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loudFront 작업 중 Amazon Route 53에서 DNS 레코드 생성이 안됩니다.
강사님과 똑같이 따라 갔는데 강의에서 강사님께서는 rout53에 도메인이 있다고 나오시고 저는 없어서 선택이 안되고 있습니다. 혹시 인증서를 만들 때 도메인 이름을 강사님과 같이 임시로 아무렇게나 지었는데 그래서 그런건가요?만약 그렇다면 기존에 있는 이름? 을 어디서 보고 올바르게 맞춰 작성해야 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EC2 인스턴스 msa 구조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고민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지금 msa 구조로 간단하게 프로젝트 진행중인데 이런경우에는 ec2 인스턴스를 여러개 만들어서 진행해야하나요? gpt 는 도커를 이용해서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라고 말하긴 하는데 어떻게 하는게 맞을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실습] 7. Express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 에서 node 설치 안됨
동영상처럼 인스턴스에 연결한 후 https://jscode.notion.site/7-Express-EC2-5f90f0ece37943f99dffbf29a21bdd93에 있는 1. Ubuntu 환경에서 Node.js 설치하는 법을 복사 붙여넣기 한 후 node -v 를 작성했는데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다른 분의 질문도 찾아서 보았는데 다른 분은 보안 규칙의 포트 번호를 잘 못 쓰신것 같은데 저는 강사님과 똑같이 되어 있었습니다. 어디가 잘못된 것일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localhost:8080은 접속이 되는데 IP주소나 도메인 주소로는 접속이 안됩니다.
스프링부트는 8080을 쓰기 때문에 server.port=80을 application.properties에 작성하여 80으로 변경 후 강의를 따라가는데 이렇게 뜨네요.인바운드 규칙은 ssh 22와 http80 모두 0.0.0.0/0으로 되어있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nginx 사용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혹시 강의에서처럼 nginx를 통해서 백엔드 서버로 통신한다고 할때, nginx에서도 cors 설정을 해줘야 하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강의를 다 듣고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려고 하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프론트는 리액트로 하고, 백엔드는 간단한 자바 스프링부트로 구현을 했습니다.이제 aws로 배포를 하려고 하는데, 백엔드는 ec2 + rds로 구축을 하는것 까지 성공을 했고, 리액트는 S3 정적호스팅 + cloudFront로 배포까지 각각 완료했습니다.이제 이제 도메인과 인증 부분을 적용하고 싶은데 아키텍처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서 몇가지 질문을 정리해봤습니다...도메인 적용과 HTTPS 적용을 프론트랑 백엔드 둘 다 해야 하는지, 프론트에만 적용을 시켜야 하는지 궁금합니다.CloudFromt를 사용하면 ELB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지 궁금합니다.각각 EC2, S3 + CloudFront에 배포를 했는데, 프론트랑 백엔드는 어떻게 연결을 하는지 궁금합니다.(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통신(API) 로직은 이미 코드로 구현되어있는 상태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elb와 ec2 사이의 연결 질문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현재 외부 클라이언트와 elb 사이에서는 https연결을 하고있고, elb가 ec2에 트래픽을 넘겨줄떄는 http로 연결을 하고있는 상태 맞을까요?만약 맞다면 ec2는 도메인이 아니라 ip주소로 접근하고 있기에 https를 적용할 수 없어서인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서버가 1대인 경우 질문
강의에서 여러 서버가 있을 때의 확장성을 고려해 ELB를 통해 HTTPS 설정을 하는 것 같은데, 서버가 한 대인 경우에는 ELB를 통하지 않고 EC2에 HTTPS설정을 해도 똑같이 작동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문의] S3를 활용해 Express 서버에 이미지 업로드 기능 구현하기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제목 강의에서 아래 캡처와 같이 설명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써서 당황했습니다.1번은 어느 위치인지, 2번은 어디에 접속한 건지, webstorm 프로그램인거 같은데 꼭 써야 하는지 등 자세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이전 강의, 강의자료, 질문에도 아무런 설명이 없어서 답답하네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각 세션에 보충강의로 Spring Boot에 적용하는 것도 올려주세요.
저는 Spring boot 개발자라 express는 잘 몰라서 Spring boot도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용.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ELB에서 프로토콜 설정 과정
안녕하세요 강사님, ELB에서 프로토콜:포트 설정 부분에서 왜 HTTPS가 아니라 HTTP를 쓰는지가 잘 이해가 안돼서 질문드립니다. 대상그룹의 정의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셨습니다."ELB로 들어온 요청을 ‘어떤 곳’으로 전달해야 하는데, 여기서 ‘어떤 곳’을 대상 그룹(Target Group)이라고 표현한다. 즉, ELB로 들어온 요청을 어디로 보낼 지 대상 그룹을 만들어야 한다." ELB 셋팅하기 中 1분 42초 경에 해당하는 프로토콜:포트 설정 부분은 AWS 사이트에서 확인해보니, "트래픽을 라우팅할 로드 밸런서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 그룹의 프로토콜을 선택합니다." 라고 하는데 "ELB의 SSL/TLS 기능을 고려한다면, 트래픽을 라우팅할 대상 그룹의 프로토콜은 HTTPS가 되므로 프로토콜 선택은 HTTP가 아니라 HTTPS가 되어야하지 않나?"라는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ELB 보안 그룹 세팅 과정
안녕하세요 강사님 수업을 듣다가 ELB 보안 그룹 세팅 과정에서 인바운드 규칙 적용시 HTTP와 HTTPS에 대해서만 보안을 허용하게끔 하는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ELB의 SSL/TLS 기능이 HTTP를 HTTPS로 바꿔주는 거라고 배웠는데 그래서 HTTPS인지 HTTP인지 여부가 중요해서 두개의 유형에 대해서 허용을 하는 것은 알겠는데.. 나머지는 왜 허용을 안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 was already in use.
