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강의 30% + 무료 강의 선물🎁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프로덕트 디자인 3주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프로덕트 디자인 3주차 발자국

📖3주차 학습내용

1. Feedback 컴포넌트

  • 알림, 토스트는 Information, success, warning, error 등 시스템 상태를 고려한 컴포넌트 set를 만들어습니다.

  • Spinner loader, Skeleton는 화면 대기 중에 나타나는 프로토타입을 고려한 컴포넌트 set을 만들었습니다.

  • Modal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에 Slot 컴포넌트를 알게 되었으며, 하나의 모달 컴포넌트를 가지고 여러 형태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2. Navigation 컴포넌트

Bottom, Side, Global 네비게이션을 만들 때 포함되는 메뉴 Item 컴포넌트를 Default, Hovered, Pressed, Selected 등 인터렉션된 상태를 고려하여 만들었습니다. 특히 Side는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을 고려하여 여러 Type을 만들어야 했으며, Global은 선택했을 때 공개되는 하위 메뉴부터 알림, 프로필 같은 Utility적인 기능까지 고려해야 했죠.

3. 배리어블 모드

라이트/다크, 멀티 브랜드, 디바이스 별 반응형, 다중 언어 지원 등에서 apply variable mode만 변경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 멀티 브랜드: 브랜드에 따른 컬러 및 타이포는 Primitive를 가지고 Theme 배리어블을 추가로 만들고, Semantic에 Theme 배리어블을 등록하여 컴포넌트나 디자인 요소에 적용시키기

  • 반응형

    • 디바이스에 따른 컴포넌트 set을 만들고, 각 이름을 가진 String 배리어블을 만들고 인스턴스 배리언트 프로퍼티에 연결시키기.

    • 컨텐츠 영역에선 Min Width와 constraints를 L+R을 적용해서 디바이스 크기 별로 바로 대응할 수 있게 설정하기.

  • 다중 언어:

    • 기존 컴포넌트를 가지고 새로운 컴포넌트 set 및 목적에 따른 배리언트 프로퍼티 만들기 -> String 배리어블 -> 인스턴스의 배리언트 프로퍼티에 배리어블 연결 -> 배리어블 모드 지정

    • 국가별 문화 및 언어습관을 고려하여 좌측 정렬, 우측 정렬, 이미지 및 텍스트 컨텐츠 등 변경이 가능함.

 

좋았던 점

  • 배리어블 모드 기능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Setting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Part 요소의 인터렉션을 고려하여 만들면서 컴포넌트 체계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습니다.

😁잘한 점

  • 커리큘럼에 맞춰서 미루지 않고 정해진 할당량을 채우려고 노력했어요.

  • 특별히 잘한 점이 뭐가 있는지 기억이 안 납니다... 이번 주는 배울 게 많아서 특별히 더 잘하려고 노력하지 못했어요.

😅아쉬운 점

  • Responsive 파트에서 강의를 따라 만들었는데 잘 되지 않았습니다. 컴포넌트 내부에 fill, hug, min width 등 고려할 변수가 많은데 익숙하지 않아 자꾸 헷갈리더라구요.

     

  • 컴포넌트의 구성 요소가 복잡해질수록 따라 만들기 버거웠습니다. 특히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는 내부에 들어갈 컴포넌트가 다양해서 영상을 여러 번 돌려봤어요.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