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00원
박준형
2025-02-131520519엘라스틱서치의 업데이트, 삭제 과정은 따로 없는걸까요?
gelab
2024-08-211360038현재 검색 기능 관련해서 엘라스틱서치를 사용해야 해서 배우려고 합니다.. 엘라스틱서치를 아예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적절한 강의일까요?
강진우2024-08-21362306아예 처음 접한다는 정의를 더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치부터 해야 할 정도로 아예 처음 접한다면 이 강의가 크게 도움이 되진 않을 겁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운영을 시작한 단계라면 그동안 구성하면서 들었던 여러가지 의문 (예를 들면 왜 프라이머리 샤드의 갯수를 중간에 변경하지 못할까? 등등)을 해결해 나가면서 엘라스틱서치의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해 더 이해할 수 있게 될거라고 생각 합니다.
oros
2023-09-251027449혹시 오픈서치 공부하려면 이 동영상 수강해도 괜찮을까요??
강진우2023-09-26286892섹션 1~2까지는 내부 동작 원리를 다루기 때문에 OpenSearch와 ElasticSearch가 큰 차이가 없어서 도움이 되실 겁니다. 섹션 3의 경우 cat API 까지는 동일하겠지만 모니터링 지표 보는 것이 Kibana에서 CloudWatch 로 바뀔거라서 지표 이름은 같겠지만 지표를 보는 곳이 다를 겁니다. 섹션 4의 경우 OpenSearch는 일부 파라미터들을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JVM 관련 옵션, 쓰레드 큐 크기 변경 등) 같은 현상을 겪고 있더라도 적용할 만한 것들이 없을 겁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강의 내용의 70% 정도가 OpenSearch 운영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동작 원리 중에서 문서를 업데이트하고 삭제하는 과정을 말씀하시는 거죠? 현재 강의 내에서는 따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아요. 보통 색인과 검색이 핵심이기 때문에, 문서가 어떻게 색인되는지, 인덱스와 샤드의 관계 같은 부분만 설명하고 있어요. 업데이트와 삭제 과정을 포함해 추가 강의를 작성 할지는 고민해 보겠습니다. 물론 이해하면 도움이 되긴 하겠지만, 큰 맥락에서는 성능이나 인덱스 설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고 보고 있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