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pository에서 체크 예외를 사용하면
이전에 체크 예외, 언체크 예외 강의때 예외가 종속이 되서 언체크 예외로 보통 한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리포지토리를 체크 예외로 구현해놨으면 서비스에서 @Transaction 애노테이션을 추가해도 롤백 처리가 안된다는 건가요??회사에서 back-to-back으로 서비스 단에서 다른서버로 API를 호출할 때 롤백을 해야 하는 경우, 롤백처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이런 경우에는 서버에서 내려주는 응답을 보고 언체크 예외를 발생시켜서 트랜잭션이 롤백할 수 있게 해줘야 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적용2 테스트시 ItemMapper의 Bean을 찾지 못하는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본 강좌 커뮤니티의 다른 분들 해결사례처럼 build.gradle의 mybatis 부트스타터 버전을 2.3.2로다운 그레이드하여 당장의 오류는 해결했습니다.근데 왜 이런 오류가 터진건지 원인에 대한 궁금증은 남네요.스프링부트3 이후로 어떤 이유로 더이상 동적 프록시 객체 생성을 해주지 않는건지, 아니면 아직 mybatis-스프링 연동 모듈의 업데이트가 늦어진게 이유인건지, 궁금합니다.@Mapper조회가 잘되지 않은건지 하여, MyBatisConfig에 @MapperScan("hello.itemservice.repository.mybatis") 어노테이션까지 넣어봤는데도 잘 안되었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olled back transaction for test 로그 출력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강의 중에 강사님께서는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Rolled back transaction for test 로그가 뜨는데 저는 뜨지 않습니다. [제 로그]저는 강사님께서 올려주신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따로 start.spring.io를 통해 최신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버전정보]자바 버전: 17스프링 부트 버전: 3.2.5[질문 사항]강의 중간에 로깅 단계를 바꾸는 작업이 있었는데 제가 그 부분을 놓친 것인지, 아니면 스프링 부트의 버전이 달라지면서 transaction 로그를 출력하지 않도록 바뀐 것인지것인지, 아니면 application.properties 등에 다른 설정을 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ervice, Repository 트랜잭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PA 적용1 - 개발] 14:08 에서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시작하는 서비스 계층에 트랜잭션을 걸어준다고 했는데 Service + Repository 둘다 트랜잭션을 거는 경우도 있을까요?둘다 트랜잭션을 거는 경우에 Service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해서 트랜잭션이 걸리지 않고, Repository에서는 롤백이 되는 경우도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ItemRepositoryV2 질문 있습니다.
JpaRepository를 상속받으면 스프링 데이터 jpa가 구현클래스를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고 하였고현재ItemRepositoryV2 코드에서 SpringDataJpaItemRepository를 생성자로 주입받았는데 SpringDataJpaItemRepository는 인터페이스로 정의 되어있는데 인터페이스를 주입받아서 사용하는것이 가능한가요? SpringDataJpaItemRepository가 JpaRepository를 상속받아서 확장된 인터페이스가 되었고 자동으로 구현 클래스가 생성된것은 이해하였습니다. 그렇다면 현재ItemRepositoryV2 코드에서는 자동으로 생성된 구현클래스를 자체를 주입받아서 사용해야하는것 같은데 구현클래스가 아닌 인터페이스를 주입받아서 사용하는것에 의문이 있습니다.기본 자바문법에서는 인터페이스를 주입받아서 그 기능들을 사용하는것이 불가능한거로 알고 있었는데 어떻게 인터페이스를 주입받아서 그 기능들을 사용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uerryDSL은 JPA기술에서만 적용이 가능한가요? + 여러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JPA소개2 강의에서 여러 프로젝트의 DB관련 기술을 보면 QueryDSL을 사용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이전 다른 기술 강의에서도 queryDSL은 동적쿼리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라고 들었습니다. 마이바티스나 jdbc템플릿에서는 queryDSL을 사용하지 못하는건가요?+ 그리고 프로젝트를 해보려고 하는데 jpa는 내용이 많은것 같아 MyBatis를 먼저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추후에 영한님의 다른jpa강의 로드맵을 수강하면서 프로젝트를 수정해볼려고 생각중입니다. 그것과 관련된 질문으로 섹션8부터 있는 내용들을 일단 건너뛴 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나서 나머지 섹션을 수강하고 로드맵의 스프링 로드맵의 핵심원리 고급편과 핵심원리 활용을 수강하여도 학습에 무리가 없을까요? 아니면 섹션 8내용은 일단 건너뛴 후 핵심원리 활용과 고급편을 수강은 일단 하는게 좋은가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타입 생성 확인 오류 질문입니다.
