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2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WEB2 - JavaScript
27.함수(리턴) sum 함수 vs sum2 함수
function sum2(left, right){ return left+right; } document.write(sum2(2,3)+'<br>'); document.write('<div style="color:red">'+sum2(2,3)+'</div>'); document.write('<div style="font-size:3rem;">'+sum2(2,3)+'</div>');sum2 함수의 출력 결과와 아래 sum1 함수의 출력 결과가 다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function sum(left, right){ document.write(left+right+'<br>'); } document.write(sum(2,3)+'<br>'); document.write('<div style="color:red">'+sum(2,3)+'</div>'); document.write('<div style="font-size:3rem;">'+sum(2,3)+'</div>');sum도 똑같이 출력해봤는데, 중간에 undefined가 함께 출력되더라고요. 확인해보니 리턴값이 없는 경우에 udefined가 출력된다고 하던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이전 26강 실습에서는 다음과 같이 출력했을 때 아무 문제 없었는데, 무엇이 다른걸까요? 한번 write한걸 다시 write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인걸까요?onePlusOne(); function sum(left, right){ document.write(left+right+'<br>'); } sum(2,3); // 5 sum(3,4); // 7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급 SQL
리트코드 177번 function 풀이중 case when 활용을 위한 서브쿼리 구문을 제출 시 검증에 통과되지 않도록 보강된 듯 하네요
리트코드 177번 function 풀이를 보면서 진행하는데,서브쿼리에 작성된 limit에 -1를 인자로 넣어서 추가 검증하다보니 제출이 되지 않는 듯 합니다.조건을 약간 수정하는 방식으로 컨텐츠 수정이 필요할 듯 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Arrow Function vs Regular Function
안녕하세요!React 와 Next 의 component 선언 방식에 대한 convention 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Arrow Function vs Regular FunctionComponent 는 사실 하나의 함수입니다. 그리고 JavaScript 에서는 2가지 방식으로 함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화살표 함수이고 또 다른 하나는 function keyword 를 사용하는 것입니다.이 두 함수 선언 방식의 차이에는 크게 hoisting 과 this keyword 가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Arrow Functions vs Regular Functions in JavaScript – What's the Difference? (freecodecamp.org) 를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질문은 기능상의 차이 보다는 "일반적으로" 무엇을 사용하느냐 에 대한 질문입니다.Q. React 에서는 component 를 선언할 때 arrow function 을 일반적(많은 개발자들이 사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Next 는 arrow function 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나요 아니면 regular function 을 사용하나요?Arrow Function Componentinterface ComponentProps { ... } const Component = ({ ... }: ComponentProps) => { ... } export default Component;Regular Function Componentinterface ComponentProps { ... } export default function Component({ ... }: ComponentProps) { ... }제가 생각했을 때는 export default 를 한번에 사용하기 위해서 regular function 으로 공식 문서나 강의 자료가 작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되어지는데, 더 일반적인 선언 방식은 무엇일까요? 물론 convention 이라는 게 없을 수도 있고 사실 프로젝트마다 다르게 정할 수는 있겠지만, 더 일반적인 방식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
애니메이션 state 노드에 function bind 하는 것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애님 그래프에서 사용하는 노드들을 보면 특정 조건에 콜백 함수를 등록하는 기능이 있는데요.이것에 대해서 궁금한게 몇가지 있어서 작성했습니다.여기에 bind 할 수 있는 함수는 해당 콤보박스로 만든 함수로 밖에 적용이 안되는 것 같은데 맞는 건가요?? ----------------------------------------------------------------------------그리고, 그렇게 만든 블루프린트 함수는 Thread Safe 가 활성화 되어 있어서 여기에 로직 구현 시, 제가 직접 c++로 만든 함수를 호출 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혹시 thread safe 활성화된 블루프린트 function에서 c++함수를 호출 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 까요??? 참고로 meta 지정자의 "BlueprintThreadSafe" 를 사용하면 호출 할 수 있도록 목록에 뜨긴하는데, 제가 이 함수를 동기화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 함수로 구현했어도 그냥 써도 되는걸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진짜 입문 올인원 개발 부트캠프
함수 밑에 return 과 console.log 들어가는 것의 차이는 무엇 인가요?
const dd = function (a){ console.log(~~~); } 실행 : dd(~~~) 이것과 const dd = function (a){ return(~~~); } 실행 : dd(~~~) 이것의 차이가 뭔가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왜 fnc가 아니라 fcn을 네이밍으로 사용하셨나요?
사소할 수 있는 네이밍 규칙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fcnptr 이라는 변수를 강의중에 사용하셨는데, 개인적으로는 function의 약어이면 오히려, fnc가 더 맞는 표현이라 생각되는데 혹시 fcn이 필드에서 더 많이 쓰이는 변수 명일까요? 혹시 아시는 분들 계신다면 답변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
미해결제주코딩베이스캠프 Code Festival: JavaScript 100제
질문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end가 3번째에 오면, B기둥이 end가 되는데 end와 temp의 위치가 바뀌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return 다음에 NaN이 왜 오는 건가요??
-
해결됨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기본 강의
userSchema.pre 안에 function 을 화살표 함수로 바꿀 수 없나요?
userSchema.pre('save', function (next) { // 비밀번호 암호와 var user = this; if (user.isModified('password')) { bcrypt.genSalt(saltRounds, function (err, salt) { if (err) return next(err); bcrypt.hash(user.password, salt, function (err, hash) { if (err) return next(err); user.password = hash; next(); }); }); } else { next(); } }); 이거를 function 들을 화살표 함수로 바꿔보았는데 에러가 뜹니다. 혹시 왜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함수관련 질문.
뭐 나중에 알려줄거라고 생각하지만, 궁금증을 빠르게 해결하고 가고 싶어 여쭤봅니다. 파이썬의 함수 형태는 .함수명() 이런식인가요? 자바스크립트는 선언적 함수는function 함수이름() {}; 로 선언 한 뒤, 함수 실행을 함수이름(); 이렇게 하잖아요. 파이썬은 선언과 실행을 따로 분리 해서 생각하는건지합쳐서 생각하는건지 .format() 함수는 아마 예약어로 format이라는 함수가 등록이 되어있어서그걸 매개변수처럼 'one', 'two'를 넣어준건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