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2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메이븐말고 그래들로 만들어서하고싶은데
그래들로 만들어서 뷰를 그대로 넣고 따라하며 듣고있는데, 화면이 깨집니다. 기본 html은 나와서 사용이 가능한데, 흰화면에 html 밖에 안나오는데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th:onclick에서 굳이 @{경로} 쓰는 이유가?
안녕하세요? 영한님. 오랜만에 올립니다. resources/templates/basic/addForm.html 에서, [취소] button 부분: th:onclick="|location.href='@{/basic/items}'|" 경로에 @{..} 쓰지 않고, th:onclick="|location.href='/basic/items'|" 로 써도 나중에 소스 보기하면 둘 다 똑 같이 보입니다. 이렇게요, onclick="location.href='/basic/items'" 그렇다면, 굳이 @{..} 를 쓰지 않아도 되는 것 아닐까요? 강의 중에 이미 말씀하신 건지 모르겠지만, 질문 올립니다. (Spring MVC 강의 질문이 너무 없어서 채워 드리려 적는 것, 아닙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타임리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 도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섹션1. HTML, HTTP API, SSR, CSR에서 SSR을 설명해주실 때, SSR에는 타임리프가 있고, 주로 정적인 화면에 사용한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타임리프에 controller에서 받은 데이터를 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그렇게 자주 사용했는데 정적인 화면에 주로 사용한다는 설명이 와닿지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정적인 화면은 단순히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은 HTML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정적, 동적의 개념이 잘 못된 것인지, 타임리프를 잘 못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생각하는게 맞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 세팅 중 maven compile시 에러발생합니다
프로젝트 실행하기 강의중에 maven compile시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Failed to execute goal com.github.eirslett:frontend-maven-plugin:1.8.0:npm (npm install) on project studyolle: Failed to run task
-
해결됨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패키지 구조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라이브 재밌었습니다.신세경.. 미국엔 잘 돌아가셨는지 궁금하네요..ㅎㅎ 다름이 아니고, 강의를 보고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패키지 구조를 도메인형으로 해야할지, 계층형으로 해야 할지에서 부터 고민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기선님 강의에서는 도메인으로 나뉘었고, 펫클리닉 프로젝트도 찾아보니 도메인으로 나눠놓았더라구요 제가 본 여타 다른 강의들에서는 컨트롤러/서비스/레포지토리/exception/ 등등으로 나눠놓은 걸 보아 어떤 것이 정답이다 라는 것은 없는것 같기도하고.. 해서 블로그 글을 참고해서 보니https://cheese10yun.github.io/spring-guide-directory/도메인이 더 낫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기선님 강의들에서는 더 나은 패키지구조 선택에 관해서 언급하셨던 기억이 없어서 질문드려요! 너무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요 :)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file not found 질문
안녕하세요, Path를 가져오는 부분(resources.getFile()) 에서 자꾸 file not found를 던지는데 왜 그런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csv 파일의 경로는 resources/zone_kr.csv 입니다. resource import 도 spring.core.io.Resource를 사용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ModelMapper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강의 수강하면서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보면서 함께 적용도 해보면서 공부하고 있는데요. 웹이 아닌 API만 구현 중 입니다. 1. 제가 공부하기로는 API개발에서도 Entity를 리턴해주면 않되고 DTO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내보내줘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때에도 ModelMapper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DTO to Entity와 Entity to DTO로 사용해야 하는건가요 ? 2. 모든 Response에서 DTO로 만들어서 리턴을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모든 요청마다 DTO를 만들어서 리턴해주기에는 번거롭고 DTO가 많아질 것 같습니다.
주간 인기글
순위 정보를
불러오고 있어요