[질문 내용]pdf 파일을 보며 강의 듣기전 예습을 하고 있습니다.build.gradle 파일에 Querydsl 관련 설정을 pdf파일에 나와 있는 대로 밑에와 같이 추가했습니다.//Querydsl 추가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현재 저는 Gradle을 통해서 빌드중입니다) Gradle -> Tasks -> build -> clean실행 시에는 문제가 없는데Gradle -> Tasks -> other -> compileJava실행 시에Unable to load class 'javax.persistence.Entity'.This is an unexpected error. Please file a bug containing the idea.log file. 라는 오류가 뜹니다. 그래서 커뮤니티에 관련 질문들을 찾아 보았는데,build.gradle 파일에서 Querydsl 을 설정하는 부분을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 {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로 바꿔보라고 하신 내용이 있어서 바꿔보았습니다.그리고 gradle refresh를 눌렀을 때 오류가 발생했는데 지금은 되네요... pdf 파일 내용을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itemservice-db 프로젝트
controller가 없는데 Front만으로도 controller처럼 처리를 할 수 있는건가요?아니면 이전에 memory에서 해서 모델에서 변환시켜줬어야 했는데, db를 이용하니까 model view controller가 다 필요없어진 건가요? items.html에서 이렇게 코드가 있는데th:onclick="|location.href='@{/items/add}'|" 이게 addForm.html로 가는 건가요?어디에서 변환이 되는건지 모르겠는데 관련 코드좀 찾아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강의 듣다 강이ppt의 외래키 부분을 보고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웹 개발을 할 때 DDL을 통해 생성되는 테이블들은 모두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객체들을 보고 만드는것 같은데 (예를 들면 Member 클래스, Item클레스들을 생각했습니다)만약 어떤 회원 A가 아이템A를 등록하였으면 데이터 베이스의 회원과 아이템 사이에는 등록이라는 관계가 생성이 되고 회원 1명은 아이템을 여러개 등록이 가능하다면 Member 테이블의 PK를 Item 테이블의 FK로 등록되며 Item 테이블의 속성들은 (id, item_name, price, quantity, member_id)로 설정이 될것 같은데 이런 경우 Item 클레스의 멤버변수로Member member_id; 를 생성해주어야 할것 같은데 이런 외래키 값은 도메인을 설계할때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그리고 api로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 에게 데이터를 넘겨줄 때 스프링 입문 강의에서 hello 객체자체를 return 하면 스프링의 잭슨라이브러리가 json포멧으로 변환해서 넘겨준다고 해주셨는데 여러개의 테이블이 조인된 결과를 json으로 반환 해주려면(예를 들어서 멤버 A가 등록한 아이템의 이름과 가격, 멤버의 이름을 요청한다면 반환되는 튜플이 item_name, price, member_name) 이것들은 하나의 객체가 아닌 Member클래스와 Item클래스의 일부 변수들을 사용한 새로운 값들인데 이럴때는 어떤 방법으로 return해주어야 하나요? 클라이언트측과 조율을 하여 검색되는 조건을 설정하여 조인검색의 제약을 설정하나요? 제약을 설정한다면 반환할 때 (item_name, price, member_name)이 3개의 속성들을 멤버변수로 사용하는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하여 반환해 주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EntityManager 주입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paConfig 안에 있는 EntityManager는 어떻게 주입이 되는 건가요? 제가 대략적으로 생각한 바는 ItemServiceApplication 이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이 붙어있어서 스프링 부트로 작동하게 되고, @Import(JpaConfig.class) 애노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스프링부트와 JpaConfig가 연동되게 되어서 스프링부트가 JpaConfig에서 쓰이는 EntityManager를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것입니다. 제가 생각한 내용이 맞는지 궁금하고요 선생님들의 정확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pringDataJpaConfig 파일 없이 실행 방법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pringDataJpaConfig 파일 없이 @ComponentScan을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실행 해보고 싶습니다. 그래서@SprinBootApplication(scanBasePackages="hello.itemservice") 로 스캔 범위 변경 @Import(SpringDataJpaConfig.class) 주석 처리 @Component이 붙은 파일은 자동 빈 등록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추가로 처리 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sultMap은 굳이 사용 안해도 되는것 아닌가요?
마이바티스 강의 섹션 초반에 application.properties에Mybatis.configuration.map-underscore-to-camel-case=true를 해주었기 때문에 컬럼명 변환을 위한 맵은 해주지 않아도 되는것 아닌가요?추가적인 질문으로 영한님 강의의 로드맵중에 jpa를 집중적으로 강의해주시는 로드맵이 있는데 해당 스프링 로드맵만 수강한 상태에서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jpa의 지식이 부족할 수 있으니(jpa는 내용이 방대하여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하셔서) 마이 바티스로 프로젝트를 진행후 jpa로드맵 까지 수강 후 jpa로 프로젝트를 하는게 더 좋은가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빈을 찾을수 없다는 오류가 뜨는데 둘러봐도 빈이 잘 등록된거 같은데 실행이 안됩니다.
