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해결됨

assertThat() 인자값 질문있습니다.

24.05.16 19:53 작성 조회수 66

0

assertThat() 메서드에 대해서 찾아 봤는데, 매개변수 이름이 actual(실제값) 이더라구요. 그리고 isEqualTo() 메서드의 매개변수 이름은 expected(기대값)이구요.

그러면 assertThat() 메서드를 호출할 때 인자값으로 테스트하고자 하는 값을, 그리고 isEqualTo() 메서드는 테스트의 결과로 기대되는 값을 넘기는게 맞지 않나요?

여기 아래 코드에서 memberService.findMember(1L)로 찾아온 회원(findMember)이

앞서 직접 만들어서 join으로 넘긴 member와 같아야 하는 거니까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isEqualTo(member)가 맞는거 아닌가요?

테스트 코드.png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OMG님의 프로필

OMG

2024.05.16

안녕하세요. wwjjss11님, 공식 서포터즈 OMG입니다. 

AI 답변을 참고해주세요 🙂

감사합니다.

1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4.05.16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wjjss11님의 질문에 대해, assertThat()isEqualTo()의 사용법 및 매개변수에 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내용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assertThat() 메서드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대상의 실제값을 인자로 받으며, 이 실제값과 isEqualTo() 메서드를 통해 비교되는 기대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assertThat(findMember).isEqualTo(member) 사용법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보통은 assertThat(실제값).isEqualTo(기대값) 형태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해당 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설명은 아래의 답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테스트코드에서의 Expected와 Actual”에서는 assertThat()에는 actual(실제 결과값)이, isEqualTo()에는 expected(기대 결과값)이 사용되는 것이 맞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이 경우 actual 값이 findMember가 되고, expected 값이 member가 되어야 합니다.

위 링크에서는 assertThat() 함수의 사용법과 테스트 코드에서의 actual과 expected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심층적인 설명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 작성 시, 실제 결과값과 기대 결과값을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 어떤 값을 assertThat() 함수의 인자로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wwjjss11님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