안녕하세요 강사님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말씀해주신 방법대로 spring boot 서버를 배포하려고 하니 잘 안되네요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 was already in use. 라고 나오는데, 바로 직전 강좌에서 express를 80번 포트로 이미 배포한 상황에서 스프링부트 배포를 연속적으로 하려고 하니 이런 에러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기존 express를 삭제하고 스프링부트 배포를 할 수 있나요?또한 스프링부트를 배포하는데 왜 자동으로 80번 포트로 배포가 되나 궁금합니다. HTTP의 권장 포트가 80번이기에 자동으로 80번으로 배정되는 것인가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버킷 이름
버킷 이름은 고유해야한다고 알고 있는데 실습에서 동일한 버킷 이름을 사용했는데 그게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Express 서버를 EC2에 배포시 publicIP로 접속시 연결거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ERR_CONNECTION_REFUSED)
강의 파트 : 섹션2. 백엔드 API 서버 배포하기 (EC2)강의명 : [실습] 7. Express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영상시간 4:52~5:13)문의 내용 : EC2에서 "sudo pm2 start app.js"으로 배포를 실시하는데, publicIP로 접속시 연결거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강의문서 : https://jscode.notion.site/7-Express-EC2-5f90f0ece37943f99dffbf29a21bdd93(강의 내용의 코드를 복사&붙여넣기 하여 진행하였습니다)권한 상태 : IAM 통해 별도의 사용자를 생성, 해당 사용자 계정에 권한을 부여하여 실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부여 권한 1) AmazonEC2FullAccess부여 권한 2) AmazonRDSFullAccess부여 권한 3) AWSCloudShellFullAccess부여 권한 4) EC2InstanceConnect(이하 현 상황에 대한 스크린샷 및 간단한 첨언입니다)안녕하세요. sudo pm2 start app.js명령까지 실시하여 배포를 실시하였습니다만, 아래의 화면처럼 연결이 거부되고 있습니다.혹시 제가 인지못한 에러가 있을까 싶어서sudo npx pm2 monit 명령등으로 에러를 체크하였습니다만 특별한 에러는 찾지 못하였습니다.제가 설정을 하는 중에 빠뜨리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는 거 같은데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presigned URL에 대한 궁금증
presigned URL를 실무에서 사용할려다가 지적받은게 업로드 권한을 클라이언트에 내려주고 횟수제한을 거는게 아니라 유효시간동안은 해당 url로 언제든지 업로드할 수 있어서 추후에 악성이미지 같은걸 업로드하면 보안적인 이슈가 있지않냐라고 말을 들었어요.aws의 s3에서는 횟수제한 같은건 걸 수 없어서 일단 formdata로 올려보내고 multer 사용해서 받아서 처리하긴 했는데 강사님 경우에는 presigned URL할 때 어떻게 조치를 하시나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health 했을 때, cannot get /health 오류
안녕하세요. 현재[실습] 3. ELB 셋팅하기 - 리스너 및 라우팅 / 헬스 체크강의를 듣고 실습하던 중, cannot get /health 오류를 보게 되었습니다.http://13.124.124.188/health요것을 했을 때, cannot GET /health 가 뜨고(아래 이미지는 대상 그룹에 속한 하나의 인스턴스의 상태검사 결과입니다.)http://13.124.124.188/요것을 했을 때는 정상 작동 됩니다.reload를 했을 때 pm2 명령어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 걸까요?app.js 파일은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저장했고require('dotenv').config();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80; app.get('/', (req, res) => { res.send(`.env 테스트 : ${process.env.DATABASE_NAME}`); }) app.get('/health', (req, res) => { res.status(200).send("Success Heatlth Check"); }) app.listen(port, () => { console.log(`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port}`) }) 아래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해서 실행한 'pm2 reload 0'의 결과입니다.ubuntu@ip-172-31-1-28:~/ec2-express-sample$ pm2 reload 0 [PM2] Spawning PM2 daemon with pm2_home=/home/ubuntu/.pm2 [PM2] PM2 Successfully daemonized Use --update-env to update environment variables [PM2] Applying action reloadProcessId on app [0](ids: [ '0' ]) [PM2][ERROR] Process 0 not found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haracter_set_filesystem 도 utf8mb4 로 바꾸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했습니다.복습 겸 정리하다가 제가 알던 부분과 좀 다른 부분이 있는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RDS 실습 3번 2:22 에 character_set_filesystem 도 utf8mb4 로 설정하시는데, 기본값인 binary 로 둬야 파일을 그대로 저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애플리케이션에서 base64 로 인코딩하고 저장한다든지 그런 경우에는 의미가 있을 수 있는데, DB 에 저장하기 위해서라면 불필요한 변환 작업과 오버헤드가 아닐까 싶은데요.혹시 정말로 인코딩 변환을 의도하신 거라면 binary 로 저장했을 때보다 utf8mb4 로 저장했을 때 어떤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사실 파일을 백업 목적이 아니라면 DB 에는 잘 저장하지 않으니 별 상관 없긴 합니다ㅎㅎ)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기본VPC의 서브넷 삭제 후 재생성 질문입니다.
요금 부과 때문에 기본 VPC에 대한 모두 서브넷을 삭제했었습니다. 이후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 서브넷을 생성해야하는데 어떻게 생성해야할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탄력적 IP 주소 연결에서 재연결 체크박스는 어떤 경우에 선택하는 건가요?
탄력적 IP 주소 연결에서 재연결 체크박스는 어떤 경우에 선택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