이전 질문을 혼자 해결해보다 jdk를 다시 설치하고 적용하니 버전이 다르다는 오류는 해결이 되었는데 이제Description: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itemservice.config.MyBatisConfig required a bean of type 'hello.itemservice.repository.mybatis.ItemMapper' that could not be found.Action: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 'hello.itemservice.repository.mybatis.ItemMapper' in your configuration.오류가 발생합니다 둘러보아도 빈 등록은 정상적인거 같은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H2데이타베이스도 켜주었습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vIo1htfB2qY7yLUz-JfRT_LDdzO8bAeU/view?usp=drive_link질문글 파일의 드라이브 링크입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컴퓨터 재시작 하니까 실행이 안됩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BB9SitCiSG3ZyZ9G-U15W5IyIKKtjBeH/view?usp=drive_link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Unable to instantiate org.springframework.boot.sql.init.dependency.DependsOnDatabaseInitializationDetector [org.mybatis.spring.boot.autoconfigure.MybatisDependsOnDatabaseInitializationDetector]Caused by: java.lang.UnsupportedClassVersionError: org/mybatis/spring/boot/autoconfigure/MybatisDependsOnDatabaseInitializationDetector has been compiled by a more recent version of the Java Runtime (class file version 61.0), this version of the Java Runtime only recognizes class file versions up to 59.0버전을 변경한적이 없는데 버전 업그레이드 하라는거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Mybatis forEach로 쓰는것과 Service에서 for문으로 Mapper 호출 중에 고민입니다
최근 회사에서 Mybatis로 개발중 고민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Mybatis로 forEach 사용하여 List를 Insert, Update 할때는에러나면 몇번째 index에서 에러 났는지 알수없음으로Service 단에서 List 길이 만큼 for문 돌려서 Mapper를 쓰잔 의견을 받았습니다Service 단에서 for문으로 돌리면 log도 찍을수 있고, 어떤 index에서 에러났는지도확인 할 수 있단 장점이 있다고 들었습니다Mybatis에서 forEach 쓰는것과, Service에서 for문 돌려서 Mapper 호출 계속 하는것중에 뭐가 맞는건지 알 수 있을까요? 주니어 개발자인데 회사에 Spring 사용하는 시니어 개발자분이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임베디드 데이타 베이스를 테스트가 아닌 운영코드에 사용이 가능한가요?
임베디드 모드는 h2데이타베이스만은 ㅣ기능인거 같은데 테스트코드가 아닌곳에서도 이용이 가능한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임베디드 모드 DB finditems test오류
섹션 3. 데이터 접근 기술-테스트 부분을 진행하던중 임베디드 모드 DB부터 finditems 부분에서 test fail이 발생합니다. transaction 문제 같은데 오류를 못찾겠네요. 참고로 이전 testcase의 h2데이터베이스도 모두 delete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에 압축파일 같이 첨부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n7RxuytuS5MgEG8ctRhQrs9Hx_7r7XFq/view?usp=sharing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수동 빈 등록에서 기초적인 부분인것 같은데 질문 드립니다..
ItemServiceApplication에서 @Import를 통해서 config를 임포트 받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로드맵 첫 강의인 스프링 입문에서는 @Import를 해주지 않았는데 본 강의에서는 적용되어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 config 패키지로 구분되어있는 곳의 config 하나를 (메모리컨피그를 이용했습니다) itemservice패키지 바로 하위로 이동하여 주었고 Itemservice패키지 하위로 이동한뒤 ItemServiceApplication에서 @Import를 제거하니까 실행이 안되는데 그 이유가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update에서 new BeanPropertySqlParameterSource()사용시 문제
강의에서 update부분을 new BeanPropertySqlParameterSource()로 변경해서 사용해 보았는데 수정이 정상적을 이루어 졌습니다. I’d가 어떻게 자동으로 매핑이 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여러방식의 데이터접근기술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기본적으로 JPA 를 통해 DB 접근을 하지만 몇몇 쿼리들을 JdbcTemplate 를 활용해 DB접근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일반적으로 어떤식으로 구조를 만들어내는지 궁금합니다. Item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JpaTemplate 를 만들어 ItemRepository 를 주입받을 때 그 구현체로 JpaTemplate 가 주입되게 하되, JdbcTemplate 는 ItemRepository 구현체가 아닌 별도의 컴포넌트로 만들어 필요한 부분에서는 별도로 주입받아 사용하게 되는걸까요?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