과제를 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시작했다가 여러 이유로 계속 눌러 붙어 있으면서 부작용들이 진행되는 모습들이고, 그게 특히 스타트업씬에서는 더 적나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한다. 코드의 경우 쓰는 사람들만 있고 지우는 사람들이 없는 모습과도 닿아 있고, 한두명이 번아웃이 났을 때 위험에 더 드러나게 되는 모습이 되기도 한다. 회사들마다 사정이 다르겠지만, 꼰대스러운 한 마디의 잔소리만 하자면, 스쿼드든 챕터든 나 말고 상대방을, 동료를 한 번 더 생각하고 거드는 모습이 더 있고, 그걸 매니지먼트에서 존중하면 조금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Lead, head of ###

구글에 다녔을 때도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팀이다 보니 중소기업에 다녔을 때처럼 명함의 직함이 조금 뻥튀기 되어 있기도 했다. 구글 내에서는 그래도 자기 직함을 쓰는 건 매니저 승인이 필요했지만, 아무래도 링크드인 출범 이후에 (살짝 과장된) 직함들이 감투로서 쓰이곤 하는 거 같다. 규모가 작은 회사일 수록 Chief , Lead , Head 등이 아무래도 자주 보이는데, 면접 과정이거나 실제 업무를 같이 해 보기 전에 판단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난이도가 꽤 높다. 뭐 거짓말을 악의적으로 하려고까지는 아니라 생각해도...

게다가 최근에 보았던 사례들은 감투를 주면 바로 퇴사를 감행하고, 그들의 이력서는 ### Lead 로 update 되어 있었다. 타사와 협상을 잘 이뤄냈다고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새로운 감투를 달았으면 그 감투를 달고 몇 명의 사람들과 어떤 일을 이루어 냈는지 등이 궁금하고 반대로는 자랑하고 싶어야 할텐데, 서로 속고 속이는 세상이 되고 있는 거 같아 조금 씁쓸하고 불안(?)하기도 하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