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4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실무에서 Test Code 작성할 때 database에 접근하는 것에 대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Test code 에서 Member 로컬 변수로 초기화해서 repository에 저장한 후 assertThat 메서드를 활용하여 test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학습하였습니다.수업처럼 간단한 하드코딩이 아닌 실무 test 코드를 작성할 때는 이미 저장된 database에 접근하여 member를 받아온 후 이를 test code를 돌려보는 것이 더 정확하게 test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test code 에서는 database에 접근하여 test를 하는 것이 아닌가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실무에서는 어떠한 방식을 선호하나요?
실무에서 mysql lock을 사용하면 퍼포먼스부분에서 우려가 되는데요~실무에선 redis를 사용한 동시성 제어를 주로 하나요?실제로 실무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동시성을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함수형 프로그래밍과 JavaScript ES6+ 응용편
FP, 실무에서의 모습은 대략적으로 어떤 모습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현재 저는 python - backend 개발자로 일을 하고 있고 강의를 들으면서 이를 어떻게 실무에 적용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다만 구글링 및 기타 예제를 보더라도 FP 가 적용된 real world example 은 잘 없더라구요... 특히 여태 객체지향 적으로 사고하고 명령형으로 사고하다보니 더더욱 실무코드는 어떤 모습일지 상상이 안가긴 합니다. 다만 오로지 FP 만을 할 수는 없고 적절히 섞어야 한다라고 하던데 그렇다면 아래처럼 제가 생각하는게 맞을까요? - UserService().validate_block_user() def validate_block_user(): users = get_data_from_database() return pipe(users, is_block, get_user_id) is_block 은 filter 역할을, get_user_id 는 map 의 역할을 하는 sample code 입니다. 위 처럼 특정 객체의 행동이 존재하고 해당 행동은 FP 로 구현하는, 이런 형태가... 맞게 사용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미해결진짜 현업에서 쓰이는 직장인의 실무 엑셀 - 데이터 가공부터 분석까지
(최적의 데이터 조합 찾기_실무) 예제3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적의 데이터 조합 찾기_실무 강의에서 문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문제는 예제 3입니다. 1. 문제에는 '모든 임직원이 1주일에 5일을 연속으로 근무하고 2일은 쉰다' 및 '총 근무자수 : 32'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 정보들은 해 찾기 제한 조건에는 포함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2. 가상 분석에서 제한 조건과 목표값 외에 다른 수치 정보들이 있는데요! (예제 3의 경우 일 ~ 토까지 표시된 0,1 숫자, 총 근무자수, 1인당 급여 (일당) 등) 이 정보들을 엑셀에서 알아서 고려해서 목표값을 찾는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실무에서는 feature branch에서 jenkins로 테스트를 먼저하고 문제가 없으면 MAster branch로 머지로 시키는데요, 강의에서는 반대로 master branch에 머지가 되면 테스트 코드가 실행이 되는데, 설명하신 부분은 feature branch에 설명하기가 모호해서, master branch로 머지가 되면 테스트가 실행되도록 설계를 하신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안녕하세요? 여쭤볼 곳이 없어 질문남깁니다
회사에서 MSSQ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마이바티스를 사용하고 있었고 최근 JPA와 querydsl을 도입했습니다 MSSQL특성 상 SELECT 쿼리에 with(nolock) 힌트를 줘서 써야한다하기에 셀렉트 쿼리에 한하여 @Transactional (isolation = Isolation.READ_UNCOMMITTED) 를 줬습니다 현재 배포시 의문의 락이 걸리고 있는 상황인데, 개발서버에서는 아무 이상이 없고 운영에만 넘어가면 락이걸리네요 아무튼 상황은 이렇구 제 의문은 이겁니다 with(nolock)힌트를 줘서 더티리드를 한다고 한다면 JPA는 어쨋건 읽어오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을 하게되잖습니까? 그럼 더티리드를 여러군데서 해간다고 한다면 정합되지 않은 해당 정보들이 모두 영속성 컨텍스트에 들어간 상태인데, 그 상황에 어딘가에서 변경감지를 통한 업데이트 쿼리가 발생한다고 한다면 이게 정확히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가 궁금합니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의문의 락과 